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촌수 - (3)

녹전 이이록 2017. 8. 23. 10:35

촌수 - (3)



아래와 같이 모 대학 연구논문으로 인터넷에 올라 있는 촌수 계보도 설명입니다.


이견이 있고 잘못된 논지는 [............]로 지적하고 소견을 올립니다.


*- (1) - , - (1) - 祖父, 祖父 - (1) - 叔父, 叔父 - (1) - 叔父. 촌수를 모두 합하면 4이다.


즉 너와 나는 4寸間(4촌간) 종반간(從班間)이다.


*고조부가 너와 나의 동원(同源)의 할아버지라면 4×2=8. 너와 나는 8촌간이다.


자기-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부- 고조부5()이지만 간격은 4개이다.


촌수계산은 간격×2니까 4×2=8. 너와 나는 8촌간 즉, 삼종형제간(三從兄弟間)이다.


8촌까지를 집안 또는 당내간(堂內間)이라고 한다.


나의 7대조와 너의 8대조가 같은 할아버지라면, 7×2=14. 14+1=15. 또는 8×2=16.


16-1=15. 나와 너는 15촌간이다.


나는 너의 족숙(族叔)이고, 너는 나의 족질(族姪)이다.


즉 너와 나는 족숙질간(族叔姪間)이다.


지적과 소견)


[*-() 1, ()-祖父(조부) 1, 祖父(조부)-叔父(숙부) 1, 叔父(숙부)-叔父(숙부)1. 촌수를 모두 합하면 4이다. 즉 너와 나는 4寸間(4촌간) 종반간(從班間)이다.]


소견)


(~1). (~조부 1). (조부~숙부 1). (숙부~숙부의 1)으로 하여 나와 종반(4촌 형제)간을 4촌간으로 촌수 4촌은 바르게 읽었으나 직계로 읽은 촌수 ~1은 기본적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증조~고조는 촌수로 읽지 않습니다.


직계 계대는 촌수로 읽거나 말하지 않습니다.


방계의 촌수를 읽기 위하여 촌수를 이해하기 쉽다고 직계 계대를 촌수로 말할 수는 없습니다.


촌수를 이해하기가 쉽다고 직계 계대로 촌수를 읽어서인지 이 때문에 나와 할아버지 2, 나와 증조할아버지 3, 나와 고조할아버지를 4촌간으로 읽고 말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계촌도에 나~1-2~ 증조 3~ 고조 4....등으로 나와 직계 조상님을 촌수로 표시하여 놓기도 하였습니다.


친할아버지를 나와 ‘2이라 하고 나와 증조할아버지를 ‘3이라 하고 나와 고조할아버지를 4촌이라고 알려주는 계촌도가 많습니다.


나와 할아버지는 촌수로 말하지 않고 나의 2대조(=2세조)’로 말하고 나는 할아버지의 2대손(=2세손)’이라고 말합니다.


직계는 촌수로 말하지 않고 위로는 조상 누구는 후손 누구의 몇 세조(=대조)’, 아래로는 후손 누구는 조상 누구의 몇 세손(=대손)’으로 말합니다.

 

-----------------백숙부(의 형제)

.................................

()----형제(2)......종형제(4촌 형제)

 

촌수의 차례는 나와 가까운 순서로 나와 아버지 1은 직계이지만 2촌 형제를 읽기 위하여 1촌 촌수가 인정되고 다음이 나와 형제 2이 나와 1마디로 1촌이지만 순서적으로 2촌으로 하고 다음이 나와 백숙부 3다음 윗대가 나와 종조부 4다음 윗대가 나와 종증조부 5다음 윗대가 나와 종고조부 6으로 헤아리고 이에서 각 계대마다 아래쪽 후손으로 마디를 헤아려 촌수로 읽는다. 라고 생각하여야 합니다.


위 표를 아래와 같이 보고 촌수를 헤아려 읽어야 합니다.


나와 백숙부으 아들인 4촌 형제의 촌수입니다.


━ ━ ━ ↗ ③백숙부. (1대조. 1마디. 1)

.......❶↗.........↓ 

↗━ ②형제....(종형제. 4촌형제). 1마디. 1


촌수는 기본적으로 순서를 따져 나와 아버지 1, 다음에 나와 형제를 2촌으로 읽습니다.


와 방계의 백숙부는 나의 종1대조이고 1마디로 1촌이고 백숙부에서 까지 1마디로 1촌이니 이를 헤아리면 2촌입니다.


계대의 양쪽 촌수 2촌에 앞서 나 ~ 1, ~ 형제 2촌이 있으므로 2+2=4촌입니다.


나와 너는 4촌입니다.


- ‘와 백숙부 1. 백숙부와 ’ 1촌을 표시한 것입니다.


+ 와 백숙부의 계대 1촌과 백숙부와 의 계대 1촌을 합하여 2촌입니다.


그런데 계대 촌수는 2촌이고 제외된 나와 부 1촌과 나와 형제 2촌을 계산에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외된 2촌에 게대촌수 2촌을 합하여 4촌으로 읽습니다.


