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손 5세간은 ‘4세조’이고 ‘4세손’입니다. - 1
아직도 ‘世(세)=世孫(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고 답변하는 종친님들이 계십니다.
아래 글은 다른 많은 성씨에서도 ‘세와 대는 동의’ 로 기록하였음을 보여주는 용례입니다.
바르게 알아서 후손들에게 바르게 전달해야 합니다.
[세(=대). 세조(=대조). 세손(=대손)]로 등호(=)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읽어야 합니다.
아래의 용례는 여러 성씨의 ‘세와 대는 동의’로 읽는 용례입니다.
조상님들은 이렇게 세와 대를 동의로 읽고 기록하였음을 알아야 합니다.
혹 잘못 기술된 부분도 있을 것입니다만 지적해 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단애 이참판 비명(丹崖李參判碑銘) 기언별집80권(記言別集卷之十八) - ( 몇 세조)
[公諱敬中。字公直。別號丹崖。姓李氏。我世宗諸王子桂陽君璔之四世孫也。
三世祖江陽君潚。爲世父潭陽君璖之後。而生喜安君輯。喜安君生錦川君瑊。於公爲皇考]
▶ 전주이씨 휘 경중의 계대입니다.
①桂陽君璔→ ②江陽君潚→ ③喜安君輯→ ④錦川君瑊→ ⑤敬中
계양군 증.......강양군 숙.......희안군 집.....금천군 감.......경중
1세.................2세...............3세...............4세................5세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위 표는 ‘동의’ 논리로 정리한 것임.
△[桂陽君璔之四世孫也(계양군 증 지 4세손야)]
- 계양군 증의 4세손이다.
- 경중은 계양군 증의 4세손이다.
‘세손’은 주어진 계대에서 맨 윗대 조상인 계양군 증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다음 아랫대 아들 강양군 숙을 1세손으로 읽고 다음 대 손자인 희안군 집을 2세손. 다음대인 증손자 금천군 감을 3세손. 5세인 경중을 4세손으로 읽는다.
△[三世祖江陽君潚(3세조 강양군 숙]
- 3세조는 강양군 숙이다.
-경중의 3세조는 강양군 숙으로 증조부(曾祖父)이다.
‘세조‘는 맨 아랫대 후손인 경중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다음 윗대인 아버지 ’금천군 감‘을 1세조로 읽고 조부인 ’희안군 집‘을 2세조. 증조부인 ’강양군 숙‘을 3세조로 읽고 고조부인 ’계양군 증‘을 4세조로 읽는다.
◆호조판서 김공 신도비명(戶曹判書金公神道碑銘) 기언 90권(記言卷之十九) 중편(中篇)
- (몇 세조)
[公諱世濂。字道源。姓金氏。其先本一善人。三世祖弘遇。永柔縣令。祖孝元。事宣祖。
重於時。貳於當路者。斥出爲永興都護府使。卒。父克鍵。通川郡守]
▶ 선산 김씨 세렴의 계대
①三世祖弘遇→ ②孝元→ ③克鍵→ ④世濂
3세조 홍우.........효원.........극건........세렴
3세조.................2세조.......1세조......(기준)
△[三世祖弘遇(3세조 홍우 )]
- 3세조는 홍우이다.
- 세렴의 3세조는 증조부(曾祖父)인 홍우이다.
맨 아랫대인 4세 휘 세렴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으니까 그 윗대 아버지 휘 극건을 1세조로 읽고 할아버지 휘 효원을 2세조로 증조부인 휘 홍우를 3세조로 읽는 것이다.
