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항렬자 사용 - 4
앞 회에서 항렬자를 사용한 제1파와 제2파를 설명하였습니다.
이어서 제3파와 제4파의 항렬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제3파(第三派) 국당공파 오공계대(菊堂公派塢公系代) - 국당공후 정순공파
[自塢始至容(자오시지용)]
-국당공파 정순공(靖順公派. 휘 誠中)계대는 중조 21세 塢(오)에서 시작하여 34세 容(용)까지 표시했다.
○ 1세 중시조부터 ~ 16세 성암공(휘 인정). 동암공(휘 진). 송암공(휘 세기) 3형제의 계대는 위 ‘익재공후 창평공후 재사당공’ 계대의 중시조 1세~16세까지 계대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중시조 17세부터 21세 오(塢)까지 차례로 세수에 따라 계대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항렬자를 사용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17세 ①천(蒨)-②매(邁)-③과(薖)-④조(蓨) - (從艹종초. 외자)
18세 ┗①경중(敬中)- ②배중(培中)- ③달충(達衷)- ④성중(誠中) - (○中중) *達衷-(初)達中
19세 --------------①원(援)-②부(扶)-③휴(携) ┛- (從扌종수. 외자)
20세 --------------┗①현상(賢商)-②혁손(赫孫) - (항렬자 없음)
21세 -------------------------------┗①우(堣)-②오(塢)-③증(增) - (從土종토. 외자)
*분명히 붉은 글자로 표시한 글자는 항렬자로 볼 수 있는 글자입니다.
◈ 위 항렬을 세수별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4세→ 5세 → 6세→ 7세→ 8세→ 9세→ 10세→11세→12세→13세→14세→15세→
潤○--承訓--周○--○偁--侈連--寵暹--春○--玄福--宣用--升高--得堅--從羽--
윤○--승훈—주○---○칭—치련—총섬---춘○--현복—선용—승고---득견—종우--
16세→ 17세→18세→19세→20세→ 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
世基---從艹---○中---從扌--赫孫----從土--自○--從鳥---○一---從水---仁○--
③세기-종초---○중—종수--②혁손-종토—자○--종조---○일—-종수---인◌--
------------------------------①현상--塢(오)
27세→ 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 34세
從火---重○---從玉--○漢--從木---○容---○從土--○容
종화---중○---종옥--○한—종목---○용----종토---○용
*중시조 21세 塢(오)부터 항렬자를 사용하였다고 하나 중시조 17세에 從艹(종초) 부수 사용. 18세에 ○中. 19세에 從扌(종수) 부수를 사용하고 20세에 ①현상(賢商) ②혁손으로 같은 자가 없으나 다른 4촌 형제들은 ‘◌商’으로 이름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중시조 21세에서 항렬자로 할 것이 아니라 중시조 17세 ‘從艹’를 항렬자로 하여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제4파(第四派) 상서공파 판관공(성무)계대(尙書公派判官公-成茂-系代) - 상서공파
[自成茂始至裕(자성무시지유)]
-상서공파(尙書公派)에서는 중조 22세 성무(成茂)에서 시작하여 34세 유(裕)까지 표시했다.
○ 1세 중시조부터 ~ 16세 성암공(휘 인정). 동암공(휘 진). 송암공(휘 세기) 3형제의 계대는 위 익재공후 창평공후 재사당공 계대의 1세 ~ 16세까지 계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중조 17세부터 22세 성무(成茂)까지 차례로 세수에 따라 계대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항렬자를 사용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17세 ①蒨(천)- ②邁(매)- ③薖(과)- ④蓨(조)
-------┗ (從艹종초. 외자)...↓
18세 ----------------------元普(원보) ← 17세 상서공 ③薖(과)의 장자
19세 승(昇)----------------┛
20세 ┗①延孫(연손)------------------------------------------ ②承孫(승손)- (○孫손))
21세 ①숭수(숭수) ┻ ②鐵堅(철견) - ③釘堅(정견) - ④石堅(석견)--┗和堅(화견)- (○堅견))
22세 ┗①-②-③-④..┗①-②-③-④-⑤..┗①-②--┓--┗①효장-②예장--┗성엽
-成茂.成標.成禧.成達--成禎.允禎.安禎.益禎.克禎--┗成林.成柱------------成燁- (成성○)
◈ 위 항렬을 세수별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4세→ 5세→ 6세→ 7세 → 8세 → 9세→ 10세→11세→12세→13세→14세→15세→16세→
潤○--承訓--周○--○偁---侈連---寵暹---春○---玄福--宣用---升高--得堅---從羽---世基--
윤○--승훈—주○--○칭—치련-—총섬—춘○---현복—선용— 승고—득견---종우—세기--
17세→18세→19세→20세→21세→ 22세→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從艹---元普---昇----○孫---○堅---成○---○臣---夢○--○福---○男---時○--
종초— 원보—승----○손---○견---성○---○신--몽○--○복----○남---시○--
--------독자—독자-----------------┗成茂
28세→ 29세→30세→31세→ 32세→33세→ 34세→35세→36세→37세→38세→
世○---○佐---宗○---敬○---○奎---啓○---裕○--○榮---圭○---鍾○--○雨--
세○---○좌---종○---경○---○규---계○---유○--○영---규○----종○---○우--
*35세 이하는 대동항렬인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에 따릅니다.
*중시조 22세 성무부터 34세 ‘유’항렬까지 항렬자를 사용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22세 성무 윗대인 17세- 從艹. 18세- 독자. 19세- 독자. 20세- ○孫. 21세- ○堅 으로 형제 이름을 같은 글자로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항렬자가 분명하지 않는가?
우리 경주이씨는 중조 35세 이후의 항렬자는 쌍오행의 뜻을 가진 글자로 항렬자로 하였고 36세와 37세 항렬자 규○.
종○ 항렬자를 제외하고는 이름자 2자 중 앞- 뒤- 앞- 뒤로 지그재그 식으로 항렬자를 배열 하였습니다.
36세와 37세 항렬자 규○. 종○ 항렬자는 중조 35세 이후에 대동항렬인 ‘경주이씨 항렬제차’ 제정 전에 진천문중에서 쓰던 항렬자를 그대로 사용한 결과로 이전에는 지금의 이름 두자에 지그재그 식으로 항렬자를 넣어 사용하도록 한 규칙이 없었기 때문에 규○. 종○으로도 쓰여 항렬자를 앞-앞으로 항렬자의 앞-뒤-앞-뒤 배열과는 상관없이 쓰인 항렬자입니다.
중조 38세 ‘우’항렬 이후부터 이름 두자에 ‘앞-뒤-앞-뒤’에 항렬자를 넣어 좀 더 종친 간에 차서(次序)를 쉽게 알아보도록 하여 예를 다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