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촌수 계산하는 방법이 다르다.
모 카페에 올라져 있는 ‘형제간의 촌수 계산법’과 윗대조상의 촌수 계산법‘입니다.
한편의 글에서 촌수 계산하는 방법을 두 가지로 말하고 있는데 이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아래의 [ ]안의 글이 인터넷에 올라져 있는 글입니다.
[① 증조부(曾祖父)에서 계열(系列)을 달리하는 형제 중 촌수가 가장 먼 형제가 6촌인데 이 6촌됨을 계산하는 방법은 형제의 기본 촌수가 2촌이며 증조부의(는) 나의 삼대조(三代祖)이니 3촌의 3. 대조의 대수 삼(3)을 곱하면 * 6촌이 된다.
② 할아버지는 같고 아버지가 다른 형제는 사촌간이 된다.
③ 아버지의 사촌 형제가 나와는 몇 촌인가는 아버지의 사촌에다가 아버지와 나는 1대이니 1을 더하면 촌수가 5촌이 된다.
고조부의 6촌 형제는 고조부의 6촌의 6에 고조부와 나와는 대로 4이니 4를 더하면 10촌이 된다.]
아래 계촌 표를 보고 생각해 보자.(8촌까지)
고조(4대조) ---------------------------------------⑥종고조(고조부 형제)
↓ ..................................................................................................................... ↓
증조(3대조) ------------------------------⑤종증조(증조부 형제) .. ⑦재종증조
↓ ................................................................................................ ..........↓ ....... ↓
조(2대조)-----------------------④종조(조부의 형제) ..... ⑥재종조 .... ⑧3종조
↓ ........................................................................↓ ...............................↓
①부(1대조)------ ③백숙부(큰. 작은아버지) .. ⑤종백숙부(당숙) .......⑦재종백숙부
↓ .............................↓ ................................... ...↓ ................................↓
Ⓞ나 --- ②형제 ......④종형제(4촌형제)...............⑥재종형제(6촌형제)...⑧3종형제(8촌형제)
↓ ............↓ ................ ↓ ....................................↓
자(아들)...③질(조카)...⑤종질................................⑦재종질
↓ ........... ↓ .............. ↓ .....................................↓
손(손자)..④종손 ..........⑥재종손 ..........................⑧3종손
↓ .......... ↓ .................↓
증손 ..... ⑤종증손 .......⑦재종증손
↓ .......... ↓ ................ ↓
현손 ..... ⑥종현손 .......⑧재종현손
↓ .......... ↓
내손 ..... ⑦종래손
↓ ...........↓
곤손 ......⑧종곤손
* 작은 원안의 수는 나와의 촌수이다.
* 5대조 할아버지는 ‘현조‘라 호칭한다.
* 6대조 할아버지는 호칭이 없다.
* 5대조 할아버지의 형제는 ‘종현조부’로 ‘나’와는 7촌이고 6대조 할아버지 나와는 8촌이 되는 셈이다.
먼저 ①항의 ‘형제 촌수 읽는 방법’에 대하여 논의해 보자.
▲ [증조부(曾祖父)에서 계열(系列)을 달리하는 형제 중 촌수가 가장 먼 형제가 6촌인데 이 6촌됨을 계산하는 방법은 형제의 기본 촌수가 2촌이며 증조부의(는) 나의 삼대조(三代祖)이니 3촌의 3. 대조의 대수 삼(3)을 곱하면 * 6촌이 된다.]
- 잘못된 설명입니다.
증조부(曾祖父)에서 계열(系列)을 달리하는 형제 중 촌수가 가장 먼 형제가 6촌가 아닙니다.
위 표를 보면 증조부(曾祖父)에서 계열(系列)을 달리하는 형제뻘의 촌수는 8촌 형제 즉 3종형제입니다.
나의 6촌 형제(재종형제)는 할아버지(조부) 형제에서 계열을 달리한 형제입니다.
그런데 ‘촌수가 가장 먼 형제‘라는 의미가 무엇인지 의아합니다.
형제로 따져서는 8촌. 10촌. 12촌. 14촌.....도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형제 항렬에서 나와 촌수가 가장 먼 형제는 증조부 항렬에서 계열을 달리하는 형제가 8촌이고 조부 항렬에서 계열을 달리하는 형제가 6촌이고 아버지 항렬에서 계열을 달리하는 형제가 4촌인데 증조부(曾祖父)에서 계열(系列)을 달리하는 형제 중 촌수가 가장 먼 형제가 8촌이라면 모를까 6촌이라는 말은 잘못된 말입니다.
