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세손(=대손). 세조(=대조)의 용례 - 1

녹전 이이록 2017. 6. 29. 09:18

세손(=대손). 세조(=대조)의 용례 - 1



WH 선생께서 올린 글 중 맨 마지막 글로 세손. 대손. 세조. 대조로 기록된 용례를 일러 달라고 하였습니다.


[혹시 (문헌의) 다른 용례를 일러주시면 배움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소견)


아래에 올린 여러 용례는 우리나라 여러 유명 성씨 집안의 족보나 문헌에 기록된 몇 세손(=대손)’. ‘몇 세조(=대조)의 용례입니다.


아래 용어의 뜻과 쓰임과 헤아려 읽는 법을 알아야겠기에 약술합니다.


세와 대는 같은 뜻이고 쓰임이 같습니다.


고조 ~ () ~ 현손의 계대


고조증조-----증손현손 - 관계

35...36...37...38...39...40...41...42...43- 중시조세수

1.....2.....3.....4.....5.....6.....7.....8......9계대세수. ‘고조’ 1

1.....2.....3.....4.....5.....6.....7.....8......9계대세수. ‘고조’ 1

5.....4.....3.....2.....1.....2.....3.....4......5계대세수. ‘’ 1

5.....4.....3.....2.....1.....2.....3.....4......5계대세수. ‘’ 1

9.....8.....7.....6.....5.....4.....3.....2......1계대세수. ‘현손’ 1

9.....8.....7.....6.....5.....4.....3.....2......1계대세수. ‘현손’ 1


아래의 표는 고조 ~ 현손의 계대로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헤아려 읽은 표입니다.


고조 ~ () ~ 현손의 계대


고조 증조 -- -- - - -- 증손 현손

35......36.....37.....38.......39.....40.....41......42......43- 중시조세수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6대손....7대손.....8대손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8세조.....7세조....6세조....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8대조.....7대조....6대조....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세손=대손


세손(=대손)은 주어진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윗대 조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랫대인 아들부터 아래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즉 조손간 계대에서 항상 윗대 조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들을 1세손(=1대손), 손자를 2세손(=2대손), 증손자를 3세손(=3대손), 현손자를 4세손(=4대손)....등으로 헤아려 읽습니다.


세조=대조


세조(=대조)은 주어진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아랫대 후손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윗대인 아버지부터 위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즉 조손간 계대에서 항상 아랫대 후손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버지를 1세조(=1대조), 할아버지를 2세조(=2대조), 증조할아버지를 3세조(=3대조), 고조할아버지를 4세조(=4대조)....등으로 헤아려 읽습니다.


* 아래의 용례는 권태현 선생과 인터넷에 올라 있는 자료를 인용하였습니다.


重峯趙憲行狀(중봉 조헌 행장) 義士金聲遠傳(의사 김성원 전)

[....聲遠 *淨之三世孫....(성원 *정지3세손..)] - 세손


*<金聲遠(김성원) : 壬辰倭亂(임진왜란) 錦山戰(금산전)에서 殉死(순사)>


[*淨之三世孫(정지3세손)]

- 성원(聲遠)은 정()3세손이다.


~ 성원의 계대


() → ②哲보(철보) → ③益諫(익간)→④聲遠(성원)

1..............2.............3..................4- 계대세수

(기준.).........1세손..........2세손..............3세손 몇 세손읽기

(기준.).........1대손..........2대손..............3대손 몇 대손읽기 - '동의'논지

().............................................증손 - 관계

1세손..........2세손...........3세손..............4세손 - '이의'논지. 3론

1대손..........2대손...........3대손..............4대손 -  3론


*'이의'논지는 '상대하세'를 적용하면 '몇 대손'으로는 읽지 못하여 나타내지 않습니다.


*'동의'논지와 '이의' , '3론'으로 읽은 위의 표를 비교해 보세요.

몇 세손(=대손)’은 윗대 1세인 ()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랫대인 아들 철()‘1세손(=1대손)’으로 읽어 다음 아랫대인 손자 익간(益諫)2세손(=2대손). 그 다음 증손자인 의사(義士) 휘 성원(聲遠)3세손(=3대손)으로 읽습니다.


*아래로 세손(=대손)’으로 읽고 말합니다.


承仕郞宋公世英墓誌銘(승사랑 송공 세영 묘지명)

- 愼獨齋遺稿卷之九(신독재 유고 권지9) - 신독재 김집


 [...妣宗姓娥林君諱禎之女(비종성 아림군 휘정 지녀)*太宗大王四世孫也(태종대왕 4세손야)公諱世英(공 휘 세영.....]


[*太宗大王四世孫也(태종대왕 4세손야)] - 세손

- ()는 아림군(娥林君) 휘 정()의 따님으로 태종대왕 4세손이다.


전주이씨 태종 ~ 전주이씨(부군 세영)의 계대


太宗 → ②敬寧君()→ ③銀川君 → ④- → ⑤李氏 - 夫君 世英(부군 세영)

태종..........경녕군().......은천군......................전주이씨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 '동의'논지

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 - 이의. 3론 


*위의 '몇 세손'으로 읽은 '동의'논지와 '이의' , '3론'을 비교해 보세요.


*태종대왕의 4세손은 娥林君(아림군. )의 따님인 全州李氏(전주이씨)입니다.


*태종임금의 아들 경녕군()을 태종의 1世孫(1세손)으로 헤아려 내려가니 全州李氏(전주이씨)太宗(태종)4세손입니다.


*아래로 몇 세손으로 읽었습니다


贈戶曹參判李公瑑墓誌銘(증 호조참판 이공 전 묘지명) 南溪集卷第七十六(남계집 권제76). - 박세채

[公諱瑑字君寶(공 휘 전 자 군보)自號弦齋(자호 현재)*恭靖大王七世孫也(공정대왕 7세손야)]


[*恭靖大王七世孫也(공정대왕 7세손야)] - 세손

- 현재공(. 증 호조참판)은 공정대왕(정종)7세손이다.


전주이씨 정종 ~ 의 계대


定宗→ ②厚生→ ③孝伯→ ④銀同→ ⑤如貴→ ⑥→ ⑦之綱→ ⑧

정종........후생........효백........은동........여귀................지강........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 - '동의'논지

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 - 이의. 3론 


*위의 '몇 세손'으로 읽은 '동의'논지와 '이의' , '3론'을 비교해 보세요.

*공정대왕(恭靖大王)은 조선 2定宗(정종)임금의 시호이고 恭貞大王(공정대왕)은 태종의 시호입니다.


정종임금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들 厚生(후생)1세손으로 하여 헤아려 내려가면 8弦齋公(현재공 휘 )7세손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