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와 代 - 2
■ 世와 代 - 2
△ 소산
다름이 아니오라 이의론에 대하여 초보자가 이해하기에 쉽도록 좀 더 자세하게 사례를 들어 설명 좀 해 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이의(異義)’라고 하는 까닭도 함께요.
△ 이이록
답이 될는지 모르겠습니다.
세와 대는 같은 뜻이다(同義. 同義語동의어)’를 기초로 하여 전개되는 논리를 ‘동의론’이라 하고 ‘세와 대는 뜻이 다르다.(異義. 異義語)’ 라고 하는 주장이 ‘이의론’입니다.
동의론은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를 등호(=) 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同義동의)으로 읽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합니다.
여기에 ‘세손=대손’과 ‘세조=대조’에서 등호 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읽는 방법이 같습니다.
“나는 중시조의 몇 세손(=대손)?” . “문충공(이재현)은 나의 몇 세조(-대조)?” 라고 헤아려 읽을 때 그러니까 ‘누구의 몇 세손(=대손)‘과 ’누구의 몇 세조(=대조)‘를 읽기 위하여 기준이 정해지는데 ’누구‘가 즉 ’기준‘인 것입니다.
위의 내용만 알면 가장 간편하게 수리에 맞고 이치에 맞게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를 읽을 수 있습니다.
반면 ’이의론(異義論)‘의 주장은 그 기본 원리(?)는 ’2세=1대‘ 입니다.
부자(父子)에서 부- 1세. 자- 2세이면 부자 2세로 대수로는 1대로 읽습니다.
거기에 ‘上代下世(상대하세)’와 ‘代不及身(대불급신. 己不代數기불대수)’이라는 원칙(?)을 적용합니다.
‘2세=1대’라는 기본원리(?)에 ‘상대하세. 대불급신’의 원칙(?)을 적용하면 무엇이 무엇인지를 모르는 혼란스러운 주장입니다.
간단히 동의론과 이의론으로 (5세조~5세손)의 계대를 표로 나타내어 보겠습니다.
◆ 동의론(同義論.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 등호(=) 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읽음)
5세조→고조→증조→조--→부--→나--→자--→손--→증조→현손→5세손
1세.......2세...3세.....4세.....5세....6세,....7세.....8세.....9세....10세....11세
6세.......5세...4세.....3세.....2세....(1세)....2세....3세......4세....5세......6세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9세손..10세손
◆ 이의론 (2세=1대. 上代下世상대하세) 적용. 代不及身대불급신 적용)
5세조→고조→증조→조--→부--→나--→자--→손--→증조→현손→5세손
1세.......2세.....3세....4세.....5세.....6세.....7세.....8세.....9세....10세....11세
............1대.....2대....3대.....4대.....5대.....6대.....7대.....8대.....9대.....10대- 2世=1代 적용.
5대......4대.....3대....2대......1대.....1세.....2세......3세....4세.....5세......6세– ‘나’기준 상대하세
1세조..2세조..3세조.4세조..5세조..6세조..7세조..8세조..9세조..10세조.11세조- 下世적용.
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9세손..10세손.11세손 - 下世적용.
-----------------...................----(나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 - 下世 적용.
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 대불급신 - 上代 적용. [上代를 무시하고 下代로 읽음
1)下世를 적용하면 1세=1세손=1세조라는 맹랑한 등식이 성립하는 것이 이의론이다.
2) 下世를 적용하면 ‘몇 世祖’는 읽지 못한다.
- 下世는 아래로 읽어야 하는데 ‘世祖’는 윗대조상으로 아래로, 위로 읽지 못한다.
3) 上代를 적용하면 ‘몇 代孫’은 읽지 못한다.
- 上代는 아래에서 위로 읽어야 하는데 ‘代孫’은 아랫대 후손을 가리키기 때문에 헤아려 읽을 수가 없다.
4)나의 아들은 ‘나의 1세손’으로 읽어야 하는데 이의론은 세=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어 1세인 내가 1세손. 2세인 나의 아들은 2세손으로 잘못 읽고 있다.
5) (1세인 5세조와 6세인 나)까지의 계대에서 下世를 적용한 世祖의 수는 위의 표에서 上代를 적용한 代不及身(대불급신)으로 읽은 ‘몇 대조’는 아버지 1대조. 조부님 2대조. 증조부님 3대조. 고조부님 4대조 등으로 바르게 읽었습니다.
일부는 5세조가 1세조 - 고조부님이 2세조 - 증조부님이 3세조 - 조부님이 4세조 - 아버지 5세조 - 내가 6세조로 역으로 읽기도 하는 이상한 논지이다.
▲ ‘2세=1대’란 아래와 같이 읽는 것을 말한다.
아버지 → 나
1세...........2세
.1대..........1세
△ 형이
[소산님께 질문에 한하여 소견을 드립니다.]
① 世와 代는 본시가 同義(동의)입니다.
그러므로 異義論(이의론)는 不成立(불성립)의 논리입니다.
② 그러나 일부에서 소위 世와 代는 異義(이의)라면서, “世는 나(기준)를 포함하고, 代는 (代不及身대불급신이라 하여) 나(기준)를 제외하고 代數(대수)를 헤아린다는 견해입니다.
③ 이럴 경우, 대수의 헤아림에서 ‘세의 헤아림은 정상이나, 대의 헤아림은 (마이너스) 1대가 되어 대수의 모순이 발생합니다. [같은 대수에서 늘 1대의 차이가 납니다.]
※ 답변이 미흡합니다만, 저의 기왕(위의 처음 소견)의 ②와 ③을 참고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소산
성의껏 답변 해주신 두 분 선생님 정말 감사합니다.
그런데요 너무 세밀해서인지 요점 정리가 잘 안되네요.
저의 역량 부족이겠지요.
그런데 조아 선생님의 “代(=世)는 당연히 자기가 포함되어야 系代數(계대수)가 맞고, 祖孫(조손)의 계산에서는 자기 스스로가 자기의 祖(조)나 孫(손)이 될 수 없으니 포함치 않는다)” 라 하심이 세(대) 계산이나 대(세)조 대(세)손 헤아림에서 별로 부족함이 없을 것 같은데요.
이외에도 세대나 조손 계산을 달리 표시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는지요?
아니면 조아 선생님의 방법에 결정적 하자가 있는지요?
있다면 어느 부분을 달리 표현하여야 하는지요?
’이의론‘에 관하여도요.
다시 시간 좀 내 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 이이록
조아 선생님의 “代(대. 世세)는 당연히 자기가 포함되어야 系代數(계대수)가 맞고, 祖孫(조손)의 계산에서는 자기 스스로가 자기의 祖(조)나 孫(손)이 될 수 없으니 포함치 않는다)” 라는 말씀은 동의론을 잘 정리한 말씀으로 생각합니다.
동의론의 입장에서는 전연 잘못됨이 없는 바른 논지입니다.
형이 님의 말씀은 이의론의 '2세는 1대'를 설명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