글 내용상 6촌 형제를 두고 촌수를 읽은 것 같기에 아래와 같이 고쳐야 말이 될 것 같습니다.
[증조부는 같고 조부에서 계열을 달리하는 형제가 나와는 6촌간이다.]
다음은 6촌 형제의 6촌 촌수 계산 방법을 말하고 있습니다.
[6촌 형제(재종형제)의 6촌 됨을 계산하는 방법은 형제의 기본 촌수가 2촌이며 증조부는 나의 삼대조(三代祖)이니 ‘대조’의 대수 3을 곱하면 6촌이 된다.]
- 이는 무슨 말이냐 하면 형제의 기본 촌수는 2촌이고 증조부는 ‘나’로부터 3대조이니 3을 읽어 2*3은 6이니 6촌으로 읽는다는 의미입니다.
역시 잘못된 설명입니다.
증조부와 나와는 3대조인데 3대조의 3에 형제 촌수 2를 곱하여 6촌이라고 계산하 넛인데 잘못된 설명입니다.
형제의 2촌 촌수는 방계 촌수로 읽은 것이고 ‘나부터 증조부’까지는 직계의 ‘대조‘수로 읽어 두 수를 곱하여 촌수를 구한 것입니다.
직계는 촌수가 없으나 ‘몇 대조’로 읽어 그 ‘수’로 촌수로 말을 해도 촌수 계산은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직계 ‘몇 대조‘수에 방계의 ’촌‘수를 곱하여 촌수를 읽는 것은 잘못된 계산입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헤아려 읽어야 합니다.
증조(3대조) ------------------------------⑤종증조(증조부 형제)
↓ ................................................................................................ .........↓
조(2대조)-----------------------④종조(조부의 형제) ............. ⑥재종조
↓ ........................................................................↓ ...............................↓
①부(1대조)------ ③백숙부(큰. 작은아버지) .. ⑤종백숙부(당숙) ........⑦재종백숙부
↓ .............................↓ ................................... ...↓ ................................↓
Ⓞ나 --- ②형제 ......④종형제(4촌형제)...............⑥재종형제(6촌형제)...⑧3종형제(8촌형제)
본디 나와의 촌수 계산은 계대가 갈라지는 형제의 아버지 즉 공동조상까지 '종대조수'로 헤아려 읽고 계대는 나에서 종증조부까지와 재종형제에서 종증조부까지 양쪽 계대이니 × 2를 하여 계산하는 것입니다.
증조부까지 헤아려 읽은 이유는 할아버지(조부)에서 계열을 달리하면 공동으로 하는 조상이 증조할아버지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할아버지는 같고 아버지의 다른 형제는 4촌간이 된다.]는 말에서 그 의미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나에서부터 아버지 형제 즉 백숙부까지 계대를 짚어 촌수를 헤아려 읽어도 되나 공동 조상으로 하여 ‘몇 대조’수를 헤아려 읽고 이를 다시 촌수를 읽으면 됩니다.
○ 나와 6촌형제의 촌수 읽기(나와 종조부까지의 계대를 마디로 읽어 촌수 계산)
조(2대조)---------- ④종조(조부의 형제) - (종2대조) - 2촌
↓.........................↗......↓
①부(1대조)--↗----- ⑤종백숙부(당숙)
↓............↗...................↓
Ⓞ나 ↗--- ---------⑥재종형제(6촌형제)
*나에서 종조부까지는 종2대조이니 이는 2마디와 같으니 2촌으로 읽는 것과 같습니다.
6촌 형제는 종조부의 손자이니 마디로 역시 2촌이고 2촌+2촌=4촌 이는 나와 아버지 1촌과 나와 형제 2촌을 계산하지 않았으므로 4촌 +2촌= 6촌이 되는 것입니다.
○ 나와 6촌형제의 촌수 읽기(공동조상 증조부까지의 계대를 마디로 읽어 촌수 계산)
증조(3대조)
↓
조(2대조)---------④종조(조부의 형제)
↓
①부(1대조)-------⑤종백숙부(당숙)
↓
Ⓞ나 --- -------- ⑥재종형제(6촌형제)
*나와 재종형제인 6촌형제의 공동조상은 증조할아버지입니다.
나와 증조할아버지와의 관계는 나의 3대조이고 6촌형제도 종3대조입니다.
3대조는 마디로 읽어 3촌으로 촌수를 읽습니다.
한쪽 계대가 3촌이고 양쪽이니 3촌 × 2 = 6촌입니다.
