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世(세)는 間(간), 代(대)는 節(절) - 4
S선생 자신의 논지인 ‘2대=1세론’과는 다른 ‘동의론(투바위. CJ)’이나 ‘이의론(SC. KT)’, ‘3론(LJS)’으로 반론을 제기하니 선생 자신이 종전에 올린 내용을 다시 피력하기도 하고 자신의 답답한 심중을 말하기도 하는 내용입니다.
선생의 문장 하나하나가 잘못된 서술의 연속입니다.
그래서 문장에 단락을 지어 구분하고 원문에 이견과 소견이 다른 내용에는 *표시를 하고 이를 아래에 ▲[.............]로 나타내고 소견)을 올립니다.
【*世孫(세손)은 무엇이며 어떤 때에 世孫(세손)으로 쓰고, 世(세)라고 말하고, 世孫(세손)으로 말하는 것) 代孫(대손)은 무엇이며, 어떤 때에 代孫(대손)으로 쓰는 것이다, 하고 설명 한번 해 보세요.
*이것을 알면 世(세)와 世孫(세손)이 다르고, 代(대)와 世(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고, *間(간), 節(절), 寸(촌), 下世(하세), 上代(상대), (上世祖不可상세조 불가), 奉祝者代孫(봉축자 대손),<世孫(세손)> (奉祭者 子孫봉제자 자손)의 意味(의미)를 이해를 할 수 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
지적과 소견)
▲[*世孫(세손)은 무엇이며 어떤 때에 世孫(세손)으로 쓰고, 世(세)라고 말하고, 世孫(세손)으로 말하는 것) 代孫(대손)은 무엇이며, 어떤 때에 代孫(대손)으로 쓰는 것이다, 하고 설명 한번 해 보세요.]
소견)
위에 두 차례에 걸쳐 世孫(세손)과 代孫(대손)에 대한 설명을 드렸습니다.
世孫(세손)은 代孫(대손)과 같은 뜻으로 읽고 말합니다.
세손(=대손)의 뜻과 쓰임. 헤아려 읽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세손(=대손)의 뜻과 쓰임
세손(=대손)은 조손(조상과 후손)간 계대에서 항상 윗대조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랫대인 아들을 1로 하여 아래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나(중조 39세 ‘상’항렬)는 익재공(중조 17세 휘 제현. 익재공파 파조)의 몇 세손(=대손)인가?”
“나는 고조부의 몇 세손(=대손)이냐?”
2) 세손(=대손)을 헤아려 읽는 방법
○ 고조부 ~ 나의 계대에서
고조 - → 증조 - → 조 -- → 부 -- → 기(나)
35세........36세.........37세.......38세.......39세 – 중시조계대
○영........규○..........종○........○우........상○ - 항렬
1세..........2세...........3세.........4세..........5세 - 계대세수
1대..........2대...........3대.........4대..........5대 - 계대대수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 몇 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 몇 대손
“나(중조 39세 ‘상’항렬)는 고조부의 4세손(=4대손)입니다.”
▲[*이것을 알면 世(세)와 世孫(세손)이 다르고, 代(대)와 世(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고, *間(간), 節(절), 寸(촌), 下世(하세), 上代(상대), (上世祖不可상세조 불가), 奉祝者代孫(봉축자 대손),<世孫(세손)> (奉祭者 子孫봉제자 자손)의 意味(의미)를 이해를 할 수 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
소견)
△[*이것을 알면 世(세)와 世孫(세손)이 다르고, 代(대)와 世(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고, ]
소견)
*世孫(세손)은 무엇이며 어떤 때에 世孫(세손)으로 쓰고, 世(세)라고 말하고, 世孫(세손)으로 말하는 것. 代孫(대손)은 무엇이며, 어떤 때에 代孫(대손)으로 쓰는 것이다, 라는 것을 알면 世(세)와 世孫(세손)이 다르고, 代(대)와 世(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라는 논지는 이해할 수 없는 주장입니다.
선생의 2대=1세로 읽는 논리로 주장하는 것이니 당연히 다른 분들은 이해를 못하는 것입니다.
