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동의’와 ‘이의’의 ‘세와 대’의 설명

녹전 이이록 2017. 4. 12. 10:52

동의이의세와 대의 설명


동의논지와 이의논지에 대한 필자의 글을 읽고 GKM 선생께서 아래와 같은 질문을 필자에게 하고 올린 답변입니다.


(질문1)


이의논지인 [2세는 1]를 적용하여 표를 만들려니 이해가 안 됩니다.


질문2)


상대하세를 적용한 표를 만들 수가 없습니다.

어떻게 만듭니까?


(질문3)


"어느 누가 同義(동의. 同意論동의론) 또는 異義(이의. 이의론異義論)라 규정지어 주장할 수가 없는 것이다."

CY님의 글 중에 同意論(동의론)異義論(이의론)의 차이점이 무엇입니까?


아래와 같이 답변을 올립니다.


(질문1)


이의논지인 [2세는 1]를 적용하여 표를 만들려니 이해가 안 된다.


답변)


고조 ~ ~ 현손의 계대에서 이를 이의[2세는 1]를 적용하여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고조→②증조→③--→④--→⑤--→⑥--→⑦--→⑧증손→⑨현손

1..........2........3.........4.........5.........6.........7.........8........9

...............1.........2........3.........4.........5.........6.........7........8

4.........3.........2.........1...(기준. 1)...2.........3.........4........5

4.........3.........2.........1.......(기준).......1.........2.........3........4


*[2세는 1]로 읽은 표이나 원칙 상대하세는 대수에는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질문2)


상대하세를 적용한 표를 만들 수가 없습니다.

상대하세를 적용한 표는 어떻게 만듭니까?


답변)


아래의 표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상대하세상대몇 대조에만 적용하고 몇 세조몇 세손은 하세를 적용하여 읽은 표입니다.


고조→②증조→③--→④--→⑤--→ ⑥--→⑦--→⑧증손→⑨현손

1.........2.........3.........4..........5.........6.........7.........8........9

1세조......2세조.....3세조......4세조......5세조......6세조......7세조.....8세조.....9(?)- 하세

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9(?)- 하세

...............1.........2.........3.........4.........5..........6........7.........8[2세는 1]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1)..2세손......3세손.....4세손.....5세손- 상대하세


*(2세는 1)이의논지의 기본 원리이고 상대하세를 적용하면 위의 표와 같이 읽습니다.


상대하세下世를 적용하면 세손세조는 위와 같이 읽어야 합니다.


下世를 적용하여 읽으면 다른 방법으로는 읽을 수가 없습니다.


몇 세손몇 세조상대하세를 적용하여 읽으면 아래와 같이 읽습니다.


1-2- 3-9세로

1세손......2세손......3세손.......9세손으로

1세조......2세조......3세조.......9세조로


그래서 이의논지에서는 =세손’. ‘=세조로 같은 뜻으로 읽는 것을 보고 =세손=세조읽는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1=1세손=1세조는 같은 뜻이 아닙니다.


‘1‘1세손‘1세조의 말뜻과 쓰임이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1는 주어진 계대에서 기준을 1세로 하여 아래위로, 위아래로 읽는 세수입니다.


이의논지에서는 항상 시조를 1세로 하여 아랫대 후손을 차례로 읽는 것을 세수로 하고 있으나 그렇게 되면 주어진 계대에서의 세수는 읽지 못하므로 윗대 조상인 고조를 기준으로 1세로 읽어 아래와 같이 세수를 읽을 수 있습니다.


1세 시조 ~ 10세 후손의 계대(경주이씨 세계)


1- 2- 3456-78910

소판공......병부령공..낭중공..병정공..시랑공..좌사간공..사록공..치련.....시중공..부사공

거명.........금현.........금서......윤홍.....승훈......주복..................치련.....총섬.....춘정


고조 ~ ~ 현손의 계대


고조→②증조→③--→④--→⑤--→⑥--→⑦--→⑧증손→⑨현손

4.........3.........2........1....(기준.1)....2.........3.........4.........5


이의논지의 ‘3=3세손에서 3세손의 뜻은 ‘3세인 후손이라는 의미입니다.


주어진 계대에서 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하세下世를 적용하면 몇 세손은 아래와 같이 읽으나 몇 세조상대하세를 적용하면 읽지 못하는 용어입니다.


다만 윗대 고조부터 1세로 하면 1=1세조. 2세는 2세조. 3=3세조....등으로 내려가며 헤아려 맨 아랫대 후손인 현손이 9세이면 9=9세조로 읽어야하는 처지입니다.


이때 9세를 9세조로 읽는 것은 ‘9세인 조상이라는 뜻으로 해석하여야 합니다.


고조→②증조→③--→④--→⑤--→⑥--→⑦--→⑧증손→⑨현손

1세조......2세조.....3세조.....4세조.....5세조.......6세조.....7세조......8세조.....9세조

4.........3.........2........1....(기준.1).....2........3..........4........5- 상대하세

4대조.....3대조......2대조.....1대조....1(?)....2세손.....3세손......4세손.....5세손 - 상대하세


*이의논지는 위로는 몇 대조로만 말하고 아래로는 몇 세손으로만 말합니다.


이의논지는 [2세는 1]와 상대하세, 대불급신의 원칙을 적용하여 읽습니다.


고조→②증조→③--→④--→⑤--→⑥--→⑦--→⑧증손→⑨현손

1.........2........3.........4..........5.........6.........7.........8........9

4........3.........2.........1........(기준).......1.........2.........3.........4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

.........................................................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 -


* 바로 위의 표에서 기준이하 항과 항은 몇 대손몇 세조상대하세를 적용하면 읽을 수 없습니다.


(질문3)


"어느 누가 同義(동의. 同意論동의론) 또는 異義(이의. 異義論이의론)라 규정지어 주장할 수가 없는 것이다."

CY님의 글 중에 同意論(동의론)異義論(이의론)의 차이점이 무엇입니까?


답변)


아래의 표를 보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주어진 고조 ~ ~ 현손의 계대에서 . . 세손. 대손. 세조. 대조의 표기를 동의론이의론으로 나누어 나타냅니다.


同意論(동의론)


고조→②증조→③--→④--→⑤--→⑥--→⑦--→⑧증손→⑨현손

1.........2........3.........4..........5.........6.........7.........8........9

1.........2........3.........4..........5.........6.........7.........8........9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6대손......7대손....8대손

5.........4........3.........2......(기준.1)...2.........3.........4........5

5.........4........3.........2......(기준.1)...2.........3.........4........5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8세조....7세조......6세조......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8대조....7대조......6대조......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 좌우의 용어를 같은 뜻으로 읽고 씁니다.


異義論(이의론)


고조→ ②증조→③--→④--→⑤--→ ⑥--→⑦--→⑧증손→⑨현손

1..........2........3.........4..........5..........6.........7.........8.........9

...............1.........2........3..........4..........5.........6.........7.........8

1(?)..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9세손

4.........3.........2.........1......(기준.1)...2.........3.........4.........5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1)...2세손......3세손.....4세손......5세손


*[2세는 1]. ‘=세손’. ‘=대조’. ‘상대하세’. ‘대불급신을 적용하여 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