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世祖(세조)’ 란 무엇인가 - 1

녹전 이이록 2018. 3. 9. 09:48

世祖(세조)’ 란 무엇인가 - 1



아래와 같은 글이 인터넷에 올라 있습니다.


*世祖(세조)를 나의 또는 나로부터 몇 世祖(세조) 라고는 할 수 없다.<해서는 안 된다.>


*世祖始祖로부터 아래로 몇 , 에 해당하는 나의 祖上(할아버지)이기 때문이다.


이때는 가 같아지는 것이다.<이래서 같을 때도 있고 달라질 때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몇 代祖(대조) 라고는 號代(호대)를 해야 한다


*世祖(세조)로 하면 不敬(불경)스럽다고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모든 先祖祭禮(선조제례) 祝式(축식)奉祀者(봉사자)의 몇 代祖考(대조고)는 있으되 몇 世祖考(세조고)는 없는 것이다


*이래서 號世(호세). 號代(호대)가 다르다는 것이다


*子孫(자손)인 내가 어떻게 祖上(조상) 할아버지를 나의 또는 나로부터 몇 世祖(세조)라고 號 世祖(호세조)를 할 수 있단 말인가.


*下計世祖(하계세조)는 할 수 있으나 上 計世祖(상 계세조)上 計代祖(상 계대조)로 해야 한다.


*計世譜(계세보)에 기록이 되어 있다고 해서 나의 입으로 과연 그 할아버지를 나의 몇 世祖(세조) 되는 할아버지라고 할 수가 있다. 라는 말인가.


앞서 몇 가지 질문을 하였더니 JR선생께서 世祖(세조)몇 세조로 읽거나 말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한 답변을 주었습니다.


이견이 있고 잘못된 내용은 원문에 * 표시를 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뒤 소견)을 올립니다.


[世祖(세조)를 나의 또는 나로부터 몇 世祖(세조)라고는 할 수 없다.<해서는 안 된다.>]


소견)


위 문장은 아래의 두 문장으로 나눌 수 있고 뜻이 다름을 알아야 합니다.


[世祖(세조)는 나의 몇 世祖(세조)라고는 할 수 없다.(해서는 안 된다.)]

[世祖(세조)는 나로부터 몇 世祖(세조)라고는 할 수 없다.(해서는 안 된다.)]


위의 두 문장 중 항의 서술은 잘못된 글입니다.


조상님 누구는 나의 몇 세조(=대조)인가?’라고 말할 수 있는데 말할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항의 문장은 바르게 말한 말입니다.


()나로부터 몇 ()’라거나 조상(시조. 중시조. 파조 등)으로부터 몇 세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즉 중시조 40. 항렬은 중시조로부터 40(=40)이고 중조 40(=40)인 나는 중시조의 39세손(=39대손)이고 중시조님은 나의 39세조(=39대조)라고 말을 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조상님 누구는 나의 몇 세조(=대조)인가?’라고 하면 안 되는가?


世祖(세조)는 나로부터 몇 世祖(세조)라고는 할 수 없다.’는 말은 맞는 말씀입니다.


윗대조상은 나로부터 몇 ()’라고 하지 나로부터 몇 세조라고는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동의논지에서는 世祖(세조)代祖(대조)와 같은 뜻으로 읽습니다.


조상 누구는 후손 누구의 몇 대조(누구의 몇 세조)?’ 로 읽는 것입니다.


몇 대조(=세조)로 읽을 때의 기준은 항상 맨 아랫대 후손이 기준이 됩니다.


고조 - - - → ②증조 - - - → ③- - - - → ④- - - - → ⑤()

1(=)............2(=).............3(=)............4(=)............5(=)

4세조(=대조).....3세조(=대조)......2세조(=대조).....1세조(=대조)......(기준)


*=로 같은 뜻으로 읽고 세조=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습니다.


위 글은 무조건 몇 세조로는 말하면 안 되고 몇 대조로만 말을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는 이의논지의 한 원칙인 상대하세(上代下世) 적용으로 는 위로 읽되 몇 代祖(대조)로 읽고 는 아래로 읽되 몇 世孫으로만 읽는다는 원칙을 말한 것으로 봅니다.


[*世祖(세조)始祖(시조)로부터 아래로 몇 (), ()에 해당하는 나의 祖上(조상. 할아버지)이기 때문이다.


이때는 ()()가 같아지는 것이다.


