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대손과 세손의 구분

녹전 이이록 2019. 10. 24. 09:46

대손과 세손의 구분



이래저래 카페를 둘러보니 대손 이라고 할 때도 있고 세손이라고 할 때도 있더라고요.


다 같은 말인 건지 아니면 어떤 게 맞는 말인지 알고 싶어요.


답변)


N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의 구분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에 대하여 설명 드립니다.


*대 원칙은 세()는 시조나 자신을 포함한 숫자이고 대()는 위나 아래로 셀 때는 시조나 자신을 제외한 숫자입니다.


시조(始祖) 기준하여 세(), () 구분

 

저는 시조로부터 28세손 왕명(旺命)입니다, 예시로 들겠습니다.


-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세()를 헤아려 보면 1(시조), 2. 3. 4. 5. 28()

==> 시조를 기준으로 "28세손(世孫)"


-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대()로 헤아려 보면 0(시조). 1. 2. 3. 4. 527(

  ==> 시조를 기준으로 "27대손(代孫)"

  

결국, 위에서 보듯, ()보다 대()가 숫자 한 개가 작습니다.


자기(自己) 기준하여 세(), () 구분

 

저는 시조로부터 28세손 왕명(旺命)입니다, 예시로 들겠습니다.


위와 같이 시조를 1()로 하여 자기가 28()"28세손(世孫)", 시조의 27대손(代孫)"이고, 반대로 시조는 "27대조(代祖)"라고 해야 올바른 표현입니다.


다시 말해, “28대손(代孫)”, “28대조(代祖)라고 표현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소견)


시조(始祖)를 기준하여 세(), () 구분과 자기(自己)를 기준하여 세(), () 구분의 설명은 같은 말의 연속입니다.


시조 기준 저는 시조로부터 28세손 왕명(旺命)입니다, 예시로 들겠습니다.

자기 기준 저는 시조로부터 28세손 왕명(旺命)입니다, 예시로 들겠습니다.


* , 의 두 말은 같은 말입니다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세()를 헤아려 보면 1(시조), 2. 3. 4. 5. 28()

==> 시조를 기준으로 "28세손(世孫)"


-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대()로 헤아려 보면 0(시조). 1. 2. 3. 4. 527() ==> 시조를 기준으로 "27대손(代孫)“


시조를 1()로 하여 자기가 28()"28세손(世孫)", 시조의 27대손(代孫)"이고, 반대로 시조는 "27대조(代祖)"라고 해야 올바른 표현입니다.


*, 두 말의 뜻은 같은 뜻의 말입니다.


다만 의 앞말은 같은 말이나 뒷말인 반대로 시조는 "27대조(代祖)"라고 해야 올바른 표현입니다.’만 다른 표현으 로 말한 것입니다.


[*대 원칙은 세()는 시조나 자신을 포함한 숫자이고 대()는 위나 아래로 셀 때는 시조나 자신을 제외한 숫자입니다.]


소견)


위 이론은 세와 대는 다른 뜻인 ‘2=1로 읽는 이의론논지의 한 원칙입니다.


이의론1945년 이후에 몇몇 학자들에 의해 ‘2=1’. ‘=2-1’. ‘상대하세’. ‘대불급신을 적용하여 아래로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고 위로 =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는 새로운 이론을 세워 교실. 방송강의. 신문. 저서. 족보 안내서에 홍보되어 60여 년간 대세를 이루어 일반화된 논리이나 잘못된 논리입니다.


본디 우리 조상님들께서는 1945년 이전에 오랫동안 사용한 동의론을 사용하여 문헌과 족보에 그 쓰임을 알렸으니 =.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 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읽었습니다.


위 설명된 이의론논지는 아래의 표와 같이 읽습니다.


고조 - - 증조 - - - - - ()

1.............2............3........4........5

(2=1)....1............2........3........4

1(?)......2(?)....3세조.....4세조.....5세조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음.

