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문화가 혼란스럽습니다.
■ 제사문화가 혼란스럽습니다.
인터넷에 올라 있는 ‘합제사’에 대하여 쓴 글을 보면 기제사를 부부별로, 조손별로 한데 묶어 모시는 ‘합제’가 대세인양 말하고 있습니다.
기제사는 기제사로 모셔야지 기제사 해당 조상님을 부부별로, 조손별로 한데 묶어 합제사로 모시면 안 된다는 글은 여태껏 두서너 편만을 보았습니다.
기일에 기제사를 모셔야 한다고 하면서도 대세가 ‘합제’로 기우니 합제할 때의 유의사항을 알려주는 분들이 대부분으로 도리어 합제하는 것을 거들어 주고 있는 것입니다.
합제사하기를 부추기는 ‘합제사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조언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온전히 기제사가 무엇인지 합제사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기제사를 합제사로 모셔도 되는 양 말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기제사는 한데 묶어서 합제사로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기제사는 기제사로, 합제사는 합제사로 모시도록 윗대 조상님들께서 제사 모시는 방법을 알려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지금 기제사가 무엇인지를 모르는 후손들이 함부로 뜯어 고쳐 제사 방식을 바꾸고 있습니다.
기제사는 4대 봉사 즉 4대조인 고조부모. 3대조인 증조부모. 2대조인 조부모. 1대조인 부모의 연 8회 제사를 기일 밤 새벽이나 이 날 저녁 어둠이 질 때에 모시는 제사입니다.
합제사는 5대조이상 윗대 조상님들을 봄이나 가을철 좋은 날을 택하여 낮에 선영의 묘소에서 묘제로 지내는 것이 합제사입니다.
그리고 설날과 추석에 기제사 대상자(고조부모 ~ 부모) 신위를 차례(다례) 상에 모시고 차례(다례)를 모시는 것도 합제사입니다.
기제사는 돌아가신 고인마다 각기 기일 밤에 모시고 합제사는 좋은 날을 택하여 낮에 합제로 제사를 모시는 것입니다.
이것을 지금은 후손들이 기제사를 부부별로 한데 묶어 ‘부부합제’로 만들고 조상과 후손 기제사를 몽땅 하나로 묶어 ‘조손간합제’로 하고 있습니다.
이제까지 없었던 기제사를 묶어 합제로 하는 제사방법은 새로 만들어 낸 제사로 제사문화를 혼란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제사문화에 일가견이 있는 유학자들께서 모여 이렇게 기제사를 합제사로 하여도 가능하다는 진단과 방법이 나와 이를 실행한다면 문제가 없으나 기제사와 합제사도 구분 못하고 중구난방으로 설치는 일부몰지각한 사람이 제 마음대로 해석하여 만들어 놓은 합제사는 분명 문제가 있습니다.
고조부모 2회 기제사를 한데 묶어 1회로 하고, 증조부모 2회 기제사를 한데 묶어 1회로 하고, 조부모 2회 기제사를 한데 묶어 1회로 하고 심지어 부모 2회 기제사도 한데 묶어 1회로 하는 부부합제와 또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님 기제사를 몽땅 하나로 묶어 좋은 날을 잡아 연1회로 조손공동합제로 하는 후손도 있는데 이는 누가 보아도 변례(變禮)입니다.
기일에 모시는 기제사를 없애버리는 결과를 낳습니다.
기제사를 대상자를 부부별로, 조손별로 한데 묶어 합제사로 바꾸면 한 분의 기제사는 없어져버리는 것입니다.
이러한 제사의 변태는 우리 고유의 제사문화와 풍습을 온전히 파괴시키는 것입니다.
그래서 종전의 제사예법을 지키면서 기제사를 모시는 아래의 방법을 제시합니다.
대수별로 부부를 합쳐 제사를 모실 것이 아니라 기제사 봉사대수를 줄여서 2대나 1대로 제사
를 모시는 것이 제사 예법을 지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4대 봉사의 연 8회 제사는 제사모시는 분들께는 모두 무리이니(물론 이 중에는 대다수가 3대 봉사. 2대 봉사. 1대 봉사를 하는 분도 있습니다만) 가정 형편에 맞게 봉사대수를 줄여 제사를 모시는 것을 권합니다.
예를 들어 기제사 4대 봉사를 2대 봉사나 1대 봉사로 줄이는 방법입니다.
4대 봉사 중에 윗대인 고조부모와 증조부모의 제사를 묘제로 모시고 좀 무리가 따르더라도 조부모와 부모의 제사는 기제사로 각기 따로 연 4회 제사를 모시는 방법입니다.
종전에 없었던 변례를 만들어 고조부모부터 부모까지 부부별로 묶어 연4회의 제사를 모시는 엉터리 기제사보다는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부부합제로 하면 부부 중 한 쪽을 한쪽에 얹어 제사를 모시기 때문에 부부 중 한 분의 기제사는 없어져 버리는 꼴이 됩니다.
연 8번의 제사를 모시는 4대 봉사를 연4회 제사를 모시는 2대 봉사로 줄이는 방법입니다.
그래도 도무지 일도 많고 시간이 없다고 하면 조부모 제사까지도 묘제로 하여 합제사로 모시면 될 것입니다.
조부모 제사를 묘제로 모시는 것과 조부모의 2회의 제사를 하나로 묶어서 1회의 합제사를 모시는 것은 예와 도리에서 차이가 납니다.
조부모나 부모 각 2회의 제사를 1회로 묶어 제사를 모시는 방법은 ‘별 짓’이라고 보고 하지 않아야 합니다.
4대 봉사를 2대 봉사로 모시자고 권장하는 방법은 ‘가정의례 준칙’에도 나와 있습니다.
그래도 집안 사정상 2대 봉사가 어려우면 1대 봉사로 모시되 부모 제사는 각기 따로 기일에 모셔 야지요.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는 ‘묘제’로 모시는 것은 4대 봉사. 3대 봉사. 2대 봉사가 있으니 봉사대수를 줄여 모시는 것은 좋으나 세수별 부부를 묶어 제사를 모시는 것은 기일에 모시는 기제사를 없애버리는 짓으로 전에 없었던 방법입니다.
합제를 하니 우선은 제사횟수를 줄일 수 있으니 간단하고 편리하다고 생각할는지 모르지만 제대 로 된 제사상을 받지 못하는 조상님의 노여움은 어찌 하시려고요?
이렇게 하는 제사가 보기에 불편한지 '찾아와서 자시던 제사 밥을 한번으로 묶는 바람에 자신의 제사가 없어진 혼령은 배가 고파 구천을 헤매지 않겠느냐?'고 반 농으로 하는 글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