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읽은 용례 – 6

녹전 이이록 2021. 6. 14. 09:00

=’.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읽은 용례 6

 

세와 대는 같은 뜻(同義)으로 1=1.....5=5.....20=20....40=40대로 읽는다.

 

조상과 후손 간 관계에서 아래로는 항상 윗대 조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랫대인 아들을 1세손(=1대손), 손자를 2세손(=2대손), 증손자를 3세손(=3대손), 현손자를 4세손(=4대손)....등으로 헤아려 읽고 위로는 항상 아랫대 후손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윗대인 아버지를 1세조(=1대조), 할아버지를 2세조(=2대조), 증조할아버지를 3세조(=3대조), 고조할아버지를 4세조(=4대조)....등으로 헤아려 읽고 말한다.

 

이 논리가 동의론(同義論)’이다.

 

동의론의 기본 원칙은 아래와 같다.

 

=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누구이든 기준을 1(=1)로 하면 기준 위를 순번대로 2(=2). 3(=3). 4(=4)...등으로 헤아리고 기준 아래를 2(=2), 3(=3), 4(=4).....등으로 헤아려 읽는다.

 

세손=대손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윗대조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랫대인 아들을 1세손(=1대손)으로 하여 손자를 2세손(=2대손), 증손자를 3세손(=3대손), 현손자를 4세손(=4대손).....등으로 아랫대로 내려가면 헤아린다.

 

세조=대조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아랫대 후손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윗대인 아버지를 1세조(=1대조)으로 하고 할아버지를 2세조(=2대조), 증조할아버지를 3세조(=3대조), 고조할아버지를 4세조(=4대조).....등으로 윗대로 올라가며 헤아린다.

 

고조부 ~ ~ 현손의 계대

 

고조 증조 -- - () - 증손 -현손

5-----4------3-----2-----1-------2-----3-----4------5

5-----4------3-----2-----1-------2-----3-----4------5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이지평 음기(李持平陰記) 기언 권지 19(記言卷之十九) 중편(中篇) 허목 찬(許穆撰)

[公諱弘業字時立姓李氏本慶州人高麗門下侍中齊賢之後也三世祖黿旣名顯矣

死於燕山甲子史禍中宗元年追爵承政院都承旨大父洙珍山郡守父愷胤義盈庫令]

 

○ 경주이씨 재사당공(휘 원)과 증손(曾孫)인 지평공(持平公- 휘 홍업弘業)의 계대

 

3세조원(三世祖黿) → ②() → ③개윤(愷胤) → ④홍업(弘業)

24---------------------25--------26-------------27

3세조--------------------2세조-------1세조-------------(기준)

 

[三世祖黿(3세조 원)]

- 3세조는 원이다.

- 휘 홍업의 3세조는 증조부(曾祖父)인 원이다.

 

지평공(휘 홍업)은 재사당공(휘 원)의 증손이니 재사당공은 지평공의 3세조이다.

 

○ 24세 원 ~ 27세 홍업의 계대

 

24세 원(黿) → ②25세 수() → ③26세 개윤(愷胤)→ ④27세 홍업(弘業)

동의’ 3세조------2세조-------------1세조----------------(기준의). 나의

이의’ 1세조------2세조-------------3세조----------------4세조 - ×

 

*이의 논리는 1=1세조. 2=2세조...등으로 읽고 1=1세손. 2=2세손...등으로  읽는다.

 

동의논리에서 몇 세조를 읽는 방법은 주어진 계대에서 맨 아랫대 후손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다음 윗대인 아버지를 ‘1세조로 하여 윗대를 헤아려 올라간다.

 

위의 계대에서는 27세 지평공(휘 홍업)을 기준으로 하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그 윗대인 아버지 의령고령공(휘 개윤)1세조. 그 윗대 조부님인 군수공(휘 수)2세조. 그 윗대 증조부인 재사당공(승정원 도승지 휘 원)3세조로 읽는다.

 

24세 재사당공(휘 원)27세 지평공(휘 홍업)3세조가 된다.

3세조(三世祖)는 증조(曾祖)이고 '대조'로는 하나하나 손가락으로 짚어보아도 3대조임이 분명하다.

