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손과 대손의 차이 - 3
아래와 같이 경주이씨 대파 ‘석탄공파’의 모 종친님의 문의에 CH 종친님이 답변을 올려 주었습니다.
답변의 내용인 즉 해방이후 세와 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내려 이의론을 정립하여 70여 년 동안 교실. 방송교육. 신문. 저서 등으로 홍보되고 교육된 세와 대는 다른 뜻인 ‘이의’논지로 된 답변입니다.
올린 답변에서 잘못 기술된 내용은 원문에 * 표시로 지적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뒤 아래에 소견을 올립니다.
【저는 석탄공파 40세손입니다.
근데 ‘40세손’이라 표현하는 건지 ‘40대손’이라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세손과 대손의 차이는 무엇인지요?】
답변) CH
먼저, *세(世)의 의미부터 알아봅시다.
초대 조상의 뿌리가 되는 분이 있으면 그분을 시조(始祖)혹은 비조(卑祖)라 칭합니다.
그 분이 1세(世)가 됩니다.
그다음으로 아들, 손자...등등으로 내려와서 2세, 3세...이런 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다음은 대(代)입니다.
대(代)란 본디 자신을 기준으로 하여 윗조상을 헤아려 읽는 말입니다.
즉 자신을 기준으로 하여 (자신은 셈에 넣지 않고) 아버지가 1대. 할아버지가 2대, 증조 3대, 고조 4대가 됩니다.
*제사를 흔히 사대봉사(四代奉祀)라고 하는데 아버지부터 시작하여 조, 증조, 고조까지 지냄을 의미합니다.
*문제는 대(代)가 세(世)의 의미처럼 쓰여 혼용되는 경우이겠는데, 대를 위에 설명한 세의 개념처럼 쓰일 때는 대(代)가 자신을 셈하지 않는 경우처럼 시조는 대에 포함 시키지 않고 2세부터 1대가 됩니다.
3세는 2대 , 4세는 3대... 즉, 대(代)를 사용하면 세(世)보다 숫자가 1이 작아집니다.
*흔히들 너는 무슨 김씨 몇 세손이냐, 몇 대손이냐 라고 물을 때 바로 알고 답을 해야겠습니다.
정확히 표현하면 세손이 맞습니다.
세손으로 묻고 세손으로 답을 하는 습관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정리]
대(代) : 자신을 기준으로 윗 조상을 셈하는 말 (아버지 1대)
세(世) : 시조를 포함하여 아래 후손을 셈하는 말 (시조 1세)
*대(代)는 조상을 셈하기 때문에 祖(조상 조)를 붙여 대조(代祖)라 쓰고 세(世)는 후손을 셈하기 때문에 孫(후손 손)을 붙여 세손(世孫)이라 씁니다.
소견) 이이록
먼저 문의자의 문의에 대한 답변부터 올립니다.
▲[석탄공파 40세손입니다.
근데 40세손이라 표현하는 건지 40대손이라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세손과 대손의 차이는?]
답변) 이이록
문의 자체가 잘못된 질문입니다.
‘석탄공파 40세손(=40대손)’이 아닙니다.
이 말의 해석은 ‘석탄공파 40세(=40대)’. '석탄공파 40세인 후손‘으로 말해야 합니다.
중시조를 1세로 하여 40번째로 태어난 ‘40세(=40대) 희.형 항렬’로 ‘중시조 40세(=40대)’이거나 ‘석탄공파 40세(=40대)’로 말합니다.
즉 중시조와 대파. 중파. 소파명 뒤에는 몇 세(=대)로 말합니다.
중시조 40세를 '40세손'과 '40대손'으로 말한 것은 모두 잘못된 말씀입니다.
40세손은 ‘40세 후손’으로 40대손은 ‘40대 후손’으로 해석하여 말하여야 바른 해석입니다.
우리말의 ‘몇 세손(=대손)’은 조상과 후손 간에 “후손 누구는 조상 누구의 몇 세손(=대손)이냐?”는 물음과 답변에 쓰이는 용어입니다.
문의자는 중시조 40세 ‘희. 형’ 항렬. 석탄공파 40세 ‘희. 형’항렬입니다.
중시조 40세를 ‘세=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어 ‘40세손’이나 ‘40대손’으로 말하면 안됩니다.
중시조 40세는 그냥 ‘중시조 40세(=40대)’일 뿐입니다.
이를 ‘40세손’이나 ‘40대손’으로 말하는 것은 우리말로 ‘40세 후손’, ‘40대 후손’의 뜻입니다.
위의 글 ‘석탄공파 40세손’은 잘못 말한 것이고 이는 ‘중조 40세(=40대)’나 ‘석탄공파 40세 후손(자손). 석탄공파 40대 후손’으로 말하거나 ‘시조님의 39세손(=39대손)’ . ‘석탄공의 21세손(=21대손)’으로 읽거나 말을 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즉 ‘세손은 대손과 같은 뜻’입니다..
‘40세=40대’로 같은 뜻이고 ‘40세손=40대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고 말합니다.
다음은 CH 종친님께서 올리신 답변에서 작못된 내용에 대한 소견)을 올립니다.
▲[*세(世)의 의미부터 알아봅시다.
초대 조상의 뿌리가 되는 분이 있으면 그분을 시조(始祖)혹은 비조(卑祖)라 칭합니다.
그 분이 1세(世)가 됩니다.
그다음으로 아들, 손자...등등으로 내려와서 2세, 3세...이런 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소견)
‘조상의 뿌리가 되는 분이 있으면 그분을 시조(始祖)혹은 비조(卑祖)라 칭하고 1세(=1대)로 말합니다.
그 아래 후손인 아들 2세. 손자 3세. 증손자 4세....등으로 헤아려 말하는 것으로만 설명하고 있습니다.
시조 혹은 비조는 1세(=1대)로 읽고 말합니다.
그러나 꼭 시조 혹은 비조만 1세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아래의 표와 같은 경우에도 조손간에 누구든 기준을 1세(=1대)로 하여 위로, 아래로 순번대로 읽고 말할 수 있습니다.
○ 고조 ~ 나 ~ 현손자의 계대
고조→ 증조 → 조 - → 부 - → 기(나)→ 자 - → 손 - → 증손 → 현손
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 – 중시조세수
35대.....36대.....37대.....38대.....39대......40대....41대.....42대.....43대
(1세)....2세.......3세......4세.......5세.......6세......7세.......8세......9세 – 계대세수(고조 1세)
(1대)....2대.......3대......4대.......5대.......6대......7대.......8대......9대
9세.......8세.......7세......6세.......5세.......4세......3세.......2세......(1세) - 계대세수(현손 1세)
9대.......8대.......7대......6대.......5대.......4대......3대.......2대......(1대)
5세.......4세......3세.......2세......(1세).....2세......3세.......4세......5세 – 계대세수(나 1세)
5대.......4대......3대.......2대......(1대).....2대......3대.......4대......5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