위의 표에서 할아버지의 형제 계열에서 재종형제(6촌 형제)는 6촌으로 읽어집니다.
위와 같이 촌수 계산을 하여도 촌수는 읽어집니다.
그런데 설명의 글에서는 직계 혈족인 나와 증조부 계대를 3대조로 읽어 그 수 3을 취하여 형제의 기본 촌수 2를 곱하였는데 형제촌수 2를 곱하는 것이 아니고 계대가 양쪽이니 2를 곱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셈법이 다른 촌수에도 적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8촌 형제인 3종형제와 나와의 촌수를 읽어보겠습니다.
3종형제는 증조할아버지의 형제 계대입니다.
공동조상이 필요합니다.
증조할아버지와 형제이니 공동조상은 증조부의 아버지인 고조할아버지입니다
나부터 고조할아버지까지 ‘대조’수를 읽으면 4대조이고 4대조에서 4를 따 형제의 기본 촌수 2촌을 곱하면 8촌이 됩니다.
이렇게 읽어도 3종형제는 8촌으로 읽게 되어 촌수를 바르게 읽습니다.
그런데 형제 항렬의 촌수를 알기위하여 직계 계대의 ‘대조’ 수를 읽어 형제의 기본 촌수를 곱하는 것이 다른 촌수를 읽는데도 과연 적용할 수 있느냐? 인데 이는 적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7촌은 ‘대조’수에 * 2를 하면 짝수만 나오지 홀수는 나올 수 없기 때문입니다.
형제의 기본 촌수 2촌은 형제 항렬을 촌수로 읽는 데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 형제 항렬외 다른 촌수는 계산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촌수 셈하는 방법은 형제 항렬의 촌수를 헤아리는 일부만 촌수를 읽을 수 있는 제한된 촌수를 셈하는 방법에 불과합니다.
이러한 촌수 계산법도 유용한지는 판단하기 어려우나 어떤 촌수이든지 읽을 수 있는 계산 방법이라야 옳은 방법일 것이다.
다음은 ‘윗대조상을 촌수로 읽는 방법’ ②항에 대하여 논의해 봅시다.
[아버지의 사촌 형제가 나와는 몇 촌인가는 아버지의 사촌에다가 아버지와 나는 1대이니 1을 더하면 촌수가 5촌이 된다.]
아버지의 4촌 형제는 할아버지의 형. 동생 계열이니 나의 종백숙부(당숙)를 가리킨다.
위 표에서 5촌으로 읽게 됩니다.
위의 [ ]안의 글에는 아버지의 4촌 형제이니 아버지와 4촌 그리고 나와 아버지의 1대의 1를 더하여 5촌으로 읽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공동 조상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짚고 넘어가야할 것은 ‘아버지와 나는 1대이니...’하는 말입니다.
‘동의’ 논리이든 ‘이의’ 주장이든 아버지 1세이면 나는 2세입니다
나와 아버지와의 ‘1대’ 대수는 ‘이의‘ 주장에서 말하는 ’2세는 1대’라는 원칙에서 나온 것입니다.
‘대‘는 ’이의‘ 주장에서 독립적으로 읽는 단위로 ’세‘와는 다른 뜻으로 읽습니다.
世는 代와 같이 읽는 것이지 世에 -1를 하여 代로 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의’ 주장 자체가 논리에 맞지 않는 잘못된 주장임으로 이를 응용하여 촌수를 읽는다면 이는 처음부터 잘못된 촌수 읽는 방법입니다.
‘몇 대‘ 대신에 ’몇 대조‘로 읽어야 바르게 읽는 것입니다.
‘몇 대조’는 조손간의 관계를 따져 읽는 수 뒤에 붙여읽는 용어입니다.
그러므로 아버지와 나와의 관계를 읽기 위한 것이기도 하기 때문에 ‘1대’가 아닌 ‘1대조’로 읽어야 합니다.
아니면 직계 혈족은 촌수가 없으나 예외적으로 나와 아버지는 1촌 관계를 인정하고 있음에 유의하여 바로 1촌으로 읽으면 됩니다.
아버지와 나와 관계를 ‘1대’로 읽는 것만은 피해야 합니다.
다음 [ ]안의 글 중 맨 아래쪽 글에 대하여 논의해 봅시다.
[고조부의 6촌 형제는 고조부의 6촌의 6에 고조부와 나와는 대로 4이니 4를 더하면 10촌이 된다.]
- 고조부의 6촌 형제는 나와는 몇 촌이냐? 는 물음에 촌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한 글입니다.
