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아버지의 첫째 형한테 만 큰아버지

녹전 이이록 2023. 9. 27. 08:39

아버지의 첫째 형한테 만 큰아버지라고 부르나요?

 

답변)

 

네 그렇습니다. 큰아버지는 한 분이죠^^

 

혹시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은 형제면 큰 아버지라고 부릅니다.

아버지의 형제 중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은 분을 큰 아버지’ . 나이가 적은 분을 작은아버지라고 부릅니다.

즉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은 형제가 2명 이상이라면 그 분들께도 큰아버지라고 호칭을 부르셔야 하죠.

다만 첫째형이라면 아버지의 형제 중 가장 나이가 많은 분일 테니 첫째 큰아버지로 부르시면 되겠구요.

 

독일

. 그렇게 부릅니다. ~

 

시루형

아버지의 형제자매 중에서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은 남자형제를 일컫는 친족호칭으로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은 형제분들을 큰아버지라 부르면 됩니다.

 

내사랑

아뇨.. 아버지 형제들 중 형님은 큰아빠 동생은 작은아빠라고 부릅니다.

 

혹시

보충답변 입니다.

위에도 적어드렸지만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은 아버지의 형제는 모두 큰아버지입니다.

호칭을 적자면 첫째큰아버지. 둘째큰아버지 이런 식으로 이야기하시면 될 듯 하구요.

호칭은 세분 모두 '큰 아버지'가 되죠.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은 남자 형제니까요

 

글을 끝까지 읽으셨으면 좋겠네요.

첫 번째 답변과 두 번째 답변에 같은 내용을 두 번다 적어드렸습니다.

 

AR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은 아버지 형제분들을 모두 큰아버지라고 부르고, 아버지보다 나이가 적으신 아버지 형제분 들을 작은아버지라고 부릅니다.

 

정의

한 분만 큰 아버지라고 부르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보다 위이신 형님들에게는 다 큰아버지라고 불러야 한답니다.

 

호기

아버지의 형제가 여러 명인 경우 호칭은 첫째 즉 맏이에겐 '큰아버지'라고 하며 * 둘째는 '작은아버지' 셋째는 '셋째아버지', 넷째는 '넷째아버지'식으로 순서대로 부르면 됩니다.

둘째는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으면 '둘째 큰아버지' 셋째는 '셋째큰아버지', 넷째는 '넷째큰아버지'식으로 순서대로 부르면 됩니다.

 

그 중에서 자신의 아버지는 물론 그냥 '아버지'가 되며 자신의 아버지가 둘째인 경우 셋째 즉 자기 아버지의 바로 아래 동생은 '셋째 아버지'가 됩니다.

 

그리고 *자신의 아버지가 셋째인 경우 둘째 즉 자신의 아버지의 바로 위의 형님에겐 '큰아버지'라고 해야 하지 않느냐고 생각하시지만 역시 '작은아버지'가 되는 겁니다.

자신의 아버지가 셋째인 경우 둘째 즉 자신의 아버지의 바로 위의 형님에겐 '큰아버지'라고 해야 합니다.

 

* 역시 '작은아버지'가 되는 겁니다.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은 아버지 형제는 큰아버지라고 호칭해야 합니다.

 

서비

1. 큰아버지의 사전적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아버지의 맏형을 가리키거나 부르는 말

(2) 아버지의 형제 중 아버지의 형을 상대적으로 이르는 말

(3)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 셋째 큰아버지, 넷째 큰아버지 등을 말한다.

 

2. 한자어로는 다음과 같이 호칭합

伯父(백부, 큰아버지). 仲父(중부. 둘째아버지) 叔父(숙부, 셋째. 넷째 등) 季父(계부, 막내작은아버지)

 

3. 조선시대에는 분명 큰아버지는 아버지의 맏형. 둘째부터는 '작은아버지'로 칭호를 하였고 아버지의 모든 형들을 '큰아버지'로 하는 칭호와 혼용되어 왔습니다.

 

4. 현대는 전통을 고집하는 몇 사람들은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아버지의 형 되는 분들을 '큰아버지'로 동생 분들은 '작은아버지'로 칭호하고 있습니다.

 

5. 3번의 칭호를 따르면 틀린 호칭은 아니나 고루하다고 하므로 4번의 대세에 따라 호칭하면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기저

"큰아버지(伯父백부)"라는 호칭은 장남이신 분에게만 할 수 있습니다.

아버님께서 형제분이 여러분이 되신 다면 둘째 분부터는 작은 아버지라고 호칭을 합니다.

둘째 분부터는 그냥 작은아버지라고 호칭을 하십니다.

