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의’논지의 ‘39世=39世孫’ - 7

녹전 이이록 2019. 4. 30. 09:11

이의논지의 ‘39=39世孫’ - 7



1945년 이후 지금까지 70여년 이상 世와 代는 다른 뜻으로 해석한 이의논지의 잘못된 교육으로 중시조 3939世孫이라고 잘못 읽고 말하고 있습니다.


시조중시조세수에 자를 붙여 39세를 39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고 말하는 것입니다.


세와 세손은 분명히 뜻이 다른데 이의론자들은 같은 뜻으로 읽습니다.


이의 잘못을 지적하니 도리어 내가 잘못 알고 있으니 더 살펴보라는 것입니다.


간단히 이렇게 생각해 봅시다.


나의 아들을 두고 아들은 나의 몇 세손?’이라고 묻는다면 나의 1세손이 맞을까요? ‘나의 2세손이 맞을까요?


~ 나의 계대


(아버지) - - (아들)

1(=1)...............2(=2)

(기준. 나의)...........1세손=(1세손)

2(=2)..............1(=1)

1세조(=1대조).......(기준. 나의)


아버지께서 기준이니 1(=1)이고 나는 2(=2)입니다.


내가 기준으로 1(=1)이면 아버지는 2(=2)입니다.


그래서 나는 아버지의 1세손(=1대손)’이고 아버지는 나의 1세조(=1대조)’입니다.


아래의 글은 우리 조상님들께서 사용하였고 기록으로 남긴 족보나 문헌에 있는 용례입니다.


대종보 P137 鷄城府院君景節公神道碑銘(계성부원군 경절공 신도비명)

- 延安 金晩秀撰(연안 김만수 찬) - (세조)


대종보 P137 23

[....四傳之諱淑眞尙書中丞 元宗時擊賊于仇浦珍島 仇有凱還勞績 *於公爲五世祖也]


P138 역문 종 46

- 四代를 내려와(四傳4) 淑眞(숙진)에 이르러서는 尙書中丞(상서중승)이니 元宗(원종)때에 仇浦. (구포). 珍島(진도)에서 도적을 격퇴하고 개가를 부르고 돌아온 공적이 있으니 공에게 五世祖(5세조)이다.


*원문에서 [四傳(4)]四代로 역문하였는데 四世와 같습니다.


五世祖(5세조)의 의미를 알아봅시다..


휘 숙진은 10세 문하시랑공 휘 춘림 계대로 중조 15세로 벼슬은 상서중승이다.


계성부원군 경절공(휘 래) 중시조 20세로 석탄공(휘 존오)이 아버지이시다.


중시조 20세 경절공(휘 래)를 기준으로 아버지 석탄공(휘 존오)1세조(=1대조)이고 할아버지 감승공(휘 길)2세조(=2대조). 증조할아버지 두정공(휘 손보)3세조(=3대조). 고조할아버지 감창공(휘 예)는 경절공의 4세조(=4대조)이고 고조할아버지의 아버지인 중시조 15세 상서공(휘 숙진)은 경절공(휘 래)5세조(=5대조)입니다.


15세 숙진 ~ 20세 래의 계대


15→ ②16→ ③17→ ④18→ ⑤19→ ⑥20

상서공......감찰공......두정공.....감승공....석탄공......경절공

숙진......................손보........길상........존오.........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나의)

高祖之父...고조..........증조...............................()


'世祖'는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아랫대 후손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ㄹ고 기준의 윗대를 1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즉 후손인 경절공(휘 래)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제외하고. 빼고) 기준의 윗대인 아버지 19세 석탄공을 1. 할아버지 18세 사재감승공 2. 증조부 17세 두정공 3. 고조부이신 16세 감찰공 4이며 15세 상서공이 5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 세조를 붙여 읽습니다.


상서공(휘 숙진)5로 읽으니 경절공(휘 래)5세조가 틀림없습니다.


昌平縣令諱公麟墓碣銘(창평현령 휘 공린 묘갈명) - 二樂亭集卷之十五(이요정집 권지 15)

- 이요정 신용개 저서 - (세조)


[昌平縣令李公墓碣銘

公諱公麟 字某 慶州著姓*六世祖齊賢 號益齋 貴顯高麗朝 官侍中 文章德業 高一代 ]


[*六世祖齊賢 號益齋(6세조 제현 호 익재)

- 6세조는 제현으로 호는 익재이다.


익재공(휘 제현)부터 창평공(휘 공린)까지의 계대.


17- → ②18- → ③19→ ④20세 - → ⑤21세 - → ⑥22- → ⑦23

제현(齊賢)..달존(達尊)...(德林).....().........계번(繼蕃)...윤인(尹仁)...공린(公麟)

익재공........운와공.........군사공....도안무사공..낙안공........감사공........창평공

6세조..........5세조..........고조........증조........................................()


17세 익재공(휘 제현)23세 창평공(휘 공린)6세조가 됩니다.


아랫대가 기준이 되니 아랫대부터 윗대로 차례대로 올라가며 헤아려 봅시다.


기준이 되는 창평공(휘공린) 자신은 제외하고 아버지 22세 감사공(휘윤인)1세조. 할아버지인 21세 낙안공(휘 계번)2세조. 증조부인 20세 도안무사공(휘 신)께서 3세조. 고조부이신 19세 군사공(휘 덕림)께서 4세조. 5대조인 18세 운와공(휘 달존)5세조. 6대조인 17세 익재공(휘 제현)6세조입니다.


창평공(휘 공린)6세조는 익재공(휘 제현)이 틀림없습니다.


吏曹判書慶徽諡狀(이조판서 경휘 시장) - 西堂私載卷之十一(서당사재 권지 11).

서당 이덕수의 저서 - (세조)


[公姓李氏諱慶徽字君美自號春田居士又穪默好(中略)

其後門下侍郞鷄林府院君文忠公齊賢以文章德業名聞中朝世穪爲益齋先生

入本朝有諱尹仁官平安道觀察使生諱公麟官昌平縣令(中略) 果育八男

其弟三諱黿文科禮曹佐郞號再思堂沒於甲子史禍追贈都承旨*寔公五世祖也]


[寔公五世祖也(식공 5세조야)]

- 재사당공은 공(춘전공)5세조이다.


* 은 춘전거사(春田居士) 이조판서(吏曹判書) 휘 경휘(慶徽)를 가리킵니다.


24세 재사당공(휘 원) ~ 29세 춘전공(휘 경휘)의 계대.


24→ ②25→ ③26→ ④27→ ⑤28→ ⑥29

........................경윤.........대건.........시발........휘 경휘

재사당공...승지공.....군수공......오촌공......벽오공.....춘전공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


世祖(세조)‘는 후손인 맨 아랫대를 기준으로 기준은 제외하고 기준의 윗대를 1세조로 하여 그 다음 윗대로 헤아려 올라갑니다.

즉 맨 아랫대인 29세 춘전공(휘 경휘)을 기준으로 춘전공은 제외하고 다음 윗대인 28세 벽오공(휘 시발)1세조로 하여 그 윗대를 헤아려 가면 재사당공(휘 원)5세조로 읽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