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세손과 대손

녹전 이이록 2023. 11. 17. 07:34

세손과 대손

 

英祖 49, 15(1739 己未 / 청 건륭(乾隆) 4) 315(辛酉) 2번째 기사

 

ㅡ 선정전에 나가 백관이 낸 의견을 아뢰게 하고 사우에서 예할 날을 잡게 하다.

 

[上御宣政殿, 命承旨南泰溫, 讀奏百官獻議訖, 敎曰: “........” 又召見 *守勤七世孫 龜重, ]

 

-- 임금이 선정전(宣政殿)에 나아가 승지 남태온(南泰溫)에게 명하여 백관이 낸 의견을 읽어 아뢰게 하고, 끝나고서 하교하기를, “....” , 수근(守勤)7세손 구중(龜重)을 불러서......

 

守勤 祖(수근 조)로부터 龜重 祖(구중 조)까지의 계대.

 

[ *守勤七世孫 龜重(수근 7세손 구중) ]

- 수근 7세손은 8세 구중이다.

 

守勤 → ② 弘弼 → ③ 思永 → ④ → ⑤ 得義 → ⑥→ ⑦ 徵五 → ⑧구중(龜重)

1.............2,,,,,,,,,,,,,3,.,........4..........5,,,,,,,.,,6,,,,,,,,,7,,,,,,,,.,,,8

수근............홍필...........사영.....................득의...................징오..........구중

(기준).........1세손..........2세손...... 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

(기준).........1대손..........2대손..... .3대손......4대손.......5대손......6대손........7대손

 

* 여기서 기준 인물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 다음 아랫대부터 1세손 ~ 2세손 --- 6세손 7세손으로 계산됐다.

* 시조로부터 계산할 때도 마찬가지다.

 

[시조=기준]으로 1(=1)이며 아랫대와는 1, 2세로 21세손이 된다.

 

조선은 건국과 동시에 유교를 국교로 삼았고, 조선왕조실록은 위와 같은 계대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다른 성씨의 용례도 30여건 조사되어 있는 자료를 보았다.

 

우리가 직전 왕조의 왕실에서 사용하던 방식을 사용하지 않으면 어느 나라의 방식을 따를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