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代(세대) 이해 - 2
■ 世代(세대) 이해 - 2
‘이의론’ 논지로 설명된 글입니다.
잘못된 내용은 원문에 ▲[*..............]로 표시하고 아래에 소견)을 올립니다.
○ *세(世)와 대(代) 조견표
1세(世)---- 1대---- 현조(玄祖)--- 5대조(五代祖)--- 5세조(5世祖)
2세(世)---- 2대---- 고조(高祖)--- 4대조(四代祖)--- 4세조(4世祖)
3세(世)---- 3대---- 증조(曾祖)--- 3대조(三代祖)--- 3세조(3世祖)
4세(世)---- 3대---- 할아버지(祖)--2대조(二代祖)--- 2세조(2世祖)
5세(世)---- 4대---- 아버지(父)----1대조(一代祖)--- 1세조(1世祖)
6세(世)---- 5대---- 자기(自己) ---* ㅡ ( 0 ) ㅡ ---- ㅡ (기준) ㅡ
7세(世)---- 6대---- 아들(子)------ *2세손(二世孫)--- 1세손(1世孫)--- 1대손(1代孫)
8세(世)---- 7대---- 손자(孫)------ *3세손(三世孫)--- 2세손(2世孫)--- 2대손(2代孫)
9세(世)--- -8대---- 증손(曾孫)---- *4세손(四世孫)--- 3세손(3世孫)--- 3대손(3代孫)
10세(世)--- 9대---- 현손(玄孫)---- *5세손(五世孫)--- 4세손(4世孫)--- 4대손(4代孫)
11세(世)--- 10대--- 래손(來孫)---- *6세손(六世孫)--- 5세손(5世孫)--- 5대손(5代孫)
12세(世)--- 11대--- 곤손(昆孫)---- *7세손(七世孫)--- 6세손(6世孫)--- 6대손(6代孫)
13세(世)--- 12대--- 잉손(仍孫)---- *8세손(八世孫)--- 7세손(7世孫)--- 7대손(7代孫)
14세(世)--- 13대--- 운손(雲孫)---- *9세손(九世孫)--- 8세손(8世孫)--- 8대손(8代孫)
▲[* 세(世)란? 예컨대 조(祖). 부(父). 기(己). 자(子). 손(孫)을 계열의 차례로 일컫는 말이며,
*대(代)란? 사람이 나면서부터 30년간을 1代로 잡는 시간적 공간을 일컫는 말이기 때문에 부자지간이 세로는 2세이지만 대로는 1대. 즉 30년간의 세월이 한번 경과 하였다는 뜻이다.]
소견)
世란 代와 같은 뜻으로 사용합니다.
1세=1대.....5세=5대.....20세=20대.....40세=40대로 같은 뜻으로 읽고 씁니다.
세와 대는 조상과 후손 간에 누구를 기준으로 하여 1세(=1대)로 하되 기준 위와 아래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조(祖). 부(父). 기(己). 자(子). 손(孫)을 계열의 차례로 일컫는 말이 사람이 나면서부터 30년 간을 1代(=1世)로 잡는 시간적 공간을 일컫는 말이기 때문에 부자지간이 世로 2세이고 代로 도 2대. 즉 30년간의 세월이 두 번 경과하였다는 뜻이다.
조(祖) → 부(父) → 기(己) -→ 자(子) → 손(孫)
1세-------2세------3세-------4세-------5세 - 할아버지를 1세(=1대)로 할 경우
1대-------2대------3대-------4대-------5대
3세-------2세------1세-------2세-------3세 - 나를 1세(=1대)로 할 경우
3대-------2대------1대-------2대-------3대
5세-------4세------3세-------2세-------1세 - 손자를 1세(=1대)로 할 경우
5세-------4대------3대-------2대-------1대
* 세와 대는 같은 뜻으로 위의 표와 같이 읽고 씁니다.
* 1세=1대가 30년으로 하여 ‘10세(=10대)’ 이면 300년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선조로부터 아래로 후손을 가리킬 때에는 세(世)를 붙여서 시조를 1세(世), 그 아들을 2세(世), 그 손자를 3세(世), 그 증손은 4세(世), 그 현손은 5세(世)라 일컬으며, 그와 반대로 선조를 말할 때에는 대(代)를 붙여서 일컫는다.
그러므로 후손을 말할 때에는 누구의 몇 세손, 그와 반대로 선조를 말 할 때는 누구의 몇 대조라 일컫는다.]
소견)
온통 잘못된 설명입니다.
위 글의 내용대로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시조 - → 자 - - → 손 - - → 증손 -→ 현손
1세-------2세------3세------4세-------5세
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
4대------3대-------2대------1대-------나
4대조----3대조----2대조----1대조-----‘나’ 제외
‘세=세손’으로 ‘대=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을 수가 없습니다.
‘이의론’은 ‘후손을 말할 때에는 누구의 몇 세손’ , 그와 반대로 ‘선조를 말 할 때는 누구의 몇 대조’라 일컫는다.‘라고 하여 위의 표와 같이 上代下世(상대하세- 代는 위로 世는 아래로)를 적용하여 읽습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읽는 것이 바릅니다.
시조 - → 자 - - → 손 -- → 증손 -→ 현손
고조-----증조------조-------부------기(나)
1세------2세-------3세------4세------5세 – 시조를 1세(=1대)로 할 경우
1대------2대-------3대------4대------5대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5세------4세-------3세------2세------1세 – 현손자를 1세(=1대)로 할 경우
5대------4대-------3대------2대------1대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2세조----1세조----(기준)---1세손----2세손
2대조----1대조----(기준)---1대손----2대손
3세-------2세------1세------2세------3세 – 손자를 1세(=1대)로 할 경우
3대-------2대------1대------2대------3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