고조부의 6촌 형제는 바로 고조부와 6촌 형제 사이이니 6촌이고 고조부와 나와는 4대이니 6과 4를 합하여 10촌으로 읽은 것입니다.
문제는 고조부와 ‘나’를 ‘대‘수로 읽은 것입니다.
앞에서 논한 것과 마찬가지로 ‘대’수는 ‘이의’ 주장에서 1세와 2세 사이 약 30년 기간을 ‘1대’로 한다는 주장에 의하여 읽는 단위로 ‘세’와는 달리 읽는 단위입니다.
‘이의’ 주장의 논리를 적용하여 논리를 펴서 글을 쓰는 것은 ‘이의‘ 주장 그 자체가 잘못된 논리라고 다수의 조사 분석 연구 결과 실증된 만큼 더 논할 필요조차 없습니다.
해서 굳이 위의 글대로 촌수를 계산하려고 한다면 ‘이의’ 주장으로 ‘4대’로 읽을 것이 아니라 ‘4대조’로 읽어야 바르게 읽는 것입니다.
고조할아버지는 '나의 4대조’이고 마디가 4개이므로 4촌으로 셈을 할 수 있으나 고조할아버지를 4촌이라고 하는 것은 망발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을 하면 위의 2가지 촌수를 읽는 방법은 각기 다릅니다.
1)앞서의 촌수 계산하는 방법은 할아버지의 형제 즉 종조부 계대의 6촌 형제와 나와의 촌수를 읽는 방법은
공동조상인 나와 증조부까지 3대조의 수치 3에 계대가 양쪽이므로 2를 곱하여 6촌으로 계산하는 것입니다.
2) ‘윗대 조상을 촌수로 읽는 방법‘으로 아버지의 4촌 형제와 나와의 촌수는 아버지와 사촌 형제의 촌수 4촌과 ’아버지와 나‘와의 ’대조‘수 ’1대조‘의 1을 더하여 5촌으로 읽습니다.
고조부의 6촌 형제는 고조부의 6촌의 6에 고조부와 나와는 ‘대조’수로 ‘4대조‘이니 4촌을 더하면 10촌으로 읽습니다.
촌수 읽는 방법 1)과 2)를 보면 각기 다르게 계산하여 촌수를 읽었습니다.
1)번 촌수 계산 방법은 직계와 방계의 공동 조상을 ‘몇 대조’로 읽고 그 두 수를 곱하기하여 촌수를 계산하고
2)번 촌수 계산 방법은 직계와 방계를 ‘몇 대조’로 읽고 그 두 수를 더하기하여 촌수를 계산한 것입니다.
다만 2)에서 고조부와 나와의 관계를 ‘4대’로 읽은 것은 잘못 읽는 것입니다.
‘이의’ 주장에서 ‘세‘와 달리 읽는 것이 ‘대‘입니다.
’2세는 1대’라는 잘못된 논리를 적용하여 읽는 것은 애초부터 촌수를 잘못 읽는 것입니다.
조손간을 ‘대조‘로 읽어 나와 고조부와의 관계를 ’4대‘로 읽을 것이 아니라 ’4대조‘로 읽어야 바르게 읽는 것입니다.
그런데 代로 읽어 그 수치를 촌수로 읽는 것은 절대로 안 되지만 ‘몇 대조’로 읽어 그 수치를 촌수로 한 것은 그렇게 읽어도 촌수를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직계로 나와 고조할아버지의 관계에서 촌수가 없다고 하니 ‘촌수’를 읽을 수는 없습니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직계 계대는 촌수가 없으니 ‘寸‘으로 읽지 않는 것이 타당하고 ’代’의 읽음은 ‘이의’ 주장의 ‘2세는 1대‘라는 허황된 논리에 의거하여 읽은 만큼 ’代‘로 읽어 촌수로 바꾸어 읽는 것도 촌수 읽는 방법으로는 잘못된 것입니다.
기어이 읽는다면 ‘몇 代祖’로 읽어 촌수로 읽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두 가지 촌수 계산하는 방법 중 한 방법은 형제 항렬의 계대별 촌수를 읽는 데는 적용될 수 있지만 다른 촌수를 읽는 데는 사용될 수 없고 다른 촌수를 읽는 방법은 형제 항렬의 촌수를 읽는 데는 적용이 안 되기 때문에
촌수를 한 가지 방법으로 읽지 않고 두 가지 방법으로 각기 다르게 읽는다는 것은 촌수 읽는 방법으로는 좋은 것입니다.
녹전 이이록(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