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촌수 – 1
아래와 같은 문의에 답변이 올라 왔습니다.
잘못된 답변과 이견이 있는 곳은 지적하고 소견을 올립니다.
[아버지와 나의 촌수가 1촌이라고 하는데 할아버지와 나의 촌수는 2촌인가요?
즉, 나와 할아버지의 촌수와 나와 형제의 촌수는 같습니까?]
답변)
△ LMH
아버지와 나의 촌수는 1촌입니다.
그러나 할아버지와 나의 촌수도 1촌입니다.
직계조상의 촌수는 모두 1촌 관계입니다.
왜냐하면 아래 분처럼 계산하게 되면 증조부는 나의 ‘3촌’이 됩니다.
이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할아버지는 할아버지일 뿐이지 3촌이나 4촌이 될 수는 없습니다.
촌수라는 것은 방계혈족의 원근을 나타내기 위함이지 직계의 가깝고 멀고를 나타내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 KCS
* 나와 할아버지가 2촌인 이유 ;
나와 부는 1촌, 부와 부의 부(나의 조부)는 1촌, 조부와 숙부는 1촌, 숙부와 종반(- 숙부의 아들)은 1촌. 이것을 더하면 4촌. 즉 나와 종반(3촌의 아들)은 4촌. 이것을 수식으로 표시하면 (1촌+1촌+1촌+1촌=4초)=(2촌+2촌)이다.
* 결합법칙에 의해서 나와 조부는 2촌.
다른 셈 ; 나와 할아버지는 2촌이므로 종반과 조부도 2촌, 2촌이 2개이니 곱셈이 성립.
즉 2촌*2=4촌
참고 ; (수리계산에는 명수와 무명수 계산이 다름. 명수에서 단위가 틀리면 계산 안 됨.
예 ; 2인 + 3개 = 5인 – 계산이 안 됨. 개수가 들어가면 수리를 따라야 함.)
◈ *제목 ; 나와 조부는 2촌이지 1촌 아니다.
동조에서 줄기 따라 (“나 → 부 → 조부 → 숙부 → 종반”) 촌수를 기록하면 1촌 아닌 이유 ; 나와 조부를 1촌이면 종반도 1촌 따라서 종반간은 4촌인데 1촌+1촌=2촌 모순.
*또 형제는 2촌이니 “2촌*2대=4촌”이라 주장함은 방계 촌수 셈에 형제 촌수가 웬 말이냐,
줄기를 따라야지 또 명수 산법을 모름을 나타냄. 이 산법은 틀림.
또 촌수란 친척 간 나와 누구와의 멀고 가까운 거리를 나타내는 것(상하좌우)이고 거리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 촌수.
*나와 조부의 거리는 부보다 먼 것은 틀림이 없음.
따라서 나와 조부의 거리(1촌)가 나와 부(1촌)와 같다는 것 모순. (나와 시조의 관계도 같음)
소견)
△ LMH 님의 답변이 바른 답변입니다.
할아버지를 나와 2촌간이니 증조할아버지를 나와 3촌간이니 하는 사람이 어디에 있습니까?
나와 직계존비속은 위로는 몇 대조(=세조)로 말하고 아래로는 몇 세손(=대손)으로 말을 하지 마디를 따져 촌수로 말하지 않습니다.
다만 수 2를 읽기 위하여 1이 있듯이 나와 형제 2촌을 읽기 위하여 나와 아버지를 1촌으로 순서상 넣어 이해를 돕는 것입니다.
△ KCS 님의 글에 대하여는 원문에 *표시를 하고 아래와 같이 ▲[.........]로 지적하고 소견을 올립니다.
▲[* 나와 할아버지가 2촌인 이유 ; 나와 부는 1촌, 부와 부의 부(나의 조부)는 1촌, 조부와 숙부는 1촌, 숙부와 종반(숙부의 아들)은 1촌. 이것을 더하면 4촌. 즉 나와 종반(3촌의 아들)은 4촌. 이것을 수식으로 표시하면 (1촌+1촌+1촌+1촌=4초)=(2촌+2촌)이다.]
