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제사와 합제사(묘제)
세상이 얼마나 변했는지 이리저리 따져 보지도 않고 맹목적으로 이렇게 하면 편하고 좋다. 라고 하면 그쪽으로 휩쓸려 바른 쪽이 아닌 그른 쪽으로 ‘우-’ 하고 몰려갑니다.
‘시대의 흐름’이라는 말로 그것이 맞다. 고 맞장구치는 유학자님도 있습니다.
인터넷에 보면 4대(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봉사인 기제사 대상자를 부부별로, 조손별로 한데 묶어 합제사로 모시려는데 그것을 고하는 때와 축문과 부모 중 누구에게로 합치는 것이 좋으냐? 는 등의 문의가 많습니다.
묻지 말아야 될 질문을 아무 것도 모르고 무턱대고 막 묻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기제사를 부부별로, 조손합제로 하나로 묶어 모시는 제사는 일찍부터 없었기 때문입니다.
먼저 기제사와 합제사를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표로 나타내어 보겠습니다.
구분.................대상......................시기..........장소..........시간
기제사..............4대봉사 대상.........기일...........집.............밤
합제사(묘제).....5대조이상 선조......10월초.......묘(선영)......낮
*기일(忌日)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입니다. - 기일 안에 기제사를 모시면 됩니다.
*기제사 모시는 시간은 어느때부터인가 밤중에 모시기 시작하였으니 기일 ‘오전 0시 이후 부터 이날 해가 진 저녁 시간대인 밤’에 모십니다.
*합제사인 묘제(시제. 선조제)
*설. 추석 명절 아침 차례(4대 봉사인 기제사 대상자 모두)는 합제사 형식입니다.
4대(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봉사인 기제사를 1970년대 산업화 이후 부부가 맞벌이를 하는 가정이 늘자 제사로 인한 가정불화가 사회문제화 하자 이를 4대 봉사 기제사를 하나로 묶어 부부합제로 하여 연 8회의 기제사를 연 4회로 제사횟수를 줄이고 심지어 4대 봉사로 모시는 조상과 후손의 기제사를 모조리 하나로 묶어 조손합제로 제사를 모시는 경우도 생겨나게 된 것입니다.
여기에 시대의 흐름이라면서 유명 유학자들도 덩달아 아무른 생각없이 기제사를 합제사로 하는 축문까지 만들어 올리니 1970년대부터 40여 년간 새로 만들어진 기제사를 묶어 함제사로 하는 변례가 잘못된 제사로 모셔진 것입니다.
아래와 같은 문의에 올라온 답변에 소견을 올립니다.
【친정에 큰오빠 돌아가시고 둘째오빠 네가 제사를 지내는데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같이 지내고 아버지도 어머니와 같이 지내고 싶은데 엄마 날짜가 아버지보다 빠른데 같이 지내도 되나요?】
답변)
△ G
[합제사를 지낼 경우 어머님의 기일이 아버님보다 빠를 경우 어머님의 기일에 맞추셔서 아버님제사를 같이 모시면 됩니다.
합제사의 경우 빠른 분 날짜로 지내시면 됩니다.]
위 답변에 대한 소견)
우리의 제사 문화에 아버님 기제사와 어머님 기제사를 한데 묶어 합제사로 모시는 경우는 없습니다.
예부터 4대 봉사인 기제사를 부부별로, 조손별로 한데 묶어 합제로 하는 제사방법은 여태껏 없었던 방법입니다.
근대에 새로 만든 변례의 제사 방법은 기제사도 아니고 합제사도 아닌 엉터리 제사 방법입니다.
기제사를 묶어 합제사로 해도 된다는 유 학자의 언질에 그렇게 모셔도 된다고 하니 모두 제사 횟수를 한번이라도 더 줄이면 좋고 편하여 너도나도 그것이 바른 제사인지 그른 제사인지도 모르고 무턱대고 따라서 제사를 모시는 것입니다.
부모님 기제사를 하나로 묶어 합제사로 하는 자체가 잘못된 제사이고 기제사 일자가 빠른 분에 맞추어 제사를 모셔야 한다는 답변은 더욱 잘못된 답변입니다.
기제사를 묶어 합제사로 하는 우리의 제사 문화에는 예부터 없었던 방법입니다.
△ 이이록
제사 모시는 방법에는 기제사와 합제사가 있습니다.
기제사는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등 4대 봉사로 윗대 조상님이 각기 돌아가신 날 즉 다음 해부터 집에서 기일의 밤중인 오전 새벽 시간대나 오후 저녁 시간대에 제사를 모십니다.