◆ 유인 권씨(孺人權氏-仲父亮配) 묘명(墓銘)- 기언44권(記言卷之四十四)- (몇 세조)
[孺人姓權氏。籍永嘉....三世祖諱溥。司憲府監察。大父諱世種。恭僖二十八年進士。
與太學生陳宇。同學慕齋先生。文定時。有士禍。陳宇被禍死。公終身不出。至昭敬世。
追爵公司憲府持平。父諱以中。以孝友稱]
▶ 안동 권씨 유인 권씨의 계대
①(三世祖)溥→ ②世種→ ③以中→ ④孺人權氏
(3세조) 부........세종........이중........(유인)권씨
3세조...............2세조......1세조.......(기준)
△[三世祖諱溥(3세조 휘 전)]
유인 권씨의 3세조는 증조부(曾祖父)인 휘 부이다.
‘3세조 휘 부‘는 어떻게 세조를 읽었기에 3세조가 되겠는가?
유인 권씨를 기준으로 하되 유인 권씨는 헤아리지 않고 그 윗대 아버지 휘 이중(以中)을 1세조로 읽고 그 윗대 할아버지 휘 세종(世種)을 2세조 읽고 그 윗대 증조부 휘 부(溥)를 3세조로 읽은 것이다.
◆ 이해(중형) 묘갈명(李瀣-仲兄 墓碣銘)- (退溪先生文集卷之四十七)- (몇 세조)
[公諱瀣。字景明。其先眞寶縣人。....六世祖諱碩。以吏試司馬。贈密直使...]
▶ 진성 이씨(眞城李氏) 해(瀣)의 계대는 다음과 같다.
①碩 → ②子脩 → ③云侯 → ④禎 → ⑤繼陽 → ⑥埴→ ⑦瀣/滉
석,,,,,,,,,자수.........운후........정.........계양........시.........해/황
6세조.....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世祖’는 아랫대를 기준으로 기준은 제외하고 그 다음 윗대 아버지를 1世祖로 헤아려 올라가면 휘 석(諱碩)은 휘 해/황(瀣/滉)의 六世祖임이 틀림없다.
◆ 찰방이공(여인) 묘갈명(察訪李公(汝寅)墓碣銘)-(沙溪遺稿卷六- 김장생) -(세조)
[公延安人。五世祖石亨。策佐理勲府院君.....
(공 연안인。5세조 석형。책 좌리훈 부원군)]
▶ 연안 이씨(延安李氏) 여인(汝寅)의 계대는 아래와 같다.
①석형(石亨)→ ②혼(渾)→ ③수장(壽長)→ ④의(嶬)→ ⑤정현(廷顯)→ ⑥여인(汝寅)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아버지(廷顯)을 1世祖로 하여 휘 석형(石亨)까지 5세조로 읽으니 휘 석형(石亨)은 6세 휘 여인(汝寅)의 5세조이다.
‘세조’는 맨 아랫대 후손 기준으로 윗대의 조상을 헤아려 읽을 때 쓰이는 만큼 휘 여인 기준으로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다음 윗대인 아버지 휘 정현을 1세조로 읽고 다음 윗대인 휘 의를 2세조 읽어 휘 석형까지 헤아리면 5세조로 읽는다.
◆ 참봉 김공결 묘갈명(參奉金公潔墓碣銘)-(愼獨齋遺稿卷之八- 김집) - ( 몇 세조)
[....三世至諱國光。左議政....是公之五世祖也.....
.....(3세 지 휘 국광。좌의정....시공 지 5세조야)]
▶ 광산 김씨(光山金氏) 결(潔)의 계대는 아래와 같다.
①국광(國光)→ ②극수(克羞)→ ③충윤(忠胤)→ ④균(鈞)→ ⑤유휘(有輝)→ ⑥결(潔).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5대조.................고조.................증조.................조...............부.....................기(나)
△‘몇 세조’는 ‘기준(아랫대 후손)의 몇 세조‘임을 묻는 경우이다.
몇 '세조'를 헤아려 읽는 방법은 아랫대 후손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제외하고 기준의 윗대를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즉 맨 아랫대인 참봉공(휘 결)이 기준이 되고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그 윗대인 父(有輝유휘)를 1世祖, 조부를 2세조, 증조부를 3세조, 고조부를 4세조로 세어 윗대로 올라가면 휘 국광(國光)은 휘 결(潔)의 5세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