소견)
나와 할아버지가 2촌인 이유를 설명하면서 나타낸 글은 나와 종반(4촌형제)이 4촌이 되는 헤아림을 설명한 글입니다.
나와 할아버지는 2촌이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직계는 촌수로 말하지 않습니다.
위의 글은 아래의 표와 같이 설명하는 글입니다.
나와 종형제(백숙부의 아들) 즉 4촌 형제를 1마디를 1촌으로 읽어서 나와 아버지 1촌, 아버지와 조부 1촌, 조부와 백숙부 1촌, 백숙부와 종형제 1촌으로 하여 4촌으로 읽었습니다.
그림으로 보아도 ①촌으로 읽은 나와 종형제는 4촌으로 읽어집니다.
조부 ━ ━ ━ ━ ━ ┓━ ━ ━ ━ 종조부
┃①.......................①.................┃
부 ━ ━ ━ ━ ━━ 백숙부..........종숙(당숙)
┃①.......................┃①..............┃
기(나) ━ 형제.........종형제...........재종형제
┃............┃...........┃.................┃
자 ━ ━ 질(조카).....종질...............재종질
지적. 소견)
그런데 ‘나와 부’ 1촌, ‘부와 부의 부(나의 조부)’는 1촌‘으로 하여 나와 할아버지를 2촌으로 읽었습니다.
이는 직계를 촌수로 읽은 것이니 잘못 읽은 것입니다.
이렇게 직계를 촌수로 읽으니 많은 사람들이 직계를 촌수로 말해도 되나보다 하고 나와 할아버지 2촌, 나와 증조할아버지를 3촌, 나와 고조할아버지를 4촌간으로 말하는 잘못을 저지르고 있는 것입니다.
[나와 할아버지가 2촌인 이유]
- ‘나와 부’는 1촌, ‘부와 부의 부(나의 조부)’는 1촌이니 1+1=2. 2촌으로 읽은 것입니다.
그렇다면 나와 형제는 마디가 1개로 1촌이어야 하는데 2촌으로 읽는 이유는 무엇인가?
위의 KCS 선생의 글은 직계. 방계 계대를 구분하지 않고 마디마다 촌수로 읽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그러나 직계는 촌수로 말하지 않습니다.
나와 할아버지는 2촌간이 아니고 나의 2대조(=2세조)라고 말을 합니다.
어느 사람이 나와 증조할아버지의 관계를 3촌간이라 말하는가?
증조할아버지는 ‘나의 3세조(=3대조)’라고 말하고 나는 ‘증조할아버지의 3세손(=3대손)’이라고 말하지 증조할아버지를 촌수로 ‘3촌’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어디에 있는가?
위 KCS 선생의 글은 직계인 나와 아버지 1촌. 나와 할아버지 2촌. 나와 증조할아버지 3촌. 나와 아들 ②촌. 나와 손자 3촌으로 아래의 표와 같이 촌수로 말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위의 KCS 선생의 글대로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③증조부 ━ ━ ━ ━ ━━ ━ ━ ━ ━ ━ ━ ━ ━ ④종증조부
┃
②조부 ━ ━ ━ ━ ━ ━ ━ ━ ━ ━ ━ ━ ③종조부
┃........................................................┃
①부 ━ ━ ━ ━ ━ ━ ②백숙부...............④종숙(당숙)
┃..............................┃.......................┃
기(나)━━ ①형제........③종형제..............⑤재종형제
┃.............┃..............┃.......................┃
①자.........②질.............④종질................⑥재종질
┃
②손
형제이상 방계의 촌수는 바르게 읽었으나 직계의 촌수는 읽지 않으니 삭제하여야 합니다.
* 작은 원안의 숫자는 촌수를 말합니다.
* KCS 선생의 말대로 마디를 1촌으로 읽는다면 나와 형제도 1마디로 1촌으로 읽어야 하는데 과연 나와 형제는 1촌간인가?
나와 형제는 2촌간입니다.
