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직계도 촌수를 읽는다? - 3

녹전 이이록 2018. 9. 19. 10:49

직계도 촌수를 읽는다? - 3



아래의 글은 CH 선생의 글입니다.


직계를 촌수로 표시한 책명과 저자에 대한 내용을 조사한 것입니다.


C. CH 선생의 글 인용


직계를 촌수로 표시한 내용 중 가장 많이 보급되고 인용된 책은한국인의 성보(삼안문화사, 1986710일 발행)이다.


초대문교부장관 안호상 박사가 추천하였고 한글학자 한갑수 박사가 감수하였다.


가승보(한국인의 족보편찬위원회, 1992610일 발행),실천예절개론(교문사,


1997310일 초판 발행)은 한국전례연구원 김득중 원장의 저서이다.


김득중 원장은쉬운 관혼상제, 우리의 전통예절등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성균관유도회교육원에서 교재로 사용하는실천예절의 내용과 동일하다.


직계를 촌수로 표시하고 방계를 서수(序數) 방법으로 설명한 책은한국의 가보(한국가보편찬위원회, 19861015일 발행)이다.


이 책 또한 안호상 박사가 추천하였고, 당시 성균관 원장이 서문을 지었다.


가정의례대보감(일중당, 1987115일 발행),신구가정의례백과(의례간행편집회, 1989),조선시대 관혼상제 상례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228일 발행)이 이에 속한다.


(소견)


위의 글은 직계를 촌수로 읽고 있는 주장을 여러 문헌의 내용을 근거로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니까 직계를 촌수로 읽어 나와 조부를 2촌으로 나와 증조부를 3촌으로 나와 고조부를 4촌으로 읽고 말하는 잘못을 범하고 있는 것입니다.


누가 할아버지를 나와 2촌이라 하고 증조할아버지를 백숙의 촌수인 3촌이라고 하는가?


내가 고조할아버지를 4촌간이라고 하고 고조할아버지가 현손인 나를 4촌간이라고 한다고?


직계는 촌수가 없어 나와 아버지 1촌을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외에 촌수로 읽거나 말하지 않습니다.


촌수는 나와 방계 일가친척과의 멀고 가까움을 마디와 촌수를 숫자로 나타낸 것입니다.


나와 가장 가까운 순서대로 촌수를 나타낸 것입니다.


직계에서 나와 아버지 1촌은 예외적으로 인정하고 다음에 나와 형제를 2촌으로 한 계대, 다음이 나와 백숙부를 3촌으로 한 아버지 형제(1대조)의 계대, 다음이 나와 종조부(4. 나의 조부형제 계대. 2대조)의 계대. 다음이 나와 종증조부(5. 나의 증조부 형제. 3대조)의 계대 다음이 나의 종고조부(6촌 나의 고조부 형제. 4대조)의 계대 순입니다.


나와 아버지 1촌을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외는 직계는 촌수로 말하지 않습니다.


직계인 나와 아버지 1촌은 나와 형제자매 2촌과 백숙부 3촌을 읽기 위한 방편으로 1촌을 인정합니다.


형제 2촌을 읽는데 1촌이 없으면 읽을 수 없기 때문에 직계인 나와 아버지 1촌은 인정하는 것입니다.


직계를 촌수로 읽은 사례와 직계를 촌수로 읽은 저서입니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선생의 아언각비(雅言覺非)


- 대개 부자가 서로 잇는 것을 1촌이라 하고, 백숙부를 3촌이라 한다.


나와 아버지가 1촌이며, 부와 조부가 또한 1촌이며, 조부와 여러 자식이 또한 1촌이니 합하여 3촌이다.


민법의 법 조항을 들 수 있다.


770(혈족의 촌수의 계산)


직계혈족은 자기로부터 직계존속에 이르고 자기로부터 직계비속에 이르러 그 세수를 정한다.


방계혈족은 자기로부터 동원의 직계존속에 이르는 세수와 그 동원의 직계존속으로부터 그 직계비속에 이르는 세수를 통산하여 그 촌수를 정한다.


◈『한국인의 성보(삼안문화사, 1986710일 발행)이다.


초대문교부장관 안호상 박사가 추천하였고 한글학자 한갑수 박사가 감수하였다.


◈『가승보(한국인의 족보편찬위원회, 1992610일 발행),실천예절개론(교문사, 1997310일 초판 발행)은 한국전례연구원 김득중 원장의 저서이다.


김득중 원장은쉬운 관혼상제, 우리의 전통예절등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성균관유도회교육원에서 교재로 사용하는실천예절의 내용과 동일하다.


직계를 촌수로 표시하고 방계를 서수(序數) 방법으로 설명한 책은한국의 가보(한국가보편찬위원회, 19861015일 발행)이다.


이 책 또한 안호상 박사가 추천하였고, 당시 성균관 원장이 서문을 지었다.


◈『가정의례대보감(일중당, 1987115일 발행),신구가정의례백과(의례간행편집회, 1989),조선시대 관혼상제 상례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228일 발행)이 이에 속한다.


소견)


촌수는 직계로 읽거나 말하지 않습니다.


나에서 방계로 나의 형제 - 백숙부(아버지 형제) - 종조부(조부 형제) - 종증조부(증조부 형제) - 종고조부(고조부 형제) 계대를 나와 아버지 1, 나와 형제 2촌을 읽은 후 백숙부(아버지 형제)부터 종대조수로 종1대조, 종조부는 종2대조, 종증조부는 종3대조, 종고조부는 종4대조로 읽되 이 종대조수를 촌수로 바로 읽어 2촌을 더하면 촌수로 읽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표를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합니다.


(4대조).....................................................................................................(4대조)

고조부----------------------------------------------------------------종고조(고조부형제)

....(3대조)..........................................................................(3대조)....................

증조부---------------------------------------------------종증조(증조부형제)...재종증조

...(2대조)...............................................(2대조).............................................

조부----------------------------------- 종조(조부형제)...재종조......................3종조

...(1대조)...............(1대조)...........................................

----------------백숙부(부형제).......종백숙부(당숙)...재종백숙부

..................................................................................

--- 형제.........종형제...................재종형제............3종형제

.......................................................

아들.......(조카)....종질......................재종질

.......................................................

손자.......종손.........재종손...................3종손

..........................

증손.......종증손.......재종증손

..........................

현손.......종현손...... 재종현손

..........

내손......종래손

..........

곤손......종곤손


*원안의 작은 숫자는 나와의 촌수입니다.


원안의 붉은 숫자는 나와 기본 계대의 촌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