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전 이이록 2022. 2. 15. 09:59

촌수

 

인터넷에 아래와 같이 직계를 촌수로 읽은 계촌도가 여러 곳 올라 있습니다.

직계도 촌수로 표시하여 아버지 1. 할아버지 2. 증조할아버지 3. 고조할아버지 4. 5대조 할아버지를 5촌 등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촌수는 나와 방계(형제. 백숙부. 종조. 종증조. 종고조의 후손)의 일가친척과의 멀고 가까운 관계를 수치로 나타냅니다.

수가 작은 수일수록 나와 관계가 가깝고 수치가 큰 수일수록 나와 관계가 먼 것입니다.

 

직계는 나와의 관계를 촌수로 말하지 않고 위로는 몇 대조(=세조)’로 말하고 아래로는 몇 대손(=세손)’으로 헤아려 읽거나 말합니다.

 

직계 계대를 촌수로 읽은 촌수도

 

5대조
(5代祖)
(5)

┣━━━━━━━━━━━━━━━━━━------━┓  

고조--------------------------------------------------종고조

(高祖)-------------------------------------------------(從高祖)
(4)--------------------------------------------------6

┣━━━━━━━━━━━━━━━━┓-----------  

증조....................................................................종증조-------재종증조
(曾祖)................................................................(從曾祖)------(再從曾祖)
(3)..................................................................5------------7

┣━━━━━━━━━-━┓-----------------------  

할아버지------------------종조--------재종조-------3종조
()-----------------------(從祖)-------(再從祖)------(三從祖)
(2)----------------------4----------6----------8

┣━━━━━━━━┓-------------------------------

아버지-----------백숙부----종백숙부-----재종백숙부----종백숙부
(------------(伯叔父)---(從伯叔父)----(再從伯叔父)--(從伯叔父)
1---------------3-------5-----------7-------------9

┣━━━━┓---------------------------------------

-------형제-----종형제----재종형제-----삼종형제-----사종형제

()------(兄弟)---(從兄弟)--(再從兄弟)----(三從兄弟).......(四從兄弟)
기준-----2------4-------6-----------8------------10

............................................................... ..........................

아들딸....조카.......종질...........재종질............3종질.....................4종질
()..........()........(從姪).........(再從姪)..........(三從姪)...............(四從姪)
1..........3........,5..............7...................9........................11

........................................................................................

손자.........종손.......재종손.......3종손..............4종손...................5종손
()..........(從孫).....(再從孫).....(三從孫).........(四從孫)..............(五從孫)
2...........4.........6...............8.................10......................12

 

아래의 표와 같이 직계는 위로는 몇 대조(=세조), 아래로는 몇 세손(=대손)으로 헤아려 읽고 방계는 촌수로 나와 멀고 가까움을 나타냅니다.

 

촌수도

 

5대조
(5代祖)
(5대조)

┣━━━━━━━━━━━━━━━━━━━━━━━━━━━┓  

고조......................................................................................................................종고조

(高祖)..................................................................................................................(從高祖)
(4대조)................................................................................................................6

┣━━━━━━━━━━━━━━━━━━━━┓........................  

증조.......................................................................................종증조...........재종증조
(曾祖)...................................................................................(從曾祖).........(再從曾祖)
(3대조)..................................................................................5..................7

┣━━━━━━━━━━━━━┓...............................................  

할아버지..............................................종조...............재종조...................3종조
().......................................................(從祖).............(再從祖)................(三從祖)
(2대조).................................................4..................6..........................8

┣━━━━━━━━┓..................................................................

아버지..........................백숙부.........종백숙부.......재종백숙부...........종백숙부
()................................(伯叔父).......(從伯叔父)....(再從伯叔父)........(從伯叔父)
1(1대조).................3..................5..................7...........................9

┣━━━━┓.................................................................................

...................형제......종형제.........재종형제.........삼종형제..............사종형제

()...............(兄弟)....(從兄弟).......(再從兄弟).......(三從兄弟)..........(四從兄弟)
기준..............2........4................6.....................8.........................10

..................................................................................................