1마디를 1촌으로 헤아려 읽는다면 ‘나’를 기준으로 위로 아버지부터 ①촌, 아래로 아들부터 ①촌으로 계대 순서대로 촌수를 읽어야 하고 나와 형제는 마디가 1개이니 ①촌으로, 조카는 2촌으로 읽어야 하는 것입니다.
마디로 따지면 나와 형제는 분명히 1마디로 1촌인데 2촌으로 읽습니다.
이는 나와 가까운 차례로 나와 아버지를 1촌으로 읽고 다음 나와 형제를 2촌으로 읽고 난 뒤에 마디마다 1촌으로 읽는 것이 바르게 촌수를 읽고 말하는 것입니다.
다음이 나와 백숙부를 3촌. 나와 조카(형제 아들) 3촌. 종조부(조부형제) 3촌...등으로 읽고 말하는 것입니다.
◈ 그러나 위 그림은 아래와 같이 직계는 촌수로 표시하지 않고 또 형제인 방계부터 순서대로 마디에 따라 촌수로 읽어야 합니다.
증조부 ━ ━ ━ ━ ━ ━ ━ ━ ━ ━ ━ ━ ━ ━ ━ ━ ⑤종증조부
┃..........................................................................┃
조부 ━ ━ ━ ━ ━ ━ ━ ━ ━ ━ ━ ④종조부...........⑥재종종조부
┃.................................................┃
①부 ━ ━ ━ ━ ━ ━ ③백숙부........⑤종숙(당숙)
┃.............................┃.................┃
기(나) ━ ②형제..........④종형제........⑥재종형제
┃............┃..............┃.................┃
자............③질(조카)...⑤종질...........⑦재종질
┃
손
* 위의 표와 비교해 보면 이 표는 나와 아버지 ①촌외는 직계는 촌수를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위의 표는 나와 형제가 1마디이니 1촌으로 읽었으나 아래의 표에서는 나와 아버지 ①촌 다음으로 나와 형제는 1마디이지만 ②촌으로 읽고 백숙부는 그림에서 마디로 헤아려보면 2마디뿐으로 ②촌으로 읽어야 하나 실지는 ③촌간으로 읽습니다.
이는 나와 친소관계로 따져 나와 아버지 → 형제 → 백숙부 순으로 두고 놓고 ①촌. ②촌. ③촌으로 촌수로 말한 것입니다.
*나를 기준으로 방계는 나의 형제 즉 형. 누나와 동생. 누이부터는 모두가 방계입니다.
형제를 ②촌으로 하여 ③질(조카) - ④종손(종손자)....등으로 촌수로 읽습니다.
그러면 마디로 2마디인 2촌간인 백숙부는 어떻게 나와 3촌간으로 읽게 되는가?
3촌인 백숙부 3촌을 읽기 위하여는 마디 수로 헤아려 촌수를 읽을 수가 없습니다.
첫 마디는 나와 아버지 마디를 1촌으로 읽고 그 다음으로 나와 가까운 형제로 나와 1마디뿐이지만 2촌간으로 읽는 형제 후손 계대, 그 다음 마디가 2마디뿐이나 백숙부를 3촌으로 읽는 백숙부 자손 계대. 그 위에 3마디뿐이나 4촌으로 읽는 종조부(조부의 형제) 후손 계대. 그 위로 나와 4마디뿐이나 5촌으로 읽는 종증조부(증조부의 형제) 후손 계대. 그 위가 5마디뿐이나 6촌간으로 읽는 종고조부(고조부의 형제) 후손 계대를 마디에 따라 헤아려 촌수로 읽는 것입니다.
가로, 세로 아무리 마디를 헤아려 보아도 2마디뿐이나 백숙부를 3촌으로 읽고 3마디뿐이나 4촌으로 읽는 종조부(조부의 형제)와 4마디뿐이나 5촌으로 읽는 종증조부(증조부의 형제), 5마디뿐이나 6촌으로 읽는 종고조부(고조부의 형제)는 '나와 형제 2촌'의 1촌을 제외하고 읽었기 때문에 마디의 수와 촌수와는 1촌이 모자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