代(대)와 世(세)의 차이점 - 1
■ 代(대)와 世(세)의 차이점 - 1
daum 모 blog와 모 cafe에 올라 있는 자료입니다.
세와 대는 2세를 1대로 읽는 ‘이의론’논리로 쓴 글입니다.
잘못된 내용은 원문【............】에 *표시로 지적하고 아래에 ⇒ 로 나타낸 뒤 소견)을 올립니다.
【*시조(始祖)를 1세(一世)로 하여 차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이 세(世)이며, 자기(自己)를 빼고 나머지를 차례로 따지는 것이 대(代)입니다.
예(例) 컨데 부자(父子)의 사이는 세(世)로는 2세(二世)이지만 대(代)로는 1대(一代)입니다.】
- 위의 글은 아래와 같이 고쳐서 읽어야 합니다.
⇒ ‘시조(始祖)나 유명 조상님이나 후손인 나를 기준인 1세(一世)로 하여 위로. 아래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고 단위가 세(世)이며 대(代)입니다.
예(例) 컨데 부자(父子)의 사이는 父가 기준으로 1세이면 子가 2세이고 子가 기준으로 1세이면 父가 2세입니다.
1세=1대. 2세=2대. 3세=3대.... 등으로 ‘세=대’로 같은 뜻으로 읽고 씁니다.
세와 대는 같은 뜻(동의어)으로 아래와 같이 읽습니다.
(1세) - → 2세 - → 3세 - → 4세 - → 5세 - → 6세
시조------자--------손------증손-----현손-----내손
(1대)-----2대------3대------4대------5대------6대
6세------5세------4세------3세------2세------(1세)
6대------5대------4대------3대------2대------(1대)
【*중시조(中始祖)로부터 35세손(世孫)이 되는 사람은 중시조(中始祖)가 34대조(代祖)이며, 중시조(中始祖)에게는 34대손(代孫)에 해당(該當)하는 것입니다.】
- 잘못된 말로 아래와 같이 고쳐 읽어야 합니다.
⇒ 중시조(中始祖)님으로부터 35세(世. 35代)가 되는 사람은 중시조(中始祖)님의 34대손(代孫. 34世孫세손)이며, 중시조(中始祖)님은 나의 34대조(代祖. 34세조(世祖)입니다
【*나를 넣었을 때는 세대로 넣고, 않으면 대로 쓰면 옳습니다.
우리는 흔히 세(世)와 대(代)를 같은 뜻으로 착각(錯覺)하고 있으나 이것은 엄연(嚴然)히 구별(區別)되어 불러야 할 것입니다.】
- 잘못된 말입니다.
⇒ 세와 대는 같은 뜻으로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기준을 1세로 하여 위로, 아래로 순번대로 1세=1대. 2세=2대. 3세=3대. 4세=4대.....로 읽고 씁니다.
‘나를 넣었을 때는 세대로 넣고, 않으면 대로 쓰면 옳습니다.’ - 무슨 말인가?
이 글은 ‘이의론’ 논지로 아래와 같이 1세 중시조 ~ 40세 ‘희.형’항렬까지 중시조세수(=대)수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1세 -- → 2세 →--→ 10세 -→ 11세→--→17세 -→ 18세→-→ 35세 → 36세 - → 37세
중시조---병부령공---부사공---생원공----익재공---운와공----영(榮)---규(圭)-----종(鍾)
1세손----2세손------10세손---11세손----17세손---18세손---35세손---36세손----37세(손)
1세조----2세조------10세조---11세조----17세조---18세조---35세조---36세조---37세(조)
36대-----35대-------27대------26대------20대-----19대-------2대------1대-------(대불급신)
36대조--35대조-----27대조----26대조----20대조---19대조---2대조----1대조----(대불급신)
* ‘세=세조. 세=세손. 대=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고 씁니다.
【잘못 사용하는 예)
* 우리는 TV나 라디오에서, 할아버지, 할머니와 자식, 손자가 한집에서 사는 가정을 소개할 때 3대(代)가 같이 모여 산다고 방송하는 것을 많이 보고 들었을 것입니다.
* 이는 방송에서 세(世)와 대(代)에 관하여 정확히 알지 못하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바르게 표현하면, 3세대(世代)가 같이 모여 산다고 해야 올바른 표현입니다. 】
소견)
‘할아버지와 자식, 손자가 한집에서 사는 가정을 소개할 때 3대(代)가 같이 모여 산다고 방송하는 것을 보고 방송에서 세(世)와 대(代)에 관하여 정확히 알지 못하고 사용하는 것입니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조부모 1대, 부모(자식) 1대, 나(손자) 1대는 3대이고 이를 ‘3대. 3세’라고 합니다.
‘3세대(世代)가 같이 모여 산다고 해야 올바른 표현입니다.’ 라는 말은 ‘3세' . '3대’가 모여 산다고 하는 말입니다.
'세대(世代)'의 바른 뜻입니다.
◈ 세대(世代)
* 같은 시대에 살면서 공통의 의식을 가지는 비슷한 연령층의 사람들.
* 부모가 속한 시대와 자녀가 속한 시대가 차이를 가지는 대략 삼십 년의 기간.
그들은 아버지 세대가 물려준 가난을 극복해야만 했다.
지금은 한 세대가 흘러서 그녀도 대학생 딸을 둔 어머니가 되었다.
▲[* 부모와 자식, 손자로 이어지는 代(대).
*왕이나 대통령 또는 임명직(장관, 회장)등에 대해서는 처음 자리에 오른 사람부터 1대(代)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음]
⇒ 世와 代는 같은 뜻으로 족보에서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조상을 기준을 1세(=1대)로 하여 아래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단위입니다.
또 아래 후손을 기준 1세(=1대)로 하여 위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단위이기도 합니다.
조손간 계대에서 누구이든 기준을 1세(=1대)로 하면 기준 위로, 기준 아래로 2세(=2대). 3세(=3대). 4세(=4대)....로 순번대로 읽을 수 있습니다.
代는 왕. 대통령. 장관, 회장. 총장. 교장...등의 차례는 몇 代수로 표기합니다.
같은 이름을 표기할 때는 진시황 1세. 2세. 나폴레옹 1세. 2세. 엘리자베스 1세. 2세 여왕. 요한 23세, 世수로 표기합니다.
제 261대 교황 요한 23세 – 교황 대수는 261대. 요한 이름으로는 23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