아들딸........조카.......종질............재종질...............3종질......................4종질
()..............()........(從姪)..........(再從姪).............(三從姪)...............(四從姪)
1대손..........3........,5...............7.....................9.........................11

.................................................................................................

손자............종손........재종손........3종손................4종손.....................5종손
().............(從孫).....(再從孫).......(三從孫)..........(四從孫)...............(五從孫)
2대손.........4..........6................8...................10......................12

 

나를 기준으로 위로 아버지 1촌를 제외하고 할아버지 2촌 증조할아버지 3. 고조할아버지 4. 5대조 할아버지 5촌으로 표기하고 아래로 아들딸 1촌을 제외하고 손자 2. 증손자 3. 현손자 4촌으로 표기한 것은 모두 잘못 읽은 것입니다.

직계는 촌수로 따지거나 말하지 않습니다.

 

직계는 나와의 관계를 나의 윗대로는 아버지 1대조(=1세조). 할아버지 2대조(=2세조). 증조할아버지 3대조(=3세조). 고조할아버지 4대조(=4세조)....등으로 말하고 나의 아랫대로는 아들 1대손(=1세손). 손자 2대손(=2세손). 증손자 3대손(=3세손). 현손자 4대손(=4세손)...등으로 관계를 말합니다.

 

촌수는 나와 방계의 관계를 멀고 가까움을 마디로 나타낸 것입니다.

아버지 1. 형제 2촌은 백숙부 3촌을 읽기 위한 방편으로 순서를 정해 둔 것입니다.

촌은 마디 촌으로 마디가 있는 곳을 1촌으로 읽습니다.

 

마디로 보아 나와 아버지는 1마디이고 나와 형제가 1마디로 각기 1촌으로 읽어야 하는데 나와 아버지는 1촌이나 나와 형제는 2촌으로 나와 가까운 순서대로  촌수를 읽습니다.

 

1 마디를 1촌으로 읽거나 말하지 않고 순서를 정하여 나와 아버지를 1. 나와 형제를 2촌으로 정한 것입니다.

이는 나와 혈연적으로 더 가까운 순서로 하여 아버지는 1. 형제는 2촌으로 읽고 나와 백숙부 3. 나와 형제 2촌에서 그 자식인 조카는 나와 3촌간으로 하여 아래 계대로 읽거나 말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위 표에서 직계 마디를 읽어 아버지 1. 할아버지 2. 증조할아버지 3. 고조할아버지 4. 현조할아버지(5대조)5....등으로 읽는 것은 경우에 없는 일입니다.

 

나와 나의 친형제가 2촌인데 그와 같은 값으로 할아버지를 2촌간으로 말하지 않습니다.

나와 직계인 친할아버지와 나의 방계인 친형제가 각기 2촌으로 같은 위치에서 말할 수 있을까요?

 

증조할아버지가 나와 3. 고조할아버지를 나와 4촌간으로 하였는데 증조할아버지가 3촌이고 고조할아버지가 나와 4촌간 입니까?

 

나와 백숙부의 관계가 촌수로 3촌간입니다.

그래서 백숙부를 쉽게 삼촌간이라고 호칭하는데 위 표에서 나와 증조할아버지도 나와 3촌간으로 표시하였으니 증조할아버지를 삼촌으로 불러야 할까요?

증조할아버지를 3촌으로 표시하여 삼촌으로 읽거나 말하지 않습니다.

즉 직계는 마디가 있다 해도 촌수로 읽지 않습니다.

백숙부(큰아버지, 작은 아버지)를 촌수로 3촌으로 읽기 위하여 나와 아버지를 1촌으로 하고 나와 형제를 2촌으로 하여 백숙부를 3촌 관계로 읽는 것입니다.

 

증조할아버지는 나의 3대조(=3세조)이고 고조할아버지는 나의 4대조(=4세조)라고 말하고 백숙부는 나와 3촌간이고 종형제는 나와 4촌간이며 종조부의 손자는 나와 같은 세수와 항렬로 나와는 재종형제로 나와 6촌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