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유래와 분파도

녹전 이이록 2022. 8. 4. 08:08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유래와 분파도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유래와 분파도에 올라 있는 글에서 잘못된 내용이 많습니다.

 

원문에 잘못된 내용은 *표시를 하고 뒤에 바르게 수정합니다.

 

시조(始祖) : 이알평(李謁平)

 

시조는 신라 육촌(六村)중 알천 양산촌장(閼川楊山村長) 이알평(謁平, 표암공)으로 전하고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서기 32(신라 유리왕 9) 유리왕(儒理王)이 다른 다섯 촌장들과 함께 사성(賜姓)하여 양산촌(楊山村)을 급량부(及梁部)로 개칭하고 그에게 이씨(李氏)의 성()을 내려 주었다고 한다.

 

그 후 후손들은 알평(謁平)*36세손 원대손(遠代孫)으로 신라 진골(眞骨, 부모 양계 중 어느 한 편만이 왕족의 혈통을 지니고 있는 사람) 출신인 이거명(李居明, 소판공)을 중시조(中始祖)로 하고, 시조(始祖)의 발상지(發祥地)인 경주(慶州)를 본관(本貫)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경주이씨의 세계(世系)는 이거명(居明)*17세손(고려 말기) 15~21에서 *814대파로 대별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대소 중소 70여 파로 분파된다.

 

8대파는 (중시조 본손에서) 평리공파· 이암공파· 익재공파· 호군공파· 국당공파· 부정공파· 상서공파· 사인공파 등이 있으며, *이밖에 (중시조 지손에서) 판전공파· 월성군공파· *시랑공파 삭제· (직장공파. 진사공파). 석탄공파. (교감공파) *

 

그에 버금간다. 삭제. --이다.

 

전통의 명문거족인 경주이씨는 고려 말에 크게 세력을 떨쳤고, 조선조에 와서도 수많은 공신·학자·명신을 배출하여 명문의 대를 이었다.

 

가문을 대표하는 인물 중에 상서공파의 백사 항복의 집안에서 가장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으며, 익재공파 공린의 집안(화곡 이경억)과 국당공파인 매죽헌 완의 집안에서는 훌륭한 상신 및 문형이 배출되어 경주이씨의 주축을 이루었다.

 

시조 휘 알평 (始祖諱謁平) : 기원전 117년 한 무제 원수 6년 갑자에 하늘로부터 진한 땅의 표암봉인 밝바위(박바위)로 처음 내려오셨고 양산 촌장으로서 부족들을 다스리며 혁거세를 양육시켜고 신라 초대왕 으로 추대하시는데 6부 촌장의 의장으로서 역사적으로 유명한 화백회의제도를 시행하셔서 오늘날의 민주주의 제도를 구현시키신 *선구자였음을 호언 할 수 있다. 삭제, --분이시다.

 

서기 32년 신라 3대왕인 유리왕 9년에는 진한 6촌을 6부로 개칭할 때 지금의 경주시 일원에 해당되는 양산촌을 급량부라 부르고 성씨를 이씨라고 사성하였으니 경주라는 지명을 붙여서 경주이씨(慶州李氏)라고 부르기에 이르렀다.

 

분파(分派), 계파(系派)

 

평리공파(評理公派) - 이인정(仁艇)
익재공파(益齋公派) - 이제현(齊賢)
이암공파(   公派) - 이관()
호군공파(護軍公派) - 이지정(之正)
국당공파(菊堂公派) - 이천()
부정공파(副正公派) - 이매()
상서공파(尙書公派) - 이과()
사인공파(舍人公派) - 이수() 이조
판전공파(判典公派) - 이강(+)
월성군공파(月城君公派) - 지수(之秀)
직장공파(直長公派) - 양오(養吾)

* 시랑공파(侍郞公派) 삭제
석탄공파(石灘公派) - 존오(存吾)

진사공파(進士公派) - 존중(存中)

교감공파(校勘公派) - 존사(存斯)

 

대표적 인물(代表的人物)

 

고려 : 이제현(齊賢).

조선 : 이항복(恒福)
근세 : 이시영(始榮) - 독립운동가· 정치가.

현대 : 이명박(明博) - 대통령

 

집성촌(集姓村)

 

충북 청원군 문의면 소전리
전북 임실군 덕치면 사곡리
전남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
경북 청도군 청도읍 고수동
경남 거창군 남상면 임불리
전북 완주군 봉동면 성덕리
전남 해남군 화선면 율동리
경북 의성군 다인면 신락동
경남 울주군 농소면 호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