<이래서 같을 때도 있고 달라질 때도 있다고 한다.>]


소견)


위 글이 무슨 뜻인지 위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위 기술의 뜻은 몇 세조는 아래의 표와 같이 읽는다는 뜻입니까?


시조-2.......11.............30()

1세조.....2세조...........11세조....................30(?)

1세인 조상...........11세인 조상.......


는 시조를 1세로 하여 열한 번째의 조상이 11세인데 이를 11세조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면 시조 30세인 나는 30세조로 읽어야 합니까?


수학적 이치로 따져 시조가 1세로 1세조로 읽는다면 11세는 11세조가 될 것이고 나는 30세로 30세조로 읽어야 하니까요.


시조 1세를 1세조로 읽는 이때의 1세조는 ‘1세인 조상’. 11세조는 ‘11세인 조상의 의미이고 맨 아랫대 후손인 나는 시조 30세 일 뿐인데 ‘30세조라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


아래와 같이 동의논지로 읽어야 바르게 읽는 표입니다.


1-- 2...11...29세 -30

시조.........○○........◇◇.....................()

1...........2............11.............29.......30

(기준).......1세손.........10세손.........28세손....29세손

(기준).......1대손.........10대손.........28대손....29대손

29세조.....28세조........19세조.........1세조......(기준)

29대조.....28대조........19대조.........1대조......(기준)


올린 글에서 세와 대가 같아지는 것이다. 이래서 같을 때도 있고 달라질 때도 있다고 한다.’라고 말씀 하셨는데 [2=1]로 읽는 논지에 세와 대가 같을 때도 있고 달라질 때도 있다는 말씀은 있을 수 없는 말씀입니다.


[*世祖(세조)로 하면 不敬(불경)스럽다고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소견)


世祖(세조)라고 읽고 말하면 不敬(불경)스럽다?


시조님은 나의 몇 대조이냐?” . “시조님은 나의 몇 세조이냐?”라고 물었는데 몇 대조는 괜찮은데 몇 세조로 묻는 것은 불경스럽다?


어떤 책에 몇 세조로 문답하는 것은 불경스럽다고 하였는가?


세조(世祖)=대조(代祖)’는 같은 뜻으로 읽고 사용합니다.


[*모든 先祖祭禮(선조제례) 祝式(축식)奉祀者(봉사자)의 몇 代祖考(대조고)는 있으되 몇 世祖考(세조고)는 없는 것이다.]


소견)


아마 해방이후(1945) 몇몇 학자들에 의해 세와 대를 재해석하여 새로운 논리를 세워 2000년 초까지 널리 홍보되고 교육되어 널리 알려진 이의론(異義論- 2=1. =세손. =대조. 상대하세. 대불급신)의 원칙 중 상대하세(上代下世- 는 위로 는 아래로. 위로 몇 대조. 아래로 몇 세손)를 적용하여 생겨난 말인 것 같습니다.


현대의 축식(祝式)만으로 世祖考(세조고)는 없다.’ 라고 하시면 안 됩니다.


代祖(대조)世祖(세조)의 혼용이 世譜(세보)에 있으니까 축문에 世祖考(세조고)’로도 사용하였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옛날에 世祖(세조)=代祖(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었는데 현대 축식의 예만 들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분명히 세보에 세조와 대조를 혼용하여 쓴 용례가 있습니다.


[*子孫(자손)인 내가 어떻게 祖上(조상) 할아버지를 나의 또는 나로부터 몇 世祖(세조)라고 號 世祖(호세조)를 할 수 있단 말인가.....


'計世譜(계 세보)에 기록이 되어 있다고 해서 나의 입으로 과연 그 할아버지를 나의 몇 世祖(세조)되는 할아버지라고 할 수가 있다.' 라는 말인가.]


소견)


몇 세조라고 말하는 것이 왜 안 된다는 말씀인가.


世祖(세조)代祖(대조)의 차이가 무엇인가?


세조대조는 같은 뜻입니다.


"중시조님은 나의 몇 세조입니까?" . "중시조님은 나의 몇 대조입니까?"라고 묻고

중시조 40세 희 형 항렬일 경우 - "중시조님은 나의 39세조(=39대조)입니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고조부님은 나의 몇 세조(=대조)입니까?" - 고조부님은 나의 4세조(=4대조)입니다.

"나는 고조부님의 몇 세손(=대손)입니까?" - 나는 고조부님의 4세손(=4대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