■ 문답(파명. 항렬)
【*제 친할아버지는 우자 돌림이시고 아버지는 상자 돌림, 저는 희자 돌림이에요.
*이것으로 제가 이알평 조상님의 몇 대손인지, 무슨 파인지, 근대부터 현대까지 이름 있는 경주이씨 분들을 소개시켜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만약 제가 무슨 파인지 잘 모르겠다면, 파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 좀 알려주시면 좋겠어요.
*또, 마지막으로 우리 경주이씨의 족보는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답변) 이이록
▲[할아버지는 우자 돌림이시고 아버지는 상자 돌림, 저는 희자 돌림이에요.]
소견)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의 세수에 따라 바르게 항렬자를 사용하였습니다.
‘○희’ 종친님의 계대에 따른 중시조세수와 항렬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1세 - → 2세 -→ 3세→---→15세 → 16세 → 17세→---→38세 - → 39세 - → 40세
소판공---병부령공--낭중공----열헌공--동암공---익재공----雨항렬----相항렬----熙항렬
거명------금현------금서------핵------진-------제현------○우------상○-----○희
39세조---38세조----37세조---25세조---24세조---23세조-----祖---------父--------自
39대조---38대조----37대조---25대조---24대조---23대조----할아버지--아버지----(본인)
(기준)----1세손-----2세손----14세손---15세손---16세손----37세손----38세손----39세손
(기준)----1대손-----2대손----14대손---15대손---16대손----37대손----38대손----39대손
39세조---38세조----37세조---25세조---24세조---23세조----2세조-----1세조-----(기준)
39대조---38대조----37대조---25대조---24대조---23대조----2대조-----1대조-----(기준)
14세조---13세조----12세조---(기준)----1세손----23세손----23세손----24세손---25세손
14대조---13대조----12대조---(기준)----1대손----23대손----23대손----24대손---25대손
16세조---15세조----14세조---2세조----1세조----(기준)-----21세손----22세손---23세손
16대조---15대조----14대조---2대조----1대조----(기준)-----21대손----22대손---23대손
*위의 표를 보고 아래와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 중시조 40세 ‘희’항렬인 ‘○희’ 종친님이 자신을 소개할 때
“저는 중시조 40세(=40대) ‘희’항렬입니다.”
“저는 ○○공파 40세(=40대) ‘희’항렬입니다.” - 대. 중. 소파명을 알 때
“너는 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이냐?”
- “저는 중시조님의 39세손(=39대손)입니다.”
“너는 중흥조 열헌공의 몇 세손(=대손)이냐?”
- “저는 열헌공(중조 15세 휘 핵. 중흥조)의 25세손(=25대손)입니다.”
“중시조님은 너의 몇 세조(=대조)이냐?”
- “중시조님은 저의 39세조(=39대조) 할아버지입니다.”
“중흥조 열헌공 할아버지는 너의 몇 세조(=대조)이냐?”
- “중흥조이신 열헌공 할아버님은 저의 25세조(=25대조)할아버지입니다.
”익재공은 너의 몇 세조(=대조)이냐?
-“익재 할아버지는 저의 23세조(=23대조)입니다.”
“너는 익재공의 몇 세손(=대손)이냐?”
-“저는 익재공의 23세손(=23대손)입니다.”
▲[이알평 조상님의 몇 대손인지,]
소견)
‘이알평 조상님’이라고 지칭하는 것보다는 후손으로써 공경스럽게 시조님의 휘(諱-이름)가 알평(謁平)으로 ‘이알평’으로 직접 거명하는 것보다는 ‘시조님’. ‘휘 알평’. ‘표암공’. ‘양산촌장’. ‘급량부 대인’중 하나로 호칭하면 좋을 듯합니다.
신라 초 시조님의 아들 대부터 신라 말 소판공(중시조) 부친 대까지 약 900년간의 계대는 실전되어 알 수 없기 때문에 ‘시조세수’로 말한다든가 ‘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은 헤아려 말하지 않습니다.
중시조세수는 정확하니까 ‘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으로 말하는 것은 바릅니다.
▲[무슨 파인지,]
- 위에 올린 글로서는 대. 중. 소파인지를 전연 알 수 없습니다.
▲[현대까지 이름 있는 경주이씨 분들]
소견)
익재 이제현. 백사 이항복. 충무공 이수일. 매죽헌 이완 대장. 재사당 이원. 석탄 이존오 등.
근대 인물 : 보재 이상설. 성재 이시영. 호암 이병철. 청계 이명박 등-인터넷 검색 요.
▲[제가 무슨 파인지 잘 모르겠다면, 파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을 좀 알려주시면 좋겠어요.]
소견)
친척이 있으면 연락을 취하여 일가친척 분들께 문의하시는 것이 제일 쉬운 방법입니다.
대. 중. 소파명 등 파명을 전연 모르는데 족보를 보셔도 뿌리를 찾는 일은 매우 어렵습니다.
호적등본. 제적등본. 일제 강점기 때 집안에 남겨진 서류. 집안에서 전해오는 조상님에 대하여 들은 이야기 등이 파를 찾는데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 ‘팽이공파’ ⇒ 장파인 ‘평리공파’ 였습니다.
▲[우리 경주이씨의 족보는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
소견)
경주 이씨이면 대부분 종인마다 집집마다 해당 파의 족보를 소지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족보를 소지하신 분들도 자신이 속한 대파. 중파의 족보만 소유하고 있지 다른 파의 족보는 소지하고 있지 않습니다.
족보를 쉽게 열람할 수 있는 곳은 서울 종로구 혜화동 소재 ‘경주이씨 중앙화수회 사무처’. 경기도 부천시 소재 ‘족보 도서관’. 부산시 초읍동 소재 시립도서관내 ‘사단법인 족보도서관’이고 일부 대학 도서관에서 족보를 소장하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