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와 세의 기준에 대한 논의 - 1
【우리는 "xxx 의 00대손 또는 00세손" 이라고 얘기하는데, 대와 세의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위 문의에 대하여 몇 사람의 댓글과 답변이 올라왔습니다.
SC님의 댓글에 대하여 【.........】로 나타낸 후 아래에 곧바로 수정 및 소견)을 올립니다.
댓글) SC
【우리 ◯◯이씨는 世는 나를 포함하여 세고, 代는 나를 빼고 셉니다.
세와 대를 통합검색 해 보면 많은 가문에서 위와 같이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조할아버지는 나의 4대조이시고 나는 고조할아버지의 5세손입니다.】
소견)
‘世는 나를 포함하여 세고, 代는 나를 빼고 셉니다.’
전형적인 [2세를 1대]로 읽는 세와 대는 뜻이 다르다. 하고 하는 ‘이의’논지입니다.
[2세는 1대] . [세=세손] . [대=대손] . [세-1=대] . [상대하세] . [대불급신]이라는 기본 원칙을 적용하여 세와 대를 읽는 논리입니다.
위 ‘이의’ 논지의 내용을 표로 나타내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고조 ~ 나의 계대
고조 -- → 증조 - → 조 -- → 부 -- → 기(나)
1세...........2세..........3세.......4세........5세
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
4대...........3대..........2대.......1대........(대불급신) - ‘상대하세’ 중 ‘상대’적용
4대조........3대조.......2대조....1대조.....(대불급신)
* 위 표를 보면 증조부 2세는 2세손. 조부 3세는 3세손. 부 4세는 4세손. 나 5세는 5세손으로 읽엇는데 그러면 셈법 상 고조 1세는 ‘1세손’으로 읽어야 하는 것이 이치적으로 맞습니다.
다른 조상님은 2세손. 3세손. 4세손으로 읽었는데 맨 윗대조상만 1세손으로 읽는 것은 안 된다는 것을 알았는지 1세손이 아닌 ‘1세’로만 표시하는 것이 ‘이의’논지입니다.
이는 수학적으로 이치적으로 맞지 않게 읽은 것입니다.
1세. 2세. 3세. 4세....등으로 같은 단위로 읽고 1세손. 2세손. 3세손. 4세손...등으로 같은 단위로 읽어야 이치에 맞습니다.
‘세손’단위로 읽다가 어느 것부터는 ‘세’로 읽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는 것입니다.
‘이의’논지에서는 ‘몇 세손’을 헤아려 읽는데 맨 윗대 조상님에게는 ‘손’자를 붙일 수 없다는 것을 알고 그냥 ‘1세’로 읽는데 이는 이치에 맞지 않는 억지 논지입니다.
그리고 그 아랫대는 ‘세손’으로 읽는 것은 바른 논지가 아닙니다.
* 위 ‘이의’논지의 표에서는 ‘4대조에 5세손’으로 읽는 기이한 논지입니다.
‘나는 고조부님의 5세손’이고 ‘고조부님은 나의 4대조’입니다.
누가 보아도 이것은 잘못 헤아려 읽은 것입니다.
올라갈 때는 4계단으로, 내려올 때는 5계단으로 헤아려 지는 경우가 어디에 있습니까?
위와 같은 논지는 해방이후 부터인지 6,25 한국전쟁이후 부터인지는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일부 학자와 교수들이 종래에 선조들이 써 오던 세와 대의 사용을 잘못 해석하여 [2세는 1대. 세=세손. 대=대손. 세-1=대. 상대하세. 대불급신]이라는 원칙을 정하여 세와 대는 다른 뜻이라는 ‘이의’논지를 만들어 교육하여 몇 십년간 일반화되어 대세를 이루었던 것입니다.
일부 ‘세와 대는 같은 뜻’이라는 ‘동의’논지를 주장하던 학자와 교수들이 정론을 펴서 바르게 알렸으나 미디어가 그렇게 발전하지 못하였던 시기에다 ‘이의’논지가 대세를 이루었던 시기라 별로 바르게 알려지지 않았던 것입니다.
‘세와 대를 통합검색 해 보면 많은 가문에서 위와 같이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라고 하는 말도 ‘이의’논지로 오랫동안 교육되어 온 내용으로만 인터넷에 많이 올라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실지 집안 족보에 게재된 여러 비문 등에는 [세=대] . [세손=대손] . [세조=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고 있으며 각 용어의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세=대]
세와 대는 같은 뜻으로 쓰이며 뜻은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윗대 조상을 기준으로 하여 아랫대 후손을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고 단위이며 아랫대 후손 기준으로 윗대 조상을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고 단위입니다.
◯ 고조 ~ 나의 계대
고조 - → 증조 - → 조 -- → 부 -- → 기(나)
1세.........2세.........3세........4세........5세
5세.........4세.........3세........2세........1세
◈ [세손=대손]
“나는 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인가?” . “나는 익재공의 몇 세손(=대손)인가?” . “나는 고조부님의 몇 세손(=대손)인가?” 즉 ‘후손(누구)는 조상(누구)의 몇 세손(=대손)인가?’를 묻고 답할 때 윗대조상 기준으로 아랫대 후손을 헤아려 읽을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헤아려 읽는 방법은 조상과 후손간의 계대에서 항상 윗대조상을 기준을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랫대인 아들부터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고 단위입니다.
◯ 나 ~ 운손의 계대
기(나) -→ 자 -- → 손 - → 증손 → 현손 → 내손 → 곤손 → 잉손 → 운손
1세..........2세........3세.......4세......5세......6세.......7세.......8세......9세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6대손....7대손...8대손
*기준인 나는 헤아리지 않고(제외하고) 아랫대인 아들이 1. 손자를 2 증손자를 3. 현손자를 4...등으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아들은 나의 1세손(=1대손). 손자는 나의 2세손(=2대손). 증손자는 나의 3세손(=3대손). 현손자는 나의 4세손(=4대손)...등으로 읽거나 말합니다.
◈ [세조=대조]
세조(=대조)는 조상과 후손간의 계대에서 항상 아랫대 후손을 기준을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윗대인 아버지부터 순번대로 윗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고 단위입니다.
부 1. 조부 2. 증조부 3. 현조부 4.....등으로 읽고 헤아려 읽은 수 뒤에 세조(=대조)를 붙여 1세조(=1대조). 2세조(=2대조). 3세조(=3대조). 4세조(=4대조)...등으로 헤아려 읽습니다.
◯ 현조 ~ 기(나)의 계대
현조 -→ 고조 -→ 증조 → 조 -- → 부 -- → 기(나)
1세........2세........3세........4세.......5세........6세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아버지라는 호칭이 있기 때문에 아버지를 ‘1세조’라고 호칭은 하지 않지만 셈법으로는 아버지는 ‘나의 1세조(=1대조)’이고 할아버지는 ‘나의 2세조(=2대조)’이고 증조할아버지는 ‘나의 3세조(=3대조)’이며 고조할아버지는 ‘나의 4세조(=4대조)’라고 말하고 5대조(현조부)는 ‘나의 5세조(=5대조)’라고 합니다.
그래서 [고조할아버지는 나의 4대조이시고 나는 고조할아버지의 5세손입니다.]가 아니고 [고조할아버지는 나의 4대조(=4세조)이시고 나는 고조할아버지의 4세손(=4대손)입니다.]라고 읽거나 말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