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저씨가 사투리?
[‘아재’는 경상도 사투리가 아닙니다, 그러면 한문으로 ‘아재비 숙’이 왜 있겠는가?
아저씨가 사투리이고 남을 지칭하는 호칭입니다. ]
라는 글이 인터넷에 올라 있습니다.
소견)
성균관 홈페이지 토론방에서 토론 중 CJ 선생께서 아래와 같은 글을 댓글로 올렸습니다.
자세히 알지 못하는 초중생의 글이라면 그런대로 이해하고 넘어 갈 텐데 그래도 이름께나 알려진 유학자입니다.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모두 ‘아재’라고 지칭하고 호칭하니 이 말이 표준어라고 생각하고 아저씨가 사투리라고 생각하는 모양입니다.
어이없는 글입니다.
옥편에 ‘아재비 숙’이라고 말뜻이 풀이되어 있다고 ‘아재비’가 표준어이고 ‘아저씨’가 방언이라고 합니다.
아래는 국어사전에서 ‘아저씨’. ‘아재비’. ‘아재’의 뜻풀이입니다.
△ 아저씨「명사」
부모와 같은 항렬에 있는, 아버지의 친형제를 제외한 남자를 이르는 말.
결혼하지 않은, 아버지의 남동생을 이르는 말.
남남 끼리에서 남자 어른을 예사롭게 이르는 말.
고모부나 이모부를 이르는 말.
『북한어』언니의 남편을 이르는 말.
△ 아재비 「명사」
‘아저씨’의 낮춤말.
‘아주버니’의 낮춤말.
‘작은아버지’의 방언(경남, 함경).
‘고모부’의 방언(함경).
‘이모부’의 방언(함경).
△ 아재 「명사」『방언』
‘아저씨’의 낮춤말.
‘아주버니’의 낮춤말.
‘아주머니’의 방언(강원).
‘아주비’의 방언(강원).
‘고모’의 방언(함북).
‘이모’의 방언(함북).
‘작은어머니’의 방언(함북).
*도리어 ‘아재비’와 ‘아재’는 ‘아저씨의 낮춤말’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 또 아래와 같은 글도 올렸습니다.
[‘동서’는 한문으로 同壻(동서. 같을 동. 사위 서) 즉 사위란 뜻이다. ‘동시’는 한문으로 同媤(동시. 같을 동. 시집 시) 즉 같은 시집의 뜻이다.]
소견)
동서(同壻)는 여형제들의 남편 사이를 동서간이라 하는데 동시(同媤)가 무엇인가?
여형제의 남편들 끼리를 동서(同壻)라고 하니까 형제의 아내들끼리는 동시(同媤)라고 해야 한다는 뜻인 것 같습니다.
同壻(동서)에서 ‘사위 서(壻)’를 넣어 ‘同壻’라고 했다면 형제의 아내들끼리는 ‘시집 시(媤)’자를 쓰는 것보다는 ‘며느리‘를 나타내는 한자어로 낱말을 만들어 사용해야 이치에 바르지 않을까?
'동시(同媤)'라는 단어는 사전에 없는 낱말입니다.
「우리말 큰 사전」(한글학회 편)에는 형제의 아내끼리는 ‘동세’로 부른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일부 지역(경북북부)에서 쓰이는 호칭이라는 설명입니다.
선생이 ‘자형(姊兄)’이라는 단어와 ‘동시(同媤)’라는 단어의 사용에 대하여 국립국어원에 건의를 하였습니다.
심사위원회(?)에서 소장학자들 마저 자형(姊兄)은 널리 쓰이는 말이라 용어로 받아들이고 ‘동시(同媤)‘라는 단어는 아예 논의의 대상에서 제외해 버렸습니다.
그 지역과 일부지역에서 쓰이는 말이 표준어인지 사투리인줄을 구분하지 못하여 ‘아저씨’가 사투리이고 ‘아재비’가 표준말이라고 글을 올리고 동서(同壻)와 동시(同媤)를 구분하여 용어를 만들어 건의하는 자체는 좋으나 동서(同壻)가 ‘같은 사위’로 쓴다면 ‘같은 며느리’라는 뜻의 말을 만들어(同媳.동식 혹은 同婦동부) 건의를 해야지 ‘같은 집에 시집을 왔다.’는 뜻으로 동시(同媤)라고 한다? 라는 말은 무리로 보입니다.
깊이 생각해 보고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용어를 만들어 건의함이 바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