世孫(세손)과 代孫(대손)은 같은 뜻인데 ‘이 뜻을 알면 世(세)와 世孫(세손)이 다르고, 代(대)와 世(세)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잇을 것‘이라는데 ’세와 세손이 다르다.‘ 라는 것은 공감이 가나 ’세와 대가 다르다.‘라는 주장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間(간), 節(절), 寸(촌), 下世(하세), 上代(상대), (上世祖不可상세조 불가), 奉祝者代孫(봉축자 대손),<世孫(세손)> (奉祭者 子孫봉제자 자손)의 意味(의미)를 이해를 할 수 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
소견)
선생의 논지는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 世는 間(사이 간)이고 代는 節(마디 절)로 ‘2대=1세’를 원칙으로 하여 世와 代를 읽는다.
◈ 世는 寸數(촌수)로 읽는다.
◈ 下世上代(하세상대)로 世는 아래로 代는 위로 읽는다.
그런데 ‘上代(상대)’이면 代는 위. 윗대로 헤아려 읽어야 하는데 ‘몇 代孫(대손)’은 아랫대 후손을 가리킵니다.
이렇게 보면 원칙 上代(상대)는 위로 읽어야 하고 말뜻 代孫(대손)은 아랫대를 가리키니 원칙과 말뜻이 서로 상반되는데 위로도 아래로도 읽을 수가 없습니다.
代孫(대손)의 말뜻은 아랫대인 후손을 지칭하는데 어떻게 代자가 들어있다고 上代를 적용하여 위로 헤아려 읽을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 [上世祖不可(상세조 불가)] - 선생의 주장
소견)
위와 윗대로는 ‘몇 世祖(세조)’로는 읽지 못한다는 선생의 주장입니다.
왜 윗대 조상님을 ‘몇 대조’, ‘몇 세조’인가를 헤아려 읽으면 안 되는지요?
[웃어른께 ‘세조’라는 용어는 불경스러워 사용하면 안 된다.]는 게 선생의 주장입니다.
그러나 ‘동의’논지로는 아래의 표와 같이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 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읽고 말합니다.
○ 고조 ~ 나의 계대
고조 - → 증조 - → 조 - - → 부 - - → 기(나)
35세........36세........37세........38세........39세 – 중시조세수
1세..........2세..........3세..........4세..........5세 – 계대세수. ‘고조’ 1세
1대..........2대..........3대..........4대..........5대 – 계대대수. ‘고조’ 1대 - '세=대'
5세..........4세..........3세..........2세..........1세 – 계대세수. ‘나’ 1세
5대..........4대..........3대..........2대..........1대 – 계대세수. ‘나’ 1대 - '대=세'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 몇 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 몇 대손 – '세손=대손'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 몇 세조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 몇 대조 - '세조=대조'
▲ [奉祝者代孫(봉축자 대손),<世孫(세손)> 奉祭者子孫(봉제자 자손)의 의미]
소견)
'2세=1대'로 읽는 '이의' 논지를 주장하는 분들은 '상대하세'를 적용하여 아래로 '몇 세손'으로 읽고 위로는 '몇 대조'로만 읽습니다. (5세손에 4대조로만 말합니다.)
이와는 달리 '2대=1세'로 읽는 선생의 논지는 이와는 달리 아래로는 '몇 세손'. '몇 대손'으로 모두 읽고 위로는 '몇 세조'로는 불경하여 말하면 안되고 '몇 대조'로만 말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시제를 모실 때 축문에 9대손 유학 ○○'이라거나 '8세손 유학 ○○’이라고 한다는 뜻인가?
'9대손 유학 ○○'이면 '9세손 유학 ○○'이라고 대손=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말해야지' 9대손 유학 ○○'을 '8세손 유학 ○○’이라고 말하면 안됩니다.
‘동의’논지에서는 현손자를 '나의 4대손(=4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나타내지만 ‘2대=1세론’에서는 ‘몇 대손’으로는 5대손. ‘몇 세손’으로는 4세손으로 나타내어야 하니 어느 논리가 맞을까요?
‘세손=대손’으로 같은 뜻으로 ‘4세손=4대손’은 나의 현손자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