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촌수 계산 방법

녹전 이이록 2018. 9. 12. 09:51

촌수 계산 방법



혹 직계를 촌수로 읽는 잘못 기술한 부분도 있지만 대체로 촌수 계산에서 필자와 소견을 같이 하고 있는 자료입니다.


(인용)


1) 형제간의 촌수 계산법


형제라 하면 같은 항렬(行列)을 총칭하는 말로서 형제간에는 다음 요령으로 그 촌수를 계산하면 된다.


예를 들어 증조부(曾祖父)에서 계열(系列)을 달리하는 형제 중 촌수가 가장 먼 형제가 6촌인데 이 6촌 됨을 계산하는 방법은 형제의 기본 촌수가 2촌이며 증조부는 나의 3대조(三代祖)이니 3촌의 3대조의 대수 삼을 곱하면 6촌이 된다.


할아버지는 같고 아버지가 다른 형제는 사촌간이 된다.


소견)


친형제는 2, 백숙부 계대는 4촌 형제, 종조부 계대는 6촌 형제, 종증조부 계대는 8촌형제, 종고조부 계대는 10촌 형제....... 20. 40촌 등 다양하다.


항렬이나 세수(대수)로 조항 뻘인지. 숙항 뻘인지, 형제 뻘인지, 조카 뻘인지, 손항 뻘인지를 알아 일가를 대하여야 결례를 하지 않고 실수가 없는 것이다.


직계에서는 나와 아버지만은 1촌으로 인정합니다.


형제는 나와 1마디이지만 1촌이 아닌  2촌으로 나와 아버지 1촌 다음으로 순서를 둡니다.


할아버지(祖父)는 같고 아버지가 다른 형제는 나와 4촌간이 됩니다.


[증조부(曾祖父)에서 계열(系列)을 달리하는 형제 중 촌수가 가장 먼 형제는 6촌인데 이 6촌 형제 됨을 계산하는 방법은 형제의 기본 촌수가 2촌이며 증조부는 나의 삼대조(三代祖)이니 3촌의 3대조의 3을 곱하면 6촌이 된다.]


소견)


증조부는 나의 삼대조(三代祖)이니 3촌이다.’


증조부는 나의 3대조이나 3촌이 아닙니다.


이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증조할아버지를 나와 3촌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니까 직계는 촌수가 없다고 하고 직계를 촌수로 읽어 말하면 안 됩니다.


직계인 나와 증조부와의 관계를 3대조로 읽어 3촌이라 하고 형제의 기본 촌수 2촌에다 3촌을 곱하여 6촌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직계는 촌수가 없으니 증조부를 3촌으로 읽으면 안 됩니다.


증조부의 형제를 나는 종증조부라 합니다.


나에서 종증조부는 종3대조이고 3마디이니 3촌이고 종3대조에서 나와 항렬을 같이 하는 형제는 종3대조의 증손으로 3마디이니 3촌으로 3+3=6촌으로 읽어야 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고 방계의 촌수를 바르게 읽어야 합니다.

......................................................................................(종3대조)

증조----------------------------------------------종증조(증조부형제)...재종증조

.................................................(2대조)..............................................

------------------------------종조(조부형제)......재종조...................3종조

....................(1대조)...........................................

----------백숙부(부형제)...종백숙부(당숙).......재종당숙

..........................................................................

--형제.. 종형제(4촌형제)..재종형제(6촌형제)..3종형제(8촌형제)


촌수는 나와 가까운 사이에서 먼 사이로 헤아려 촌수로 말합니다.


직계는 나와 아버지를 1촌으로 인정합니다.


다음이 나와 형제 2촌에서 아래 계대로 마디를 헤아려 촌수로 말하고 다음이 나와 백숙부를 3촌으로 그 아랫대로 마디를 헤아려 촌수로 읽습니다.


나의 6촌 형제는 재종형제로 할아버지의 형제인 종조의 손자입니다.


종조부는 나의 종2대조이고 나에서 2마디로 2촌이며 종조에서 손자인 재종형제 역시 2마디로 2촌입니다.


2+ 2= 4촌입니다.


종 몇 대조로는 백숙부는 나의 종1대조로 헤아려 읽고 1촌으로 읽으나 본디 나와 백숙부는 3촌간이기 때문에 나와 아버지 1, 나와 형제 2촌은 헤아려 읽지 않은 촌수입니다.


그래서 항상 ‘+2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4+ 2= 6촌이 되는 것입니다.


[2)윗대 촌수 계산법


아버지의 4촌 형제가 나와는 몇 촌인가? 는 아버지의 4촌에다가 *아버지와 나는 1대이니 1을 더하면 촌수가 5촌이 됩니다.


*고조부의 6촌 형제는 고조부의 6촌의 6에 고조부와 나와는 대로 4이니 4를 더하면 10촌이 된다.


