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代’와 ‘世’는 어떻게 다른가요? - 2

녹전 이이록 2020. 7. 21. 08:45

는 어떻게 다른가요? - 2

 

성균관 홈페이지 문답 창에 올랐던 문의와 답글입니다.

이 답글이 온통 세와 대는 다른 뜻인 ‘2=1로 읽는 이의론논지로 올린 답변인지라

바르지 못한 답변입니다.

 

앞 회에 이어 필자가 일일이 잘못된 내용을 지적하고 소견을 올립니다.

 

[*그리고 뒤에 "xxx代孫"에서 이 붙는 경우는 시조를 기준으로 세어서 내려와 본인(아래 사람)을 말하는 것이고, 이와는 반대로 자기부터 세어서 위로 올라가는 기준도 있겠죠.

그때는 시조가 본인의 "xxx 20代祖"가 되는 것입니다.]

 

소견)

위 설명은 이의론논지로 상대하세대불급신을 적용하여 내려올 때는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고 올라갈 때는 =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는다는 말입니다.

‘2=1대론이의론으로 자신이 시조 20세일 때 로는 19대입니다.

 

상대하세를 적용하여 내려올 때는 =세손으로 ‘20=20세손으로 읽고 올라갈 때는 =대조‘19=19대조로 읽어야 하는데 위 글에서는 ‘20대조로 읽는다고 잘못 말하였습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동의론으로 읽어야 바르게 읽는 것입니다.

 

‘1세 시조 ~ 20세 본인의 계대

 

시조 ---본인

1----------20

1----------20

(기준)-------19세손

(기준)-------19대손

19세조------(기준)

19대조------(기준)

 

* 1세 시조를 기준하면 ‘20세인 나는 시조의 19세손(=19대손)’이고 20세인 나를 기준하면 ‘1세 시조님은 나의 19대조(=19대조)’입니다.

 

* ‘1세 시조 ~ 20세 본인의 계대에서 본인은 시조의 19세손(=19대손)’이고 시조는 본인의 19세조(=19대조)’입니다.

 

[*간략하게 예시로 그리면 (굵은 파란색이 기준입니다)

 

(시조 : 1) --->19()- 20()- 21()- 22()- 23()- 24()

(시조 : 0) --->18------19-----20------21------22-------23

(시조) <---------高祖------曾祖------부친--------------자식-------손자

(시조:21代祖)<--3대조----2대조-----1--------0---------1--------2代孫

 

""는 기준 포함. ""는 기준은 빠집니다. (위 아래로 건너가야 발생하므로) ]

 

소견)

위 표는 이의론논지로 읽은 잘못된 표입니다.

 

아래와 같이 동의론논지로 읽어야 바른 표입니다.

 

1세 시조 ~ 24세 손자까지의 계대

 

(시조 : 1)---> 19--- 20--- 21--- 22--- 23---24

(시조 : 1)---> 19-----20-----21----22-----23----24

(시조) <-------> 曾祖------------------()----------

(시조: 21代祖)<--3대조----2대조-----1대조---(기준)----1대손---2대손

(시조: 21世祖)<--3세조----2세조-----1세조---(기준)----1세손---2세손

 

*‘=’. ‘世孫=代孫’. ‘世祖=代祖로 등호(=)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읽고 씁니다.

 

5=5.....10=10.....25=25.....40=40....

1세손=1대손.....7세손=7대손.....21세손=21대소.....30세손=30대손

1세조=1대조....7세조=7대조.....27세조=27대조.....36세조=36대조

 

아래의 글은 문답시 L선생께서 에 대한 설명의 글을 올렸는데 한자 世와 代의 파자 풀이인 것으로 이해가 됩니다.

지적과 소견없이 세와 대에 대한 풀이로 이런 주장도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참고로 올립니다.

 

L

 

는 사람 인 변에 '주살 ()''()'에서 '()''주살 ()''()''丿()'의 차이로 '어린 아이''()'에 비유하고 성년식을 치룬 어른은 '()'에 비유하였답니다.

어른을 대신하여 를 이을 아이가 태어났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세조를 대신하는 아이는 당연히 1대가 되고 세조는 0대가 됩니다.

 

= + 스물 으로 3십을 말합니다.

영어로 Generation(세대)를 말합니다.

보통 평균적으로 아비와 지식의 나이의 차가 3십년 정도는 된다고 합니다.

물론 장가를 빨리 가서 서른 살 전에 득남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요즘은 서른 이후에 주로 대를 이을 장남을 얻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어쩠던 3십년을 말합니다.

= + = 3x 으로 서른 살의 차이를 말합니다.

 

참고로 '화살 ()''어린 화살 또는 짧은 화살 ()''위의 창 ()''주살 ()'과 병행하여 '어른''어린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입니다.

 

위에서 대를 이을 아기를 말하여 다음과 같은 한자는 아기를 업는 강보대신에 袍袋綺[포대기]에서 ()는 어린아이를 말하는 의 합으로 어린아이를 싸는 베냇 저고리나 襁褓[강보]의 다른 말인 포대기[袍袋綺]를 말합니다.

 

아기처럼 벌거벗은 모양을 '벌거벗은 '과 아기처럼 옷을 입지 않거나 수염이나 머리가 벗겨진 모양을 '대머리'에서 []도 어원이 같아요.

수염이나 벗겨진 머리처럼 싹쓸이를 말할 대 토벌[討伐]한다고 하고 집을 짓기 위해 숲에 있는 나무를 베어내고 '나대지[裸垈地]'를 마련할 때 '나대지'에서 = +가 됩니다.

 

나 자신을 지킬 수 있는 어른이 되었을 때 나 자신을 ''라고 할 때도 성인의 상징인 ''가 들어 있어요.

물론 어린아이가 나를 말할 때나 여자가 나 자신을 지칭할 때나 자시자신을 낮추어 말할 때는 ''를 씁니다.

 

위에서 ()()의 차이와 ()()의 차이와 ()()의 차이를 아시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