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손과 세손의 차이점 - 1
daum 모 blog에 올라 있는 글입니다.
대부분 바르게 설명된 글이나 혹 잘못된 기술도 있어 잘못된 내용이나 이견에는 원문에 *표시를 하고 아래에 ▲[*.............]로 나탄 낸 뒤 소견)을 올립니다.
【세(世)는 혈통의 순서를 말하는 것으로 대(代)와 같은 뜻이고, { 1世(세) 2世(세) 3世(세) 4世(세) 5世(세) = 1代(대) 2代(대) 3代(대) 4代(대) 5代(대) }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은 몇 번째 자손인가를 나타내는 단위로 같은 뜻이며, 세조(世祖)와 대조(代祖)는 몇 번째 조상을 나타내는 단위로 같은 뜻입니다.
유의할 것은 항렬 표에 기재된 세(世)에다 손(孫)자를 붙여 세손(世孫)이라고 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항렬표의 20세를 20세손이라 하면 틀림}
다음의 세(世)와 대(代), 세조(世祖)와 대조(代祖), 세손(世孫)과 대손(代孫)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世(세)와 代(대)는 한 씨족의 혈통을 나타내는 차례의 단위이다.
代(대)는 世(세)보다 널리 쓰이고 있다.
여기서는 혈통관계만 말하고자 한다.
옛날부터 世(세)를 많이 쓰다가 당나라 태종 이세민 이후 世(세)를 못 쓰게 하여 代(대)로 바꾸어 사용하던 것이 태종이 서거한 후 풀리어 오늘에 이르러 世(세)와 代(대)를 혼용하게 된 것이며 *世祖(세조)는 옛날에는 많이 썼으나 지금에는 거의 안 쓰고 代祖(대조)를 많이 쓰고 있다.
*시조 또는 기준으로부터 차례로 내려가는 순서는 1世(세) 2世(세) 3世(세) 4世(세) 5世(세) …… 또 1代(대) 2代(대) 3代(대) 4代(대) 5代(대) ……로 나타내는 것이다.
*씨족이나 문중에 따라 世(세)나 代(대)를 선택하여 쓰고 있다.
우리 김해김씨는 世(세)를 쓰고 있다.
代(대)를 쓰는 씨족은 함안조씨, 청주정씨, 문화류씨, 전주류씨, 대구빈씨 진천송씨 등이 있다.
*셈할 때 代(대)와 世(세)는 기준이 포함되고, 또 代(대)와 世(세)에 祖(조) 孫(손)이 이어지면 즉 代祖(대조) 世祖(세조) 代孫(대손) 世孫(세손)은 기준이 제외되는 말이다.
※ 祖(조), 孫(손)의 해석;
祖(조)=할아버지가 아니고 조상(부 조부 등), 孫(손)=손자가 아니고 자손(아들, 손자 등)으로 해석한다.
1代祖(대조)의 해석
① 자기(1代)에서 1代(간격) 위인 조상=아버지
② 조상만 세어 첫째=아버지
1代孫(대손)의 해석
① 자기(1代)에서 1代(간격) 아래 자손=아들
② 자손만 세어 첫째=아들
1世祖(세조)의 해석
① 자기(1世)에서 1世(간격) 위인 조상=아버지=1代祖(대조)
② 조상만 세어 첫째=아버지
③ 시조=1世(세)=1世祖(세조) ; 世(세)와 世祖(세조)의 뜻이 같아서 부당함
1世孫(세손)의 해석
① 자기(1世)에서 1世(간격) 아래 자손=아들=1代孫(대손)
② 자손만 세어 첫째=아들
③ 1世(세)=1世孫(세손); 世(세)와 世孫(세손)의 뜻이 같아서 부당함
2世孫(세손)의 해석
① 1世(자기)에서 2世(간격) 아래 자손=손자=2代孫(대손)
② 자손만 세어 둘째=손자
③ 차례 2世(아들)인 자손 즉 2世(세)=2世孫(세손) ; 부당함】
▲[*世(세)와 代(대)는 한 씨족의 혈통을 나타내는 차례의 단위이다. 代(대)는 世(세)보다 널리 쓰이고 있다. 世祖(세조)는 옛날에는 많이 썼으나 지금에는 거의 안 쓰고 代祖(대조)를 많이 쓰고 있다]
소견)
1945년 이후 세와 대를 2세=1대로 읽는 이의론이 몇몇 학자들에 주도되어 널리 알려져 대세를 이루고 일반화되어 ’上代下世(상대하세 - 代(-대조)는 위로 世(-세손)는 아래로 읽는다.)‘라는 사자성어로 된 원칙이 만들어져 적용된 후부터 代(대)는 世(세)보다 널리 쓰이고 있는지는 모르나 어떤 통계조사도 없이 글쓴이의 주관에 따라 기술된 말인 것 같습니다.