이로 보면 '세조(世祖)''대조(代祖)'와 같이 읽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균진사 오촌공 휘 대건 묘갈명(成均進士梧村公諱大建墓碣銘)

-간이집(簡易集) 9: 간이 최립의 저서 

 

[贈資憲大夫吏曹判書 兼知義禁府事 成均進士 李公墓碣銘 幷序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지의금부사 성균진사 이공묘갈명 병서)

公諱大建字慶之慶之李氏自其先異人名謁平生于瓠巖下實佐開國新羅

而世遂爲聞家及高麗季有門下侍中文忠公諱齊賢以德業文章顯於天下

至今人稱益齋先生於公十世祖]

 

[至今人稱益齋先生於公十世祖]

- 지금까지 사람들이 익재 선생(益齋先生)이라고 일컫고 있으니 바로 공()10세조가 된다.

()은 오촌공(梧村公) 휘 대건 조상님을 말하고 그 계대는 다음과 같다.

 

17→ ②18→ ③19→ ④20→ ⑤21→ ⑥22

齊賢-------達尊-------德林----------------繼蕃------尹仁

제현-------달존-------덕림----------------계번------윤인

10세조----9세조------8세조------7세조-----6세조-----5세조---

 

23→ ⑧24→ ⑨ 25→ ⑩26→ ⑪27

公麟-----(生父黿)-------------憬胤-------大建

공린-----(생부원)-------------경윤-------대건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나의

 

앞서 좌승지공(휘 대수)의 묘지명(墓誌銘)에서는 익재공을 10代祖라고 기록한 반면 오촌공(梧村公- 휘 대건) 묘갈명(墓碣銘)에는 10世祖라고 기록하고 있다.

 

좌승지공(大遂)은 오촌공(大建)의 바로 위의 형으로 중시조 27세이다.

 

같은 형제의 계대에서 익재공을 칭하여 형(휘 대수)十代祖로 기록하고 동생(휘 대건)十世祖로 기록하고 있음은 代祖世祖를 같은 뜻으로 읽었기 때문이다.

 

代祖=世祖임을 말해 주고 있다.

 

대종보 P137 계성부원군 경절공 신도비명(鷄城府院君景節公神道碑銘)- 延安 金晩秀撰  -

 

23

[....四傳之諱淑眞尙書中丞 元宗時擊賊于仇浦珍島 仇有凱還勞績 於公爲五世祖]

P138 역문 종 46

- 四代를 내려와 휘 淑眞에 이르러서는 尙書中丞이니 元宗때에 仇浦. 珍島에서 도적을 격퇴하고 개가를 부르고 돌아온 공적이 있으니 공에게 五世祖가 된다.

원문 []四代로 역문하였는데 四世와 같다.

[五世祖]는 원문도 [五世祖]이고 역문도 '五世祖'이다.

 

‘5세조의 의미를 알아보자.

 

휘 숙진은 10세 문하시랑공 휘 춘림 계대로 중조 15세로 벼슬은 상서중승이다.

계성부원군 경절공(휘 래)은 중시조 20세로 석탄공(휘 존오)이 아버지이시다.

상서공(휘 숙진)이 경절공(휘 래)5세조가 되는지 계대를 알아보자.

 

15세 상서공(숙진)→ ②16세 감찰공()→ ③17세 두정공(손보)

5세조--------------------4세조-----------------3세조-------------

 

18세 감승공(길상)→ ⑤19세 석탄공(존오)→ ⑥경절공()

2세조--------------------1세조-------------------(기준)

 

'世祖(세조)'는 조손간에 아랫대를 기준으로 하여 윗대로 헤아리니 경절공(휘 래)이 기준이 되어 자신은 제외하고 아버지 19세 석탄공이 1세조. 할아버지 18세 사재감승공께서 2세조. 증조부 17세 두정공이 3세조. 고조부이신 16세 감찰공이 4세조이며 15세 상서공이 5세조가 된다.

 

상서공과 경절공은 세수로는 6세로 상서공(휘 숙진)은 경절공(휘 래)5세조가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