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일본에 뿌리내린 장주이가(長州李家)

녹전 이이록 2021. 11. 17. 09:05

일본에 뿌리내린 장주이가(長州李家)

 

일본에 뿌리내린 장주이가(長州李家)에 대한 내용이다.

 

잘못 된 내용은 * 표시 후 한 후 바르게 수정하여 올린다.

 

장주이씨는 경주이씨에서 분적한 우계이씨의 후손으로 알려졌다.

 

정유재란 때 남원성을 사수하다 순절한 이복남(李福男) 장군의 아들인 이성현(李聖賢)7세 때 볼모로 일본에 잡혀가서 <장주이씨>로 사성(賜姓)되고 이가원유(李家元宥: リノイヘモトヒロ : 리노이에모또히로) 종가(宗家) 이루었다.

 

장주이씨의 세보(世譜)에는 日本名(일본명) 리노이에- 모또히로(李家元宥) 1세로 되어있다

 

이가 원유(李家元宥) 이복남 장군(李福男將軍) 3남이고 우계이씨(羽溪李氏) 시조 이양식(李陽植) 18세손 17세손이며 이알평(李謁平始祖) * 59세손 원대손(遠代孫)이다

 

*1세조 1소판공 이거명은 *시조 이알평의 *36세손 원대손(遠代孫)으로 시조로 부터 현재 희자(熙字) 항렬)까지는 *75삭제 (2,000)이 된다고 한다

 

경주이씨의 세계(世系)*1세조 1 이거명의 *16대손(고려 말기) 15, 16. 17. 19에서 크게 *814대파로 나누어지고,  다시 후대로 내려오면서 약 *70 80여개 파로 분파된다.

 

8대파는 (중시조 본손 계통으로) 성암공파(誠菴公派). 이암공파(怡庵公派). 익재공파(益齋公派). 호군공파(護軍公派). 국당공파(菊堂公派). 부정공파(副正公派). 상서공파(尙書公派). 사인공파(舍人公派) 등이다.

 

이밖에 지손(支孫) 계통으로 판전공파(判典公派). 시랑공파(侍郞公派) 삭제. 직장공파(直長公派). 석탄공파(石灘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교감공파(校勘公派). 월성군파(月城君派) 등이 있다.

 

경주이씨 분파도(分派圖)에는 *108의 분적 중 *성주이씨와 삭제. 우계이씨 *1세조 1. 이거명(李居明)의 윗대에서 분파되었고 나머지는 아랫대에서 분파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경주이씨는 1684(숙종 10)에 갑자보(족보)를 발간했으며, 1748(조선 영조 24)에는 무진보, 1814(순조 14)에는 갑술보, 1873(고종 10)에는 계유보, 1890(고종 27)에는 경인보를 발간했다.

 

전통의 명문 경주이씨는 고려 말에 크게 세력을 떨쳤으며 조선시대에도 수많은 공신과 학자. 명신을 배출하였다

 

특히 상서공파의 백사 이항복 집안에서 많은 인물이 나왔으며 익재공파 이공린의 집안과 국당파인 매죽헌 이완의 집안에서 문형(대제학 大提學)및 정승(政丞 : 1품 재상)이 배출되었다.

 

< 백사 이항복 집터 >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9.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 산 1-2. 필운대는 백사 이항복의 집터 부근에 있는 바위이다.

 

이 바위에는 필운대(弼雲臺)라는 글자가 크게 새겨져 있고 바위 중간에 필운대를 소개하는 글이 있다.

 

이 글은 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이유원(李裕元)이 지었다.

 

바위 오른쪽에는 동추(同樞) 박효관(朴孝寬) 9명이 공사를 감독했다고 새겨져 있다.

 

필운은 임진왜란을 수습하는데 큰 공을 세웠던 이항복의 호다.

 

 이유원이 지은 글은 아래와 같다.

 

我祖舊居後裔尋 / 우리 할아버지 예전 살던 집에 후손이 찾아왔는데

蒼松石壁白雲深 / 푸른 돌 벽에는 흰 구름이 깊이 잠겼다.

遺風不盡百年久 / 끼쳐진 풍속이 백년토록 오래 전했으니

父老衣冠古亦今 / 옛 조상들의 의복과 모자가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癸酉月城李裕元題 / 계유년 월성 이유원 제하다.

白沙先生弼雲臺 / 백사 선생 필운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