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백. 중. 숙. 계(伯仲叔季) 호칭 - 3

녹전 이이록 2019. 4. 1. 09:38

. . . (伯仲叔季) 호칭 - 3



[백중숙계(伯仲叔季)의 호칭에 대한 설명이 알고 싶습니다.]라는 글이 올라오니 유명한 S선생의 글이 올라오고 이에 대한 필자가 소견을 올리니 M님이 큰아버지는 한분뿐이라는 댓글이 올라 왔기에 이에 대한 국어사전이나 국립국어원에 질의하여 받은 답변을 올렸습니다.


국립국어원에 질의(2010. 10. 20)

맏이막내를 여러 형제자매 중에서 제일 손위이거나 맨 나중에 난 사람을 지칭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국립국어원 대사전의 풀이로 맏 어머니(큰어머니)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맏 아버지는 검색에 없습니다.


이로 보면 형제자매에게 붙이는 맏이맏 어머니로 쓰면 안 되는 것이 아닌가요?


국립국어원 답변(2010.10.21)


안녕하십니까?


생각하신 대로입니다.


맏 어머니큰어머니의 잘못이므로, ‘맏 어머니가 아닌, ‘큰어머니로 써야 한다는 뜻입니다.


아래 보기와 같은 사전 정보는 맏 어머니는 표준어가 아니므로, 표준어인 큰어머니의 뜻풀이를 참고하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보기>


–  어머니 명사큰어머니.


(소견)


맏이막내는 형제의 순서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단어이므로 웃어른들의 순서에 붙여 말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맏어머니’. ‘맏아버지로 쓰거나 읽으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고로 한자어 백부(伯父)백부님그대로 사용해야지 이를 우리말로 큰아버지로만 해석한다면 무리가 있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말 큰아버지는 나의 아버지의 형들을 내가 지칭하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예로서 국립국어원사전 정보에 첫째 큰어머니’. ‘둘째 큰어머니’...등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백부님은 백부님그대로 읽거나 첫째 큰아버지라고 불러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1) 한자어 백(((계부(季父) 호칭에서 아버지를 포함한 아버지 형제 4형제에서 차례대로 백부(伯父)첫째 큰아버지만을 일컫고 중부(仲父)둘째 큰아버지’. 숙부(叔父)작은아버지계부(季父)는 형제 중 끝(막내) 아버지를 일컫습니다.


4형제일 때 호칭이 위와 같다면 7형제일 때 아버지가 넷째라면 한자어의 백. . . 계의 호칭은 맞지 않습니다.


아버지 형제가 7명이고 형제 중 넷째일 때 호칭


장자 - - 차자 - - 3- - 4- - 5- - - 6- - - 7

백부..........중부...........중부.....................숙부............숙부............계부

.................................................

첫째..........둘째...........셋째.........아버지......첫째............둘째............셋째(막내숙부)

큰아버지....큰아버지....큰아버지..................작은아버지...작은아버지...작은아버지


한자어 그대로 해석하면 둘째큰아버지는 중부(仲父)다음 중. 버금(둘째) 으로 역시 한 분뿐이라고 생각되나 가운데 중으로도 쓰여 두 번째만 뜻하는 말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중부(仲父)는 셋째. 넷째 큰아버지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일 것 같고 작은 아버지는 모두 숙부(叔父)라고 하되 계부(季父)형제 중 막내 아버지를 일컫습니다.


그러나 막내 아버지라는 호칭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웃어른께는 맏이막내라는 말은 쓰지 않기 때문입니다.


단지 설명할 때는 형제 중 제일 마지막으로 태어났다는 뜻에서 쓰일 뿐입니다.


혹자는 중부(仲父)둘째 큰아버지로만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셋째. 넷째 큰아버지가 있으면 한자어 부름말이 없게 됩니다.


그래서 숙부(叔父)를 계부(季父)외는 모두 작은 아버지로 부르는 만큼 중부(仲父)도 숙부(叔父)와 같은 입장에서 백부(伯父)외의 큰아버지는 모두 중부(仲父)로 읽는 것이 바를 것 입니다.


* 맏이와 막내는 여러 형제자매 중에서 제일 손위(맏이)이거나 맨 나중에 난 사람(막내)을 지칭하며 어른들께는 쓰지 않는 용어라고 합니다.


맏 어머니. 맏 아버지. 막내 아버지. 막내 어머니라는 말은 쓰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2. 나의 아버지를 기준으로 나는 아버지의 형들은 큰아버지’. 아버지의 동생은 모두 작은아버지로 호칭함이 바릅니다.


아버지의 형이 3명이면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 셋째 큰아버지로 호칭하면 쉽게 큰아버지들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혹자는 큰아버지는 백부(伯父)’만을 칭해야 한다고 하나 우리말 큰아버지백부만을 칭하는 것이 아니고 아버지의 형들은 모두 큰아버지로 칭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아버지 형제들을 부르는 한자어 백(((계부(季父)와 같이 구분된 지칭어나 호칭어가 있으면 모르겠으나 구분된 용어가 없기 때문입니다.


1) 아버지께서 형제일 때


형제 중 아버지께서 형일 때는 나는 아버지의 동생을 작은아버지로 부르고 아버지의 동생이면 나는 작은아버지로 부릅니다.


2) 아버지께서 3형제일 때


아버지께서 맏이이면 아버지 동생을 나는 첫째 작은아버지’. ‘둘째 작은아버지로 부르고 아버지께서 둘째이면 아버지 형을 나는 큰아버지로 부르고 아버지의 동생은 작은아버지로 부르면 될 것이고 아버지께서 막내(셋째)이면 아버지 형들을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로 부릅니다.


3) 아버지께서 4형제일 때


아버지께서 맏이이면 아버지의 바로 아래 동생들을 나는 차례로 첫째. 둘째. 셋째 작은아버지로 둘째이면 아버지의 형은 큰아버지’. 아버지의 동생들은 첫째. 둘째 작은아버지로 아버지께서 셋째이면 아버지의 형은 첫째. 둘째 큰아버지로 아버지 동생은 작은아버지로 부르고 형제 중 넷째이면 모두 아버지 형들이니 첫째. 둘째. 셋째 큰아버지로 부릅니다.


4) 아버지께서 5형제일 때


맏이이면 아버지의 동생들을 나는 첫째. 둘째. 셋째. 넷째 작은아버지로 둘째이면 아버지 의 형은 큰아버지’. 아버지 동생들은 첫째. 둘째. 셋째 작은아버지로 셋째이면 아버지의 형들은 첫째. 둘째 큰아버지. 아버지 동생들은 첫째. 둘째 작은아버지로 넷째이면 아버지의 형들은 첫째. 둘째. 셋째 큰아버지. 동생은 작은아버지로 부르고 다섯째이면 모두 아버지 형들이니까  첫째. 둘째. 셋째. 넷째 큰아버지로 불러야 할 것입니다.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첫째 작은아버지’. ‘둘째 작은아버지에서 첫째. 둘째는 순서. 차례를 말하고 다음으로 아버지의 형은 으로 아버지의 동생들은 작은으로 나타내어 부름말로 사용하면 한자어 백(((()를 우리말에 맞추어 구분하여 호칭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