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시조 세수와 항렬. 자기소개 - 3
■ 중시조 세수와 항렬. 자기소개 - 3
△ shi
[블루스타임 울 엄만가....ㅋㅋㅋㅋㅋㅋ 저도 호 42. 아부지 재 41 ]
- 저는 중시조 42세(=42대) ‘호’항렬이고 아버지는 중시조 41세(=41대) ‘재’항렬로
바르게 소개된 글이나 단위 세(=대)를 표기하지 않았습니다.
△ NY
[저희 할아버지가 37대손, 아버지가 38대손, 저는 39대손이거든요 ; 16살에 39대손이면 늙은 거 아닌가요?]
⇒ 저희 할아버지가 37대(=37세) ‘종’항렬. 아버지가 38대(=38세) ‘우’항렬, 저는 39대(=39세)‘상’ 항렬이거든요.
16살에 39대 ‘상’항렬이면 늙었다고, 젊었다고 선을 그어 말할 수가 없습니다.
△ zzz
[난 40대손임 ]
⇒ 40대손이라고 하는 것을 보아 중시조 40대(=40세) ‘희.형’ 항렬인가 봅니다.
이는 ‘중시조님의 39세손(=39대손)’입니다.
△ js
[저희 아빠가 호자 돌림인데 제가 준 쓰는데 한자가 다르네요.
전 ‘깊을 준’인데.. 돌림자 안 쓰는 건지.. 주워 온 건지......]
⇒ 중시조 42세 호(鎬). - - - 중시조 43세 준(濬)
-----아버지------------------나( js )
부친이 '호경 호(鎬)' 항렬로 중조 42세. 종친님이 '칠 준(濬)'항렬로 중조 43세로 항렬자를 바르게 사용하였습니다.
△ 42
[근데 보다보면 돌림자가 2가지인 경우는 아무거나 써도 상관없다는 뜻인가요??
그리고 저는 ‘호’자 돌림으로 "클 호(浩)"쓰는데 나와 있는 호자랑 다르네요??]
⇒ 항렬자가 2개일 경우는 가려서 씁니다.
'호'항렬은 '호경 鎬(호)'인데 '클 浩'를 사용하였으니 항렬자를 따르지 않았습니다.
△ 이이록
[경주이씨 항렬표 : (경주이씨 내에서도 파, 지역, 소 문중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경주이씨 대동항렬이 제정된 이전에는 익재공파 1. 국당공파 2. 상서공파 1 등 총 4집안에서 집안별로 항렬을 제정하여 사용하여 왔지 대, 중, 소파명, 지역, 소 문중에 따라 항렬을 제정하여 사용한 것은 아닙니다.
‘경주이씨 항렬 제차’ 표는 중조 35 ~ 70세까지 항렬자를 미리 정해 둔 표입니다.
경주 이씨이면 누구나 세수에 따라 이 항렬자를 넣어 작명을 합니다.
정해진 항렬자만이 항렬자로 쓰입니다.
[ (나) 43대손 ‘제’자 돌림. (아들) 44대손 ‘동’자 돌림]
- '제' 항렬은 중시조 43세(=43대)이지 '43대손'이 아니며 '동'항렬은 중시조 44세(=44대)이지 '44대손'이 아닙니다.
중시조 43세(=43대)를 43대손으로 읽어 '43세(대)=43대손'으로 읽었는데 세(=대) 와 세손(=대손)의 뜻과 쓰임은 각기 다릅니다.
43대 후손(자손). 44대 후손(자손)으로 읽어야 바릅니다.
△ sup
[43대 제자돌림입니다^^]
→ 중시조 43대(=43세)의 항렬자는 ‘제’자 돌림으로 바르게 소개되었습니다.
△ 제갈공
[저희 아버지가 38대 후손 우자 돌림이고, 제 동생이 39대 후손 상자 돌림이네요. ㅎㅎ 전 여자라서 제외 ~ ]
→ 아버지는 중시조 38세(=38대) ‘우’항렬 – 동생은 중시조 39세(=39대) ‘상’항렬 - 바르게 소개된 글입니다.
△ 사쿠
[경주이씨 익재공파 41대손 이재선입니다ㅎ ]
⇒ 중시조 41세(=41대) '재'항렬이시면 '익재공파 41세(익재공파 41대)'라고 해야 합니다.
- ‘익재공파 41대손 이재선’이 아닙니다.
파명 뒤에는 '몇 세손(=대손)'으로 말하지 않습니다.
파명 뒤에는 '중시조 세수'로만 말하고 '몇 세손'은 "누구의 몇 세손?"으로 물을 때 쓰이는 용어로 사람(윗대 조상. 인물)과의 관계. 즉 조손간의 관계를 헤아려 읽은 수에 붙여 쓰는 단위이자 용어입니다.
파명은 파명일 뿐 사람을 뜻하는 호칭이 아닙니다.
즉 '파명의 몇 세손'으로는 읽을 수 없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경주이씨 종친님들께서는 '익재공파 39세손. 국당공파 39세손' 등으로 파명 뒤에 몇 세손(=대손)으로 잘못 읽거나 말하고 있습니다.
'파명의 세손(대손)'이 아니고 '누구(사람. 인물)의 몇 세손'으로 말을 해야 합니다.
위의 재선 종친님은 익재공파 41세(익재공파 41대). 익재공파 41세 후손(자손)이라고 말하거나
중시조님의 40세손(=40대손). 익재공의 24세손(=24대손)으로 읽거나 말해야 바릅니다.
△ 디올
[ 31대손인데 .. ]
⇒ ‘중시조의 31대손’이라면 중시조 32세로 잘못된 말입니다.
- 대동항렬이 중시조 35세 ‘영’ 항렬부터 시작되는데 ‘영’항렬은 ‘중시조님의 34세손’으로 31대손이라면 배분이 매우 높은 편으로 ‘디올’ 종친님의 ‘31대손’은 잘못된 말입니다.
글 제목에 경주이씨 '익제공파'라고 하였는데 '익재공파'가 바릅니다.
호 益齋는 '익재'로 읽습니다. 더할 益(익). 재게할 齋(재)
△ 상협
[전 ‘상’자입니다.]
⇒ 전 ‘상’항렬로 중시조 39세(=39대)입니다.
△ 허브
[와우 그런 심오한 뜻이 있었다니 ᆞ몰랐어요. 저는 며느리인데 남편은 ‘상’자 돌림, 아들은 ‘희’ 자 돌림. 이제 태어날 손녀는 ‘재’자. 고맙습니다. ]
⇒ 남편은 ‘상’자 돌림. 아들은 ‘희’ 자 돌림. 이제 태어날 손자. 손녀는 ‘재’자 항렬.
경주이씨 ‘항렬 재차 표’의 항렬과 바르게 항렬자를 나타냈습니다.
△ 양끄
[내가 높은 거였구나. 37대손인데...]
⇒ 중시조 38세 ‘우’자 항렬입니까? 그러면 중시조님의 37대손(=37세손)입니다.
- ‘이럴 경우 중시조 40세 희,형 항렬. 41세 재 항렬. 42세 호,건 항렬. 43세 제.준 항렬보다 항렬이 높구나.’ ‘항렬이 앞서구나.’라고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