합제사는 나의 5대조이상의 조상님들을 선영의 묘소에서 낮에 해당 후손들이 모두 모여 ‘묘제’로 모시는 제사입니다.
설과 추석에 기제사 대상자 신위를 모시고 ‘단잔무축(單盞無祝)’으로 지내는 차례도 합제사 형식입니다.
기제사는 큰 집안이면 4대 봉사로 모셔야 하나 작은 집안이면 집안마다 달라 3대 봉사(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2대 봉사(조부모. 부모). 1대 봉사(부모)로 기제사를 모시기도 합니다.
제사를 모시지 않으려면 몰라도 제사를 모시려면 위의 같이 기제사와 합제사가 무엇인지를 구분하여 알고 거기에 맞는 제사를 모셔야 합니다.
부부의 기제사를 한데 묶어 부부합제로 모신다면 두 분 중 한 분의 기일은 영영 없어지는 것입니다.
어머니 기일 기제사에 어머니 혼령이 찾아왔습니다.
1년에 한 번뿐인 기일 제사 상의 제사 밥과 음식, 그리고 설. 추석 두 번의 명절 차례 상의 제수를 조상님들과 같이 와서 잡수시고 1년을 지내는데 올해 기일에 제사상을 차려 놓은 줄 알고 찾아왔더니 아버지 기일에 얹어 합제사로 하니 제사음식은 고사하고 상도 보이지 않는다면 어떻게 어머니의 혼백이 머나먼 하늘과 땅으로 돌아갈까요?
제사를 모신다면 자식 된 도리로 최소한 나를 낳아주고 길러 주신 부모님의 은혜에 감사하는 의미로 부모님 제사는 각기 따로 기제사로 모셔야 합니다.
제사를 모시려면 바른 예법으로 제사를 모시고 모시지 않으려면 차라리 모시지 않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어떻게 조부모를 부부합제로, 부모를 부부합제로 하여 제사를 모시려는 것인지요?
기제사를 한데 묶어 합제사로 하는 변례의 제사를 만들어 모시는 제사는 우리의 제사문화를 혼란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4대 봉사의 폐단이 커 1973년 가정의례 준칙에는 2대 봉사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봉사대수는 줄일 수 있다는 뜻이니 조부모와 부모 제사는 기제사로 모시고 증조부모와 고조부모는 묘제(시제. 선조제)로 모시는 것이 제사 횟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입니다.
◈ 문의 △ A
【현실이 부부가 다 일하러다니니 제사 모시기가 너무 어려워요. 기제사날이 토. 일요일이면 그래도 나은데 말이죠. 그래서 합제사가 나온 모양인데 아무래도 그건 도리가 아니지요. 차라리 9월 9일 제사는 어떨는지요?】
답변) 이이록
*기제사를 부부별로, 조손별로 한데 묶어 합제로 하는 제사 방법은 예전에 없었던 방법이라고 여러번 말씀을 올렸습니다.
기제사를 부부별로 묶어 부부합제. 조상과 후손을 하나로 묶어 조손합제를 하여 모시는 제사는 불효이고 후손된 도리가 아닙니다.
*9월 9일 제사는 ‘중양절’ 제사로 보통 일가 친척 중 객지에서 언제 돌아가신 줄을 모를 때 이 날에 돌아가신 분을 위하여 모셔주는 제사로 중양절 제사가 이에 해당됩니다.
기제사는 기일에 기제사로 모셔야 합니다.
*제수 준비. 음식 만들기에 힘이 들고 버거우면 간략히 상을 차리세요.
제사. 차례 모시는 음식은 가족들이 먹는 것이니 조금만 준비하면 됩니다.
자꾸 상을 가득히 메워야 한다는 생각을 하니까 부담을 가지는 것입니다.
제례 법에 나오는 제사상. 차례 상 차린 사진이나 그림을 보고 그대로 따르려고 하면 힘이 드는 것입니다.
기일에 메(밥)와 갱(국). 술잔. 수저(시저) 각기 따로 준비하여 올리고 장만하기 힘드는 적과 전 없이 제사를 모시면 어떻습니까?
몇 가지 과일. 편(떡). 나물 등 찬 몇 가지에 술잔에 술을 채워 올리고 격식에 따라 절을 올리면 무엇이 부족합니까?
어느 집안에서는 제사상이든 차례상이든 6 ~ 7가지 음식만 차려 제사를 모시는 집안도 있다고 합니다.
제사상을 합리적으로 차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무리를 하여 모시는 제사는 가정불화만 가져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