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이씨 '항렬제차' 제정 시기
▣ 중시조 35세 이전의 항렬자 사용은 익재공파(1). 국당공파(2). 상서공파(1)의 4집안에서 각기 다른 항렬자를 정하여 사용하였다.
중시조 35세 ○榮(영)항렬부터 37세 鍾(종)○항렬의 3개 항렬은 1868년 이전 익재공파 ‘진천 문중(鎭川門中)’에서 정하여 준용하고 있는 항렬자를 그대로 따라서 작명키로 의정(議定-의논하여 결정함)하여 대동항렬자로 하였다.
▣ 당시 미정(未定)인 중시조 38세 ○雨(우) 항렬부터 42세 ○鎬(호) 항렬까지 5대 항렬자는 1868년에 제정된 항렬자이다.
▣ 이후 1987년에 간행된 경주이씨 대종보(정묘보) 총편 익재공파편 P298~299에 아래와 같이 항렬자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三十五代로 된 失傳世系의 序文一節 - (中略) - 正三品通政大夫時慶山郡守啓弼記
- (35대로 된 실전세계의 서문 1절 – (중략) - 정3품 통정대부 시경산군수 계필 기)
[行第字亦爲預先講定錄于譜序下以示敦睦之誼
(행제자역위예선강정록우보서하이시돈목지의)]
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47세
○榮...圭○....鍾○...○雨....相○....○熙...在○...○鎬....濟○...○東....心○...○世...鎭○
(○영...규○....종○...○우....상○....○희...재○...○호....제○...○동....심○...○세...진○)
중략 - 大韓光武八年甲辰仲春上澣
(대한 광무8년 갑진 중춘 상한)】
2건의 글을 정리하여 아래와 같이 세수에 따른 항렬자 사용을 표로 나타내었다.
1904년 광무 8년 갑진(甲辰)에 경산(慶山)에서 경산군수 계필(啓弼) 할아버지께서 중간(重刊)한 갑진보(甲辰譜)에 올라 있는 세수에 따른 항렬자는 아래와 같이 중조 35세~47세까지 기록하고 있다.
갑진보에 기록된 중조 35세 ~ 47세까지의 항제자(行第字) 표에 위의 자료의 내용을 해당 연도에 맞추어 넣어 보았다,
* 중조 48세 이하 세수와 항렬자는 ‘경주이씨 항렬제차’에 따른 항렬자이며 48세 이하 세수와 항렬자는 생략하였다.
------34세 이전 -→ 35세--→ 36세--→ 37세→.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익재공파.상서공파....○榮........ 圭○.......鍾○.....○雨.....相○....○熙......在○.....○鎬....
국당공파(2집안).......○영........규○.........종○.....○우....상○.....○희.....재○.....○호...
--4집안 항렬 사용--┃(진천문중)-3개 항렬┃----┃1868년-5개 항렬(금석록 기록).┃---
43세 → 44세 → 45세 - → 46세 → 47세 → 48세 이하 – 이하 생략
濟○......○東.......心○.......○世......鎭○......○求....
제○......○동.......심○.......○세......진○......○구....
┃1904년-5개 항렬(갑진보 기록).....┃------┃? - 48세 ~ 70세 항렬 제정
1) 귤산공(휘 유원)의 금석록에서 1868년에 [당시 미정(未定)인 우(雨)자 이하의 5대 항렬자를 새로 정하였다.]라고 하였으니 중조 38세 ○雨항렬부터 중조 42세 ○鎬항렬까지 5대(=5세)항렬자를 정한 것이다.
2) 1)의 내용으로 중조 38세 ○雨항렬 이전의 35세→36세→37세의 ○榮...圭○....鍾○의 3개 항렬은 1868년 이전에 진천 문중에서 정하여 사용된 항렬자이다.
3) 그리고 중조 35세 이전 항렬자 사용은 중조 34세까지 익재공파 1집안. 국당공파 2집안. 상서공파 1집안 등 4 집안에서 사용한 것으로 전해오고 있다.
4) 이후 1987년 간행 경주이씨 대종보(정묘보) 총편 익재공파편 P298의 ‘三十五代로 된 失傳世系의 序文一節’의 다음 페이지 P299의 ‘行第字’에 항렬자가 중조 35세~47세까지 올라 있다.
이 갑진보(甲辰譜) 발간 연도가 광무8년이니 1904년이고 이때에 다시 중조 43세 濟○항렬부터 47세 鎭○항렬까지 5개 항렬자가 정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