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손(世孫)이란?
‘세손(世孫)’의 뜻이 무엇이냐? 는 문의에 모 선생께서 아래와 같이 조사하여 답변으로 올려 주었습니다.
【daum 검색의 어학사전과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세손(世孫)’의 뜻을 아래와 같이 뜻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 daum. nate 어학사전
세손(世孫) ; 「명사」 다음 왕위를 이을 왕자의 맏아들.
혜빈홍씨는 어떻게 해야 한다는 생각도 없이 막무가내로 어린 세손의 손을 잡고 부랴부랴 동궁으로 달려갔다.
유의어 - 원손(元孫)
원어 – 왕세손(王世孫)
◈ naver 어학사전) ;
세손(世孫) [세ː손] [명사] [같은 말] 왕세손(왕세자의 맏아들)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세손(世孫) ; 「명사」 왕세자의 맏아들. ≒ 세손(世孫). 「명사」 = 왕세손.
¶워낙 천품이 허약하신 왕이고 보니 대왕대비 김씨와 대비 조씨의 세손을 바라는 마음은 여간 초조한 것이 아니었다.≪박종화, 전야≫】
△ 이이록
위 ‘세손(世孫)’에 대한 답변을 주신 최 선생께서는 국어사전과 기타 사전에서 풀이한 내용을 그대로 답변으로 올려 주었습니다.
그런데 ‘세손’이라는 뜻이 위 사전의 내용대로라면 보학에서의 ‘몇 세손’이란 뜻은 위 사전의 설명과는 뜻이 다릅니다.
사전에서의 뜻은 세손(世孫) ; 「명사」 다음 왕위를 이을 왕자의 맏아들. 「명사」 왕세자의 맏아들. 이라는 뜻뿐입니다.
그러나 ‘세손(世孫)’이라는 용어는 “너는 고조부의 몇 세손이나?” . “너는 중시조님의 몇 세손이나?”로 물을 때 ‘나는 고조부의 4세손이다.’ , ‘나는 중시조님의 39세손이다.’라고 말 할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이는 사전에서의 뜻은 ‘세손(世孫)은 다음 왕위를 이을 왕자의 맏아들’ 이라는 뜻과는 다른 뜻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니까 보학에서의 ‘몇 세손’이라는 뜻과 사전에서 풀이해 놓은 뜻과는 다른 것입니다.
“당신은 시조(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이냐?”이라고 물었을 때 “나는 시조(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입니다.”라고 답하는 용어입니다.
이에 맞는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고조부 ~ 나’ 계대의 사례를 들어 ‘몇 세손’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경주이씨’어느 계대에서 중시조 35세 ‘영’항렬부터 39세 ‘상’항렬의 계대를 표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중시조 35세 ‘영’항렬 ~ 39세 ‘상’항렬의 계대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중시조세수
영○-----규○-----종○-----○우-----상○ - 항렬
고조-----증조-----조--------부-------기(나)
1세------2세------3세------4세-------5세 – 계대세수(고조 ~ 나의 계대)
1대------2대------3대------4대-------5대 – 계대대수(고조~나)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중시조 39세 ‘상’항렬인 나는 중시조 35세 ‘영’항렬인 고조부님의 4세손(=4대손)입니다.
즉 ‘나는 고조부님의 4세손(=4대손)’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면 보학에서의 ‘세손(世孫)’의 뜻은 무엇인가?
세손(世孫)은 대손(代孫)과 같은 뜻으로 쓰이는 용어입니다.
세손(世孫)=대손(代孫)입니다.
이 세손(世孫=代孫대손)의 뜻은 아래와 같이 설명하여야 합니다.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윗대조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랫대인 아들을 1로 하여 아래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위 고조부 와 나의 계대에서 “나는 고조부의 몇 세손(=대손)이냐?” 라고 했을 때 조상과 후손 간 계대(고조부 ~ 나의 계대)에서 항상 윗대조상(고조부)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랫대인 아들(증조부)을 1로 하여 아래로 순번(2. 3. 4)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1세손. 2세손. 3세손. 4세손)입니다.
◈ 문헌에 아래와 같은 용례가 있습니다.
◆ 伯父錦山郡守府君(李大遂)墓誌 [백부 금산군수 부군(이대수)묘지]
碧梧先生(李時發)遺稿卷之五 [ 벽오선생(이시발) 유고 권지5]
[伯父郡守府君。姓李氏。諱大遂。字汝成。系出鷄林。新羅始祖赫居世佐命功臣謁平之後。]
(백부 군수부군。성 이씨。휘 대수。자 여성。계출계림。신라시조 혁거세 좌명공신 알평지후)
- 백부 군수공은 성이 이씨로 이름은 대수이고 자는 여성이며 계림(경주) 출신이다.
신라 시조 혁거세의 좌명공신 알평의 후손으로
[有諱齊賢。號益齋。諡文忠。仕麗朝。德業文章。震輝今古。是爲府君十世祖。]
(유 휘 제현。호익재。시문충。사려조。덕업문장。진휘금고。시위부군 십세조。)
- 이름은 제현. 호는 익재. 시호는 문충으로 고려조에 벼슬하고 덕업과 문장이 고금에 휘날리니 군수공(휘 대수)의 10세조이다.
[自文忠以後趾美舃奕。五代祖 諱尹仁 。仕本朝觀察使。]
(자 문충 이후 지미석혁。5대조 휘 윤인 。사본조 관찰사。)
- 문충공 이후로 훌륭한 인물이 나고 빛이나니 5대조에 휘 윤인이다.
본조에 관찰사로 벼슬하였다.
- 중조 27 세 금산군수 이대수의 묘지명에 있는 글이다.
▲[是爲府君十世祖] 와 [五代祖諱尹仁]
- '익재공이 부군(군수공)의 10세조'와 '5대조 휘 윤인'이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금산군수 27세 휘 대수는 익재공이 10세조이고 휘 윤인이 5대조라는 말이다.
-
◌ 17세 제현(齊賢) ~ 27세 대수(大遂)의 계대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1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齊賢-----達尊----德林-----伸------繼蕃----尹仁-----公麟-----黿------渤-------憬胤-----大遂
제현-----달존----덕림-----신------계번----윤인-----공린-----원------발-------경윤-----대수
1세------2세-----3세------4세-----5세-----6세------7세------8세-----9세------10세----11세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9세손---10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6대손----7대손---8대손---9대손---10대손
10世祖--9세조---8세조—7세조--6세조---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10대조--9대조---8대조--7대조---6대조---5代祖---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 [十世祖(10세조)]…[五代祖(5대조)]
- 위 표에서 보면 중시조 27세 군수공(휘 대수)으로부터 17세 익재공(휘 제현)은 10세조(=10대조)이고 관찰사공(휘 윤인)은 5대조(=5세조)이다.
한 계대 안에 군수공의 익재공에 대한 '몇 世祖(세조)'와 '몇 代祖(대조)'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