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이씨 족보 조사 – 2
■ 경주이씨 족보 조사 – 2
④ 중시조 이거명
소판공은 고려 말 이제현의 묘지문에 ‘그 선대가 신라 때 벼슬을 지낸 이거명’이라는 기록을 남김으로서 시조이후 기록이 전하는 최초의 선조가 되었다.
경주이씨는 소판공(蘇判公)을 중시조로 문중사 중흥의 전기를 마련하였다.
신라 때 소판의 벼슬은 진골만이 오를 수 있는 직이었다.
따라서 시조이후 기록이 전하는 실전된 1000년 동안에도 경주 이씨들이 대대로 왕족 다음가는 지위를 누려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소판공 이후 경주이씨는 천자만손으로 번성하여 고려조와 조선조를 통하여 과거급제자가 182분, 재상8분, 공신12분, 청백리 10분 등 이 땅의 대표적인 명문거족으로 성장하였다.
⑤ 계파
경주이씨는 *중시조 이거명의 17~21세손에서 ⇒ 중시조 이거명의 15~21세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크고 작은 70여개 파 ⇒ 중소 70여개 파로 분파된다.
*
-평리공파(評理公派) : *16세손 이인정(李仁珽)을 파조로 한다.
-이암공파(怡庵公派) : *17세손 이관(李琯)을 파조로 한다.
-익재공파(益齋公派) : *17세손 이제현(李齊賢)을 파조로 한다.
-호군공파(護軍公派) : *17세손 이지정(李之正)을 파조로 한다.
-국당공파(菊堂公派) : *17세손 이천(李蒨)을 파조로 한다.
-부정공파(副正公派) : *17세손 이매(李邁)를 파조로 한다.
-상서공파(尙書公派) : *17세손 *이과를 파조로 한다.
-사인공파(舍人公派) : *17세손 *이수(李蓚)를 파조로 한다.
-판전공파(判典公派) : *15세손 *이강을 파조로 한다.
-월성군파(月城君派) : *21세손 이지수(李之秀)를 파조로 한다.
-직장공파(直長公派) : *19세손 이양오(李養吾)를 파조로 한다.
-석탄공파(石灘公派) : *19세손 이존오(李存吾)를 파조로 한다.
-진사공파(進士公派) : *19세손 *이양중(李養中)를 파조로 한다.
-교감공파(校勘公派) : *19세손 이존사(李存斯)를 파조로 한다.
*저는 17세손 이천李蒨을 파조로 하는 국당공파菊堂公派입니다.
⇒
-평리공파(評理公派) : 16세 이인정(李仁珽)을 파조로 한다.
-이암공파(怡庵公派) : 17세 이관(李琯)을 파조로 한다.
-익재공파(益齋公派) : 17세 이제현(李齊賢)을 파조로 한다.
-호군공파(護軍公派) : 17세 이지정(李之正)을 파조로 한다.
-국당공파(菊堂公派) : 17세 이천(李蒨)을 파조로 한다.
-부정공파(副正公派) : 17세 이매(李邁)를 파조로 한다.
-상서공파(尙書公派) : 17세 이과(李簻)을 파조로 한다.
-사인공파(舍人公派) : 17세 *이조(李蓨)를 파조로 한다.
-판전공파(判典公派) : 15세 *이강(李康+羽)을 파조로 한다.
-월성군파(月城君派) : 21세 이지수(李之秀)를 파조로 한다.
-직장공파(直長公派) : 19세 이양오(李養吾)를 파조로 한다.
-석탄공파(石灘公派) : 19세 이존오(李存吾)를 파조로 한다.
-진사공파(進士公派) : 19세 *이존중(李存中)를 파조로 한다.
-교감공파(校勘公派) : 19세 이존사(李存斯)를 파조로 한다.
▲[* 저는 17세손 이천李蒨을 파조로 하는 국당공파菊堂公派입니다.]
⇒ 저는 17세(17세^ 손. 17세 후손. 16세손). 이천李蒨을 파조로 하는 국당공파(菊堂公派)입니다.
▲[*중시조 이거명의 17~21세손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
⇒ 중시조 이거명의 15~21세. 중시조 이거명의 15~21세∨손.
중시조 이거명의 15~21세 후손. 중시조 이거명의 14~20세손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크고 작은 70여개 파로 분파된다.]
⇒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중소 70여개파로 분파된다.
2. 항렬의 원리
① 항렬의 기본 사상 - 오행상생법 五行相生法
음양설(陰陽說)에 따른 우주만물(宇宙萬物)의 상생(相生), 상극(相剋)의 힘에 의하여 생성된다는 학설에 따라 만물을 조성(組成)하는 금(金), 수(水), 목(木), 화(火), 토(土)의 다섯 가지 원기(元氣)의 오행설(五行說) 즉 목생화(木生火), 나무는 불을 낳으며, 화생토(火生土) 불은 흙을 낳으며, 토생금(土生金) 흙은 금을 낳으며, 금생수(金生水) 금은 물을 낳고, 수생목(水生木) 물은 나무를 낳는다. 오행상생(五行相生)이 서로 순환해서 생(生)한다는 이치(理致)에 따라 자손(子孫)의 창성(昌盛)과 부귀영화(富貴榮華)를 뜻하는 글자를 이름자로 고르고 그 순리대로 반복하여 순환시켜 나간다.
② 항렬을 정하는 방법
- 火 , 水, 木, 金, 土의 오행설을 따라 그 글자가 들어간 한자를 정한다.
- 이름의 중간자와 끝 자가 번갈아서 돌림자가 된다.
3. 경주이씨 국당공파의 항렬
* 저는 45세손으로 丙(병이나 心(심)을 써야 하나, *같은 부수인 火(화)를 사용하는 容(용)자를 돌림자로 쓰고 있습니다.
容(용)자는 항렬자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