[*아버지와 나는 1대이니 1을 더하면 촌수가 5촌이 된다.]


소견)


직계에서는 나와 아버지 1촌은 무조건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아버지와 나는 1대조이고 1마디이니 1촌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아버지의 4촌 형제는 나와 종1대조로 1촌이고 아버지와 4촌이니 4촌에 1촌을 더하면 나와 촌수가 5촌이 됩니다.


[*고조부의 6촌 형제는 고조부의 6촌의 6에 고조부와 나와는 대로 4이니 4를 더하면 10촌이 된다.]


소견)


위의 설명은 잘못된 글입니다.


고조부의 6촌 형제는 고조부의 6촌 형제로 나에게는 종고조부이니 나의 종4대조이고 마디로 4마디이니 나와 4촌간입니다.’로 고쳐 읽어야 합니다.


고조부의 6촌 형제의 6촌에다 종고조부는 나와 4촌이니 6+ 4= 10촌입니다.


같은 할아버지 자손이 만났을 때 그 할아버지가 나에게는 13대조이고 다른 한 사람은 그 할아버지에게는 16대조가 된다면 그 사람은 나의 증손뻘 항렬이 되는데 나와는 촌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가 있습니다.


2* 13대조 = 26... 26+3 = 29.

2* 16대조 = 32... 323 = 29


즉 형제의 기본 촌수 2와 자기와의 대수를 곱하면 자기 항렬 촌수입니다.


이 두 사람의 대수의 차이가 3대이니 계산 방법에 따라 3을 빼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견)


위 나와 A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1........13대조.....................16대조

2.................................

3.................................

......................................┃..........

12...............................

13.....┃↗..........................

14.....B()........................

15.....................................

16.....................................

17......................................A


나(B)는 시조 14세이고 방계인 A는 시조 17세입니다.


시조 1세는 나의 13대조이고 A16대조입니다.


나와 A와의 촌수는 아래와 같이 읽어야 바릅니다.


방계인 나와 A16대조까지는 13마디로 13촌이고 종16대조에서 A까지는 16마디로 16촌이니 13+16=29촌입니다.


여기에 계산에 넣지 않은 촌수가 나와 아버지 1촌과 나와 형제 2촌이 빠져 이를 더하여 29+2=31촌입니다.


나는 A의 증조뻘이고 A는 나의 증손뻘입니다.

  

【◈ 먼 일가와의 촌수 계산식


나와 방계 조상의 후손과 동항렬일 경우


(나와 방계 조상까지의 종대조수- 마디. 촌수) 2 2


소견)

위 식은 동항렬의 친척인 경우 나와 방계 조상까지의 마디 수와 방계조상과 그 후손의 마디 수(촌수)가 같기 때문에 한쪽인 나와 방계조상까지 마디 수(촌수)를 헤아려 양쪽이니까 2’를 한 것입니다.


2’는 계산에 빠진 나와 아버지 1나와 형제 2을 더한 것입니다.


【▶ 나와 방계 조상의 후손과 숙질 항렬일 때 1대조 이상 차이가 날 때


내가 아저씨(백숙부) 뻘일 때


나와 방계 조상까지의 종대조수 2 2 1


* 1은 조상의 후손이 나의 조카뻘일 때 마디수(대조수)가 나보다 +1이 더 많으니까 나와 방계조상까지의 마디수(종대조수)2를 한 수에 +1를 해 주어야 한다.


내가 조카뻘일 때


(나와 방계 조상까지의 종대조수)22 - 1


* -1은 조상의 후손이 나의 아저씨뻘일 때 마디수 (대조수)가 나보다 1이 작으니까 나와 방계조상까지의 마디수(종대조수)2를 한 수에 1를 해 주어야 한다.


소견)


위 설명대로 그대로 해도 되지만 아래와 같이 고쳐 읽어도 좋습니다.


내가 아저씨(백숙부) 뻘일 때


(나와 방계 조상까지의 마디 수 2 2 1


2’는 같은 계대의 촌수가 양쪽이기 때문에 2’를 한 것이고 2’는 백숙부에서 1마디를 1촌으로 읽었으니 그 앞에 계산에 넣지 않은 나와 아버지 1. 나와 형제 2촌을 더해 준 것입니다.


1’은 방계 조상의 후손이 나의 조카뻘일 때 마디 수(종대조 수)가 나보다 ‘+ 1’이 더 많으니까 ‘+ 1’를 해 주어야 합니다.


내가 조카뻘일 때


(나와 방계 조상까지의 종대조수) 22 1


* ‘- 1’은 조상의 후손이 나의 아저씨뻘일 때 마디 수(종대조 수. 촌수)가 나보다 1’이 작으니까 1’를 해 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