위의 표 대로 촌수를 헤아려 읽는다면 ~1. ~형제 1. ~백숙부 1. ~1.’으로 4촌이나 이를 순서대로 촌수를 읽으면 -아버지 1. -형제 2. -백숙부 3. -(백숙부의 자) 4으로 읽습니다.


[*고조부가 너와 나의 동원(同源)의 할아버지라면 4×2=8. 너와 나는 8촌간이다.


자기-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부- 고조부5()이지만 간격은 4대이다.


촌수계산은 간격×2니까 4×2=8. 너와 나는 8촌간 즉, 삼종형제간(三從兄弟間)이다.]


소견)


고조부가 너와 나의 동원(同源)의 할아버지라면이라는 말은 너와 나의 공동조상을 말하고(계대가 나누어지기 전의 조상님)합니다.


즉 공동조상의 아들이 형제로 갈래가 나누어져 그 후손이 나와 너인 셈입니다.


즉 이는 종증조부의 후손 중 나와 같은 항렬인 형제는 8촌간으로 삼종형제간(三從兄弟間)이라는 말입니다.


촌수는 바르게 계산되었으나 아래의 기술은 잘못된 촌수계산의 기술입니다.


자기-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부- 고조부5()이지만 간격은 4대이다.‘라고 설명하였는데 이것은 나에서 고조부까지 직계로 사이를 4대로 읽고 4촌이라고 설명한 글입니다.


직계는 촌수로 말하지 않으니까 직계로 촌수를 계산할 수가 없습니다.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부 - 고조부5()이지만 간격은 4개이다.‘라는 말은 직계를 마디로 읽어 촌수를 헤아려 읽는 것을 설명한 글로 이는 삭제하여야 합니다.


직계는 촌수가 아닌 몇 세조(=대조)’로 말합니다.


나에서 나의 직계인 고조부가 아닌 방계의 종고조부까지는 마디로 읽고 이를 촌수로 하며 양 계대이니 4*2=8, 8촌이라고 공동조상을 찾아 위의 기술과 같이 촌수를 말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직계(~ 고조부이상)로 촌수를 셈하지 말고 나에서 방계 계대로 마디를 헤아려 촌수로 말해야 합니다.

 

고조------------------------------------------------------종고조(고조부형제)

.......................................................................................................

증조---------------------------------------종증조(증조부형제)...재종증조

......................................................................................................

--------------------------------종조(조부형제)...재종조..........3종조

.....................................................................................................

----------------백숙부(부형제)..종백숙부(당숙)..재종백숙부....3종백숙부

....................................................................................................

()---형제(2)..종형제(4)......재종형제(6)...3종형제(8)...4종형제(10)

......................................................

.............(조카)....종질................재종질


나와 3종형제(8촌 형제)의 촌수 계산은 공동조상을 찾아 촌수를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 종증조까지종증조 ~ (4종형제)까지로 양쪽 계대이니 한쪽 마디(촌수)를 헤아려 마디(촌수)×2니까 4×2=8. 8촌으로 계산합니다.


[나의 7대조와 너의 8대조가 같은 할아버지라면, 7×2=14. 14+1=15. 또는 8×2=16. 16-1=15.

나와 너는 15촌간이다. 나는 너의 족숙(族叔)이고, 너는 나의 족질(族姪)이다.

즉 너와 나는 족숙질간(族叔姪間)이다.]


소견)

공동 조상으로 바르게 계산한 촌수 계산입니다.


위 글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87대조-------------- 7대조⑦↗ ---- 8대조

76대조------------------⑥↗....⑧↓.....7대조

6-- 현조 -------------- ⑤↗.........⑨↓.....6대조

5-- 고조 ----------- ④↗..............⑩↓.....5대조

4-- 증조 -------- ③↗...................⑪↓.....4대조

3-- ------- ②↗........................⑫↓.....3대조

2-- ---- ①↗.............................⑬↓.....2대조

1-- ()- ..................................⑭↓.....1대조

............................................................⑮↓.....()

 

그림에서 보다시피 에서 종7대조까지는 7마디로 7촌간입니다.


그런데 계대를 보면 위로 아버지와 항렬인 백숙부 계대를 촌으로 헤아렸기 때문에 나와 아버지 1촌과. 형제 2촌은 제외되었습니다.


그러면 종대조수로 종7대조는 7마디이고 이는 7촌과 같으므로 나와 종 7대조는 7+2=9촌간입니다.


다음은 나의 종7대조는 에서 8대조이니 마디로 8마디이고 이는 8촌이니 에서 까지 촌수로 헤아리면 9+ 8= 17촌간입니다.


공동조상을 찾아 나와 너의 촌수를 계산하기도 하고 형제로 계대가 나누어진 나와 방계의 조상님까지의 계대수, 종대조수를 헤아려 마디(촌수)로 하여 양 계대이니 2배를 한 수에 2(나와 부 1. 나와 형제 1)을 더하여 촌수를 읽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