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代)와 세(世)에 대하여 - 2
<이하는 참고자료>
세(世)와 대(代)는 동의어(同義語)이다.
- 『世와 代』의 올바른 쓰임
<세손, 세조>를 世라 하고 <대손, 대조>를 代라 하는 사람이 많으나 <世, 代>와 <세손, 세조, 대조, 대손>은 뜻이 다른 말이므로 구분하여 써야 한다.
⇒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사용한다.
(2) 世, 代는 가계(家系)의 차례를 나타내는 말이므로 기준이 되는 사람을 포함하여 헤아린다. ‘누구로부터 몇 世, 몇 代’라 한다.
世와 代는 같은 뜻이다. (1世=1代)
〔예〕 나(기준)부터 헤아리면 나는 <1世=1代>이고 고조는 <5世=5代>이다.
고조(기준)부터 헤아리면 고조는 <1世=1代>이고 나는 <5世=5代>이다.
(3) 세손, 대손. 세조, 대조는 조상과 후손의 관계(호칭)를 나타내는 말이므로, 기준이 되는 사람을 빼고 헤아린다.
‘누구의 몇 세손(=대손), ‘누구의 몇 대조(=세조)라 한다.
세손과 대손은 같은 뜻이다. (1세손=1대손).
세조와 대조는 같은 뜻이다. (1세조=1대조)
〔예〕 나는 고조(기준)의 <4세손=4대손>이다.
(기준인 고조를 빼므로 증조가 1세손=1대손)
고조는 나(기준)의 <4세조=4대조>이다.
(기준인 나를 빼므로 부(父)가 1세조=1대조이다.)
(4) 가계의 차례인 <世>와 조상과 후손의 관계(호칭)인 <세손>은 뜻이 다른 말이다.
<세와 세조>. <대와 대손>. <대와 대조>도 다른 말이다.
〔예.1〕 고조는 나부터 헤아려 <5世=5代>이고, 나의 <4세조=4대조>이다.
나는 고조부터 헤아려 <5世=5代>이고, 고조의 <4세손=4대손>이다.
〔예.2〕 <5대와 5대조>는 다른 말이다.
代와 世는 같은 뜻으로 가계의 차례이므로 나부터 위로 헤아려 5代(=5세)는 고조이다.
몇 대조는 조상과 후손 간의 관계이므로 나의 5대조는 6代인 고조의 부(父)이다.
《유의점》
‘世와 代는 다르다(異義)’라는 주장은
①가계의 차례를 헤아릴 때 대불급신(代不及身)이라며 근거 없이 나를 빼고 헤아려 고조를 4代라 하므로 틀린다.
② 조상과 후손의 관계(호칭)를 헤아릴 때 나를 고조의 5세손이라 하는데, 이는 <고조가 고조자신의 1세손>이라는 말이므로 틀리고, 또 고조를 나의 5세조라 하는데, 이는 <내가 나의 1세조>라는 말이므로 틀린다.
< 고조가 고조 자신의 1세손> , <내가 나의 1세조>는 아예 말이 되지 않는다.
(5) 가계의 차례(世, 代)와 조상과 후손의 관계(세손, 세조, 대조, 대손) 헤아려 보기.
(1世) 시조 - → (10世) 참판공 - → (35世) 길동
① (35世)길동은 (1世)시조로부터 헤아려 가계의 차례가 35번째 즉 <35世=35代>이다.
② (1世)시조와 (35世)길동의 관계(호칭)는 (35世)길동은 (1世)시조의 <34세손=34대손>이고, (1世) 시조는 (35世)길동의 <34세조=34대조>이다.
③ (35世)길동은 (10世) 참판공으로부터 헤아려 가계의 차례가 26번째 즉 <26世=26代>이다. (기준이 되는 참판공을 포함하여 헤아림)
④ (35世)길동은 (10世)참판공의 <25세손=25대손>이고, (10世)참판공은 (35世)길동의 <25 세조=25대조>이다.
*후손의 세수(대수)에서 조상의 세수(대수)를 빼면 알고자 하는 ①몇 世=몇 代 ②몇 세조=몇 대조, 몇 세손=몇 대손을 쉽게 알 수 있다.
①후손의 세수(대수) - 조상의 세수(대수) + 1 = ( +1은 기준을 포함)
②후손의 세수(대수) - 조상의 세수(대수) = 몇 세조=몇 대조, 몇 세손=몇 대손
(6) 조상에게도 世, 代를 쓰고, 후손에게도 世, 代를 구분 않고 쓴다.
‘조상에게 代를 쓰고 후손에게 世를 쓴다. (上代下世)’는 근거가 없는 말이다.
<세손=대손>, <세조=대조>이므로 조상과 후손 간을 ①대조 – 대손. ②대조 – 세손. ③세조 – 세손. ④세조 – 대손으로 표기 할 수 있다.
①②를 관습적으로 많이 쓰고 있고, ③은 옛적에는 많이 썼으나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세(世)는 시조(始祖)로부터 자기(自己)까지 차례로 더하여 계산(計算)한 대수(代數)이며, 대(代)는 자기(自己)를 제외시킨 후 바로 윗대(代) 아버지까지를 더하여 계산(計算)한 대수(代數)를 말합니다.]
⇒ 세(世)와 대(代)는 같은 뜻으로 조손간 순번대로 위로, 아래로 헤아려 읽고 세조와 대조는 같은 뜻으로 조손간 아랫대 후손을 기준으로 하여 아버지를 1세조(=1대조). 조부를 2세조(=2대조). 증조부를 3세조(=3대조)....등으로 헤아려 읽고 윗대 조상님을 기준으로 하여 아랫대 아들을 1세손(=1대손), 손자를 2세손(=2대손). 증손자를 3세손(=3대손)....등으로 헤아려 읽습니다.
예(例)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고조(高祖)는 나의 4대조(代祖)이다.
- 나는 고조(高祖)의 4대손(代孫)이다.
▲[*이 경우는 자기(自己)가 고조(高祖)로부터 더하여 계산(計算)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代)를 써야 하며, 세(世)로 표시(表示)할 경우는 자기(自己)가 더하여 계산(計算)되기 때문에 5세조(世祖) 또는 5세손(世孫)이라는 계산(計算)이 되나, 선조(先祖)에는 세(世)를 쓰지 아니하므로, 5세조(世祖)라 하지 않고 고조(高祖)는 4대조(代祖)라 합니다.]
⇒ 위의 글은 세와 대의 ‘이의론’ 주장으로 잘못돤 논리입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세=대. 세조=대조. 세손=대손’으로 등호(=) 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읽습니다.
1세- → 2세- → 3세 -→ 4세 -→ 5세 →
1대- → 2대- → 3대 -→ 4대 -→ 5대 →
고조 ....증조......조.........부........기(나)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