그러나 다른 분 즉 아버지이나 어머니에게 말씀을 하실 경우 택호를 붙여서 "안동 작은아버지 오셨습니다."(작은아버지의 처가를 택호로 호칭을 합니다.) 혹은 "서울 작은아버지 오셨습니다." 라고 말씀드리면 됩니다.

 

"둘째 작은아버지", "세째 작은아버지" 등의 호칭은 망발된 호칭입니다.

혹시 택호를 사용하시기 거북하시다고, 사시는 곳의 지명으로 호칭을 하시는 분들도 계시나, 이는 편법이며, 전통예서에는 없는 것이기에 택호를 붙여서 호칭하시는 것이 맞는 호칭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의 전통이 말살 되고 없어진 현재에서 지금이라도 하나씩이라도 우리의 예것을 찾고 지켜나가도록 노력하여서 우리의 것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성연

아버지보다 나이 많으신 형제를 큰아버지라고 부릅니다.

저희 집에서는 아버지 위로 세 분 계시는데 순서대로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 셋째 큰아버지라고 부릅니다.

 

이이록

아버지 형제 중 아버지 제일 윗형만 큰아버지라 불러야 한다는 주장과 아버지 형들은 모두

큰아버지로 불러야 한다는 두 주장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질문자와 이 글을 읽는 분들은 매우 헷갈립니다.

 

1) 아버지 형제 중 제일 큰형인 맏이 한 분만 큰아버지라고 하고 그 외는 아버지 형이든 동생이든 모두 작은아버지라 해야 한다. - (. 독일. 호기. 기저 - 주장자)

 

2) 아버지를 기준으로 아버지 형들은 모두 큰아버지이고 아버지 동생들은 모두 작은아버지라 한다.

큰아버지는 아버지 형들 중 순서적으로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 ‘셋째 큰아버지라고 부르고 아버지 동생들인 작은아버지도 순서에 따라 첫째 작은아버지’. ‘둘째 작은아버지’. ‘셋째 작은아버지라고 합니다.

(그리고 혹시. 시루. 내사랑. AR. 정의. 선비. 성연 주장자)

 

그런데 표준국어대사전큰아버지작은아버지를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큰아버지 명사

1둘 이상의 아버지의 형 가운데 맏이가 되는 형을 이르는 말. 백부(伯父)

2아버지의 형을 이르는 말.

여럿이 있을 때에는 그 순서에 따라 첫째 큰아버지, 둘째 큰아버지, 셋째 큰아버지 등과 같이 이른다.

 

작은아버지 명사

아버지의 남동생을 이르는 말로 주로 기혼자를 가리킨다.

여럿이 있을 때는 그 순서에 따라 첫째 작은아버지, 둘째 작은아버지, 셋째 작은아버지 등과 같이 이른다. 숙부(叔父)ㆍ숙숙(叔叔)ㆍ제숙(弟叔)

이상 내용을 보면 보통 아버지의 형들을 내가 큰아버지라고 하니 맏이인 제일 위 형을 큰아버지라 함이 맞으나 큰아버지는 맏이인 한분뿐이라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한자어는 뜻글자라서 글자에 모두 뜻이 있어 伯父(백부)라고 하면 맏 백()’으로 맏이인 아버지 큰아버지로 말하고 仲父(중부)()버금 ()’이니 아버지의 맏형 다음 두 번째 형을 가리킵니다.

한자어 백부(伯父)를 쓸 경우 맏이로써 큰아버지는 한사람뿐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표준국어 대사전의 뜻으로는 아버지의 제일 위 형을 보고 큰아버지는 한사람뿐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말 호칭 큰아버지와 작은 아버지는 아래와 같이 호칭하면 될 것입니다.

 

) 아버지 형제가 5형제이고 아버지가 셋째일 때

 

할아버지

장자 ━━━━━━ 차자 ━━━━━━ 3━━━ 4━━━━━━━ 5

첫째 큰아버지.......둘째 큰아버지........아버지........첫째 작은아버지.......둘째 작은아버지

.......................................................

서울 큰아버지........대전 큰아버지.......부산...........대구 작은아버지........울산 작은 아버지

백부(伯父).............중부(仲父).............()..........숙부(叔父)...............계부(季父- 막내 계)

*같은 지역에 살 때는 거주지 동명을 붙여 구분하여도 되겠지요.

 

*‘첫째. 둘째....순서’ .‘서울. 부산....지역명. 거주지 동명을 붙여 호칭을 구분하여 말하는 것이 잘못된 말이라고 하나 어디까지나 호칭은 큰아버지’ . ‘작은아버지이므로 구분상 순번. 지역명을 넣어 구분하여 말하는 것은 잘못된 말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