성균관 전의 청운 이주엽 선생의 논문 ’세와 대의 진위‘ 논문에 세와 대. 세손과 대손. 세조와 대조의 사용빈도를 보면 모두 엇비슷합니다.
▲[*시조 또는 기준으로부터 차례로 내려가는 순서는 1世(세) 2世(세) 3世(세) 4世(세) 5世(세) …… 또 1代(대) 2代(대) 3代(대) 4代(대) 5代(대) ……로 나타내는 것이다.]
소견)
윗말이 틀린 말은 아니나 덧붙이면 기준을 1세(=1대)로 하면 기준의 위로도, 기준의 아래로도 아래의 표와 같이 세와 대를 읽을 수 있습니다.
(1世) → 2世 → 3世 → 4世 → 5世
(1代)......2代.....3代.....4代.....5代 - 고조부를 1세(=1대)로 할 때
3세........2세.....(1세)...2세.....3세
3대........2대.....(1대)...2대.....3대 – 조부를 1세(=1대)로 할 때
5세........4세.....3세.....2세.....(1세)
5대........4대.....3대.....2대.....(1대) - 나를 1세(=1대)로 할 때
고조......증조....조.......부......기(나)
▲[*씨족이나 문중에 따라 世(세)나 代(대)를 선택하여 쓰고 있다. 김해김씨는 世(세)를 쓰고 있다.
代(대)를 쓰는 씨족은 함안조씨, 청주정씨, 문화류씨, 전주류씨, 대구빈씨 진천송씨 등이 있다.]
소견)
’씨족이나 문중에 따라 世(세)나 代(대)를 선택하여 쓰고 있다.‘는 주장은 잘못된 말입니다.
우리나라 유명 성씨의 족보를 보면 시보(始譜- 성씨에서 처음 간행한 족보)는 거의 대부분 一代 二代. 三代.....등으로 표기하고 그 뒤 족보부터는 一世. 二世. 三世....등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지금 발간되는 족보는 모두 世수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함안조씨의 예)
1979년도 대동보 함안조씨 대동보 제수편(함안조씨대동보제수편) - 1대. 2대. 3대......
1996년도 함안조씨 두암공파보 – 1세. 2세. 3세.......
▲[*셈할 때 代(대)와 世(세)는 기준이 포함되고, 또 代(대)와 世(세)에 祖(조) 孫(손)이 이어지면 즉 代祖(대조) 世祖(세조) 代孫(대손) 世孫(세손)은 기준이 제외되는 말이다.]
소견)
헤아려 읽을 때 代(대)와 世(세)는 기준이 포함되고, 또 代(대)와 世(세)에 祖(조) 孫(손)이 이어지면 즉 代祖(대조) 世祖(세조) 代孫(대손) 世孫(세손)은 기준을 제외하고 읽는다는 뜻입니다.
위 글에 아래와 같이 자세한 설명을 덧붙입니다.
◈ 代(대)와 世(세)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누구든 기준을 1로 하여 기준 위를 2부터 순번대로 헤아리고 기준 아래를 2부터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아래의 용어 代祖(대조)와 世祖(세조). 代孫(대손)과 世孫(세손)은 아래와 같은 문답을 할 때 쓰입니다.
“중시조(익재공. 백사공. 매죽헌공)은 중조 38세 ’우‘항렬의 몇 세조(=대조)입니까?”
◈ 代祖(대조) 世祖(세조)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아랫대 후손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윗대인 아버지를 1로 하여 순번대로 위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중시조 38세(=38대) ’우‘항렬은 중시조(익재공. 백사공. 매죽헌공)의 몇 세손(=대손)입니까?”
◈代孫(대손) 世孫(세손)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윗대 조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랫대인 아들을 1로 하여 순번대로 아래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