(대불급신)...1대손........2대손.....3대손.....4대손 본디 원칙은 上代이나 下代로 읽음

4.............3...........2........1.........(2=1)

4대조..........3대조........2대조.....1대조.....(대불급신) - ‘=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음.

 

[시조(始祖) 기준하여 세(), () 구분


저는 시조로부터 28세손 왕명(旺命)입니다, 예시로 들겠습니다.


-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세()를 헤아려 보면 1(시조), 2. 3. 4. 5. 28()

=> 시조를 기준으로 "28세손(世孫)"


-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대()로 헤아려 보면 0(시조). 1. 2. 3. 4. 527() => 시조를 기준으로 "27대손(代孫)"

  

결국, 위에서 보듯, ()보다 대()가 숫자 한 개가 작습니다.]


소견)


위 내용은 이의론으로 전 문장이 모두 잘못된 설명입니다.


저는 시조로 부터 28세손 왕명(旺命)입니다,’에서 ‘28세손의 의미는 ‘28^ ’. ‘28세 후손의 의미이지 시조의 28세손이 아닙니다.


시조로 부터 28세의 의미는 시조의 28세손이 아니고 시조의 27세손이라고 읽는 것이 바릅니다.

시조 28세 왕명(旺命)은 시조의 27세손(=27대손)이라고 읽는 것이 바릅니다.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세()를 헤아려 보면 1(시조), 2. 3. 4. 5.28()

=>시조를 기준으로 "28세손(世孫)]


소견)


아래의 표와 같이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었습니다.


1- -2-- 1011-2021- 25262728

1(?)..2(?)..10세손..11세손....20세손..21세손.....25세손..26세손..27세손..28세손

---------------

(기준).....1세손.......9세손...10세손....19세손..20세손.....24세손..25세손..26세손..27세손


[시조(始祖)를 기준으로 대()로 헤아려 보면 0(시조). 1. 2. 3. 4. 27() => 시조를 기준으로 "27대손(代孫) ]


- 위 설명을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 - 2--1011-2021-25262728

(대불급신)...1대손......9대손...10대손....19대손...20대손...24대손...25대손..26대손..27대손


소견)

본디 이의론상대하세로 읽기 때문에 는 위로, 는 아래로만 읽어 몇 세손과 몇 대조로는 읽을 수 있어도 몇 세조와 몇 대손으로는 읽지 못합니다.


위 시조 28세를 시조의 27대손으로 바르게 읽었으나 원칙 상대하세를 적용하면 27대손으로 읽지 못합니다.


[자기(自己) 기준하여 세(), () 구분

 

저는 시조로부터 28세손 왕명(旺命)입니다, 예시로 들겠습니다.


위와 같이 시조를 1()로 하여 자기가 28()"28세손(世孫)", 시조의 27대손(代孫)"이고, 반대로 시조는 "27대조(代祖)"라고 해야 올바른 표현입니다.


다시 말해, “28대손(代孫)”, “28대조(代祖)라고 표현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소견)


이의론논지로 설명된 위 내용은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 - - 2-- 1011- 2021-25262728

1(?)....2(?)....10세손..11세손......20세손...21세손....25세손..26세손..27세손...28세손

(대불급신).1대손........9대손...10대손.......19대손...20대손...24대손..25대손...26대손...27대손

27대조.......26대조......18대조..17대조......8대조.....7대조.....3대조....2대조....1대조....(대불급신)


下世를 적용하여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어 28=28세손으로 읽었습니다.


대불급신을 적용하여 몇 대손으로 下代로 읽었습니다.


본디 상대하세를 적용하면 上代(상대. 몇 대조)로 읽어야 하는데 ‘27대손으로 읽었습니다.


원칙은 上代이고 는 위로 즉 몇 대조로 읽어야 하는데 下代몇 대손으로 읽었으니 이는 원칙을 무시하고 읽은 것입니다.


은 상대를 적용하여 위로 몇 대조로 바르게 읽었습니다.


시조님은 후손 28세 왕명(旺命)27대조(=27세조)로 바르게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