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몇 대손인지?
■ 저는 몇 대손인지?
【나이는 14세이구요.
이름은 이상진입니다.
저가 몇 대손인지 궁금합니다.
아버지께서는 국당공파라 하는데....】
답변)
△ C
[*‘상’자는 *중시조 39세손이 되십니다.]
소견)
함자가 ‘상○’으로 중시조 39세(=39대) ‘상(相)’항렬입니다.
‘상’ 항렬은 ‘중시조(국당공파) 39세(=39대)’이며 ‘중시조님의 38대손(=38세손)’입니다.
△ M
相(상) 항렬은 대. 중. 소파명에 관계없이 *중시조 39세손입니다.
소견)
중시조 39세 相(상) 항렬은 대. 중. 소파 명에 관계없이 중시조 39세(=국당공파 39세)입니다.
아래의 표를 보면 중시조 39세인 ‘상’항렬은 ‘국당공파 39세’이고 ‘중시조(휘 거명)의 38세손(=38대손)’이고 ‘국당공(휘 천)의 22세손(=22대손)’입니다.
1세 →---→ 17세 →---→ 38세 - → 39세
1대---------17대---------38대------39대
중시조-----국당공-------‘우’항렬---‘상’항렬
(기준)------16세손-------37세손----38세손
(기준)------16대손-------37대손----38대손
16세조-----(기준)--------21세손----22세손
16대조-----(기준)--------21대손----22대손
‘몇 대손’의 뜻은 ‘몇 세손’과 같은 뜻입니다.
“39세 ‘상’항렬은 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이냐?”
“39세 ‘상’항렬은 국당공의 몇 세손(=대손)이냐?” 라고 물을 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즉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윗대를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들(子)을 1세손(=1대손), 손자(孫子)를 2세손(=2대손), 증손자(曾孫子)를 3세손(=3대손). 현손자(玄孫子)를 4세손(=4대손), 내손자(來孫子)를 5세손(=5대손). 곤손자(昆孫子)를 6세손(=6대손). 잉손자(仍孫子)를 7세손(=7대손). 운손자(雲孫子)를 8세손(=8대손) ... 등으로 아랫대를 헤아려 읽고 말합니다.
세(世)와 대(代)는 동의어(同義語. 같은 뜻)입니다.
◈ 세=대
조손간 계대에서 어떤 인물을 기준 1세로 하면 기준 위로, 기준 아래로 2세. 3세....등으로 헤아려 읽습니다.
◈ 세손=대손
조손간 계대에서 항상 윗대 조상을 기준으로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래인 아들을 1세손(=1대손), 손자를 2세손(=2대손), 증손자를 3세손(=3대손), 현손자를 4세손(=4대손)....등으로 헤아려 말합니다.
◈ 세조=대조
조손간 계대에서 항상 아랫대 후손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윗대인 아버지를 1세조(=1대조), 조부를 2세조(=2대조), 증조부를 3세조(=3대조), 고조부를 4세조(=4대조)....등으로 헤아려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