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숙, 당숙, 숙부 - 2
■ 시숙, 당숙, 숙부 - 2
아래와 같은 문의에 4분(M. S. H. G님이 답변을 올려주었습니다.
“시숙, 당숙, 숙부, 백부가 뭐예요?”
△ G
[시숙 - 남편의 형제
당숙 - 남편의 5촌
숙부 - 남편 아버지의 남동생
백부 - 남편 아버지의 맏형님]
답변) 이이록
문의에 따라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아래와 같이 뜻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시숙(媤叔) - 남편의 형제를 이르는 말. ≒소구(小舅).
*당숙(堂叔) - 아버지의 사촌 형제. ≒ 종숙(從叔)
*숙부(叔父) - 작은아버지. 아버지의 동생.
*백부(伯父) - 큰아버지. 아버지의 맏형
답변자 모두 ‘시숙’을 [남편의 형제를 이르는 말]이라고 하였고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같은 뜻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 시숙(媤叔)
「명사」 남편의 형제를 이르는 말. ≒ 소구(小舅).
이외 아래와 같은 낱말의 뜻풀이도 함께 올립니다.
◈ 시-아주버니 (媤----) 「명사」 남편과 항렬이 같은 사람 가운데 남편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을 이르는 말. ≒ 시형(媤兄).
◈ 시형(媤兄) 「명사」 = 시아주버니
◈ 숙부(叔父)「명사」 = 작은아버지
◈ 소구(小舅)「명사」 = 시숙(媤叔).
위 한자어 시숙(媤叔)은 시집 媤(시). 숙부 叔(숙)으로 읽고 씁니다.
이 ‘숙(叔)’자의 뜻은 ‘아재비 숙’ . ‘삼촌 숙’(伯- 季父) . ‘주울(收) 숙’ . ‘어릴(幼) 숙’ . ‘끝(末) 숙’ . ‘콩(菽) 숙’ . ‘성(姓) 숙’등으로 쓰입니다.
이 중에서 ‘아재비 숙’ . ‘삼촌 숙’(伯 - 季父)에서 보면 ‘숙(叔)’자는 나로부터 윗대로 촌수로 3촌간인 관계에 있을 때 ‘숙(叔)’자를 붙여 숙부(叔父)로 호칭하고 지칭하는 것입니다.
어디에도 2촌을 나타내는 형제를 호칭하거나 지칭하는 말로 나타내는 뜻풀이가 없습니다.
그러면 나와 2촌간인 형에게 나의 아내가 ‘시숙(媤叔)’이라고 쓰는 말이 아님을 알 것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아래와 같이 뜻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 시숙(媤叔) 「명사」 남편의 형제를 이르는 말. ≒ 소구(小舅).
‘남편의 형제를 이르는 말’ - 이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위의 한자어 설명에서 시숙(媤叔)은 ‘남편의 형제를 이르는 말’이 아니고 ‘남편의 형’을 가리키는 말로 이해되고(남편의 동생을 아주버님이라 하는 것은
한자어의 바른 뜻으로는 ‘남편의 작은 아버지(시아버지의 동생들)’에게 쓰이는 말이라고 설명하여야 바를 것 같습니다.
남편의 형제는 ‘시형(媤兄). 시동생(媤--)’으로 지칭하고 아주버님은 남편의 형을 호칭하는 말로 쓰고 삼촌(아내가 자신의 아이와 시형. 시동생과 3촌 관계임으로 이를 일러 부르는 호칭. 아내의 입장에서는 삼촌이라면 남편 아버지의 형제들을 일컫는다)으로 호칭해야 할 것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시동생’을 아래와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시-동생(媤--) 「명사」 남편의 남동생을 이르는 말. ≒ 시아주비
시동생을 시아주비라고 뜻풀이하고 있으니 시형은 아주버니. 아주버님으로 호칭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또 시숙(媤叔)을 소구(小舅)라고도 하였습니다.
그런데 구(舅)자를 살펴보면 [구(舅) - 시아비(夫父) 구. 외삼촌(母之兄弟) 구. 장인(妻父)구]로 ‘남편의 형’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모두 ‘아버지. 외삼촌. 장인’을 나타내는 글자로 남편이 형과 2촌이면 1촌 위인 3촌 관계에 있는 분들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의 [시숙(媤叔) 「명사」 남편의 형제를 이르는 말. ≒ 소구(小舅)]를 [시숙(媤叔) 「명사」 남편 아버지(시아버지)의 형제를 이르는 말. ≒ 소구(小舅)]로 고쳐 나타내어야 합니다.
이와 같이 보면 시숙(媤叔)은 나의 아내가 ‘나의 형’을 지칭하는 말이 아니고 ‘나의 아버지 동생들’을 이르는 말. ≒ 소구(小舅)라고 설명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면 나의 아내는 나의 동생을 ‘시동생’이라 지칭하고 서방님?. 도련님? 삼촌?이라 호칭하고 나의 형은 ‘시형(媤兄)’이라 지칭하고 ‘아주버니. 아주버님“으로 호칭하는 것이 한자어를 바르게 사용하는 길이기도 합니다.
어차피 한자어를 빌려 사용하던 시절에 만든 우리말에 한자어가 많은데 한자어의 뜻을 바르게 알아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