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재공의 38세손. 사미정공의 24세손
■ 익재공의 38세손. 사미정공의 24세손
‘사미정공파’이신 ‘참께님’이 네이버 모 블로그에 아래와 같은 글을 올렸습니다.
[저는 *익제 이제현 할아버지의 38세손이고 *익제 이제현 할아버지의 24세손인 사미정공파에 속해 있다.]
⇒ [저는 중시조 38세(=38대) ‘우’항렬로 ‘중시조님의 37세손(=37대손)’이고 ‘익재(휘 제현)공의 21세손(=21대손)’이며 ‘사미정(휘 구)공의 14세손(=14대손)’입니다.
중시조 24세인 사미정공(휘 구)은 중시조 17세인 익재(휘 제현)공의 7세손(=7대손)입니다.
▲ [익제]
- 휘 제현 할아버지의 호는 益齋(익재)로 더할 益(익). 목욕재계할 齋(재)자로 ‘익제’가 아니고 ‘익재’로 읽어야 합니다.
▲ [익제 이제현 할아버지의 38세손]
소견)
참깨 종친님은 ‘우’항렬로 자신을 '익재 할아버지의 38세손'으로 소개하셨습니다.
‘우’항렬이면 ‘익재공 할아버지의 38세손’이 아닙니다.
이는 ‘중시조 38세’ . ‘익재공파 38세’ . ‘사미정공파 38세’로 중시조나 파명 뒤에는 ‘중시조세수’로 말하여야 합니다.
중시조 38세 ‘우’항렬인 종친님은 자신을 '38세=38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거나 말할 수 없습니다.
이유는 ‘세와 세손’은 같은 뜻이 아니기 때문에 같은 뜻으로 읽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위 ‘38세손’의 뜻은 두 가지로 읽을 수 있습니다.
① 하나는 중국한자어로 우리말 '38세인 후손'이라는 뜻이고
② 또 하나는 조상님과 나와의 관계에서 중시조세수가 39세일 때 ‘나는 조상님의 38세손’으로 읽거나 말할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중시조 38세를 '38세손'으로 읽으면 우리말 한자어 '몇 세손' 읽는 것과 분명히 다른데 글자가 같고 읽는 것이 같아 같은 뜻으로 읽게 되어 혼란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위 글(익재 익제현 할아버지의 38세손)은 아래와 같이 나타내어야 바르게 읽고 말하는 것입니다.
‘중시조님의 37세손(=37대손)’ . ‘중시조님의 38세^ 손(38대^ 손). 중시조님의 38세 후손(=38대 후손). ‘익재 이제현 할아버지의 21세손(=21대손)’ . ‘익재 이제현 할아버지의 22세^ 손(=22대 손)’ . 참깨님은 ‘우’항렬로 '중조(중시조) 38세(=38대)'로 위와 같이 읽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익재공의 38세손’이 아니고 ‘익재공파 38세(=38대)’이고 ‘중시조님의 38세^ 손’이고 익재공을 1세로 한다면 계대세수로 ‘익재공 22세(=22대)‘이고 ’익재공의 21세손(=21대손)’입니다.
▲[익제 이제현 할아버지의 24세손인 사미정공파]
소견)
언뜻 말이 되는 것 같아도 이렇게 표기하는 것은 잘못된 표기입니다.
이렇게 나타내면 '사미정공'이 익재 이제현의 24세손이라는 뜻으로 이해됩니다.
‘사미정공파가 익재 할아버지의 24세손’이라는 말은 할 수가 없는 말입니다.
익재공(휘 제현)은 중시조 17세 할아버지이고 사미정공은 중시조 24세 휘 구 할아버지를 말하고 ‘사미정공파’는 사미정공(휘 구)할아버지를 파시조로 한 그 후손들의 가지(집합체. 모임)를 말합니다.
사미정공(중시조 24세 휘 구) 할아버지의 후손들을 몽땅 아울러 24세손이라고 말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익재 할아버지의 24세손인 사미정공파’는 말이 안 되는 것입니다.
또 사미정공(휘 구)은 중시조 24세(=24대)로 중시조님의 23세손(=23대손)이지 ‘익재공의 24세손’이 아닙니다.
사미정공(휘 구)께서 중조(중시조) 24세이니 ‘이의론’ 논지로 ‘세=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어 ‘24세=24세손’으로 읽는 것은 잘못 읽은 것입니다.
중시조 24세 후손은 '중시조님의 23세손(=23대손)'으로 말을 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미정공(휘 구)께서는 익재공으로 부터 8세(=8대)이니 '익재공의 7세손(=7대손)'으로 말을 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참깨님의 아이들은 중시조 39세 '상'항렬로 '중시조님의 38세손(=38대손)'이고 '익재공의 22세손(=22대손)'이며 '사미정공의 16세손(=16대손)'으로 읽거나 말을 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경주이씨 종친님들께서는 모두 참깨 종친님과 같은 방법으로'세손'수를 헤아려 말하는데 대부분 잘못 읽고 말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헤아려 읽어야 바릅니다.
◯ 중시조 1세 소판공 ~ 39세 ‘상’항렬의 계대
1세 - → 2세 -- → 3세→--→17세→--→23세 -→ 24세→--→37세 - → 38세 - → 39세
소판공—병부령공-낭중공---익재공----창평공---사미정공--‘종’항렬--‘우’항렬--‘상’항렬
거명-----금현------금서-----제현------공린------구----------종◯-----◯우-----상◯
(기준)----1세손----2세손----16세손----22세손---23세손----36세손---37세손---38세손
(기준)----1대손----2대손----16대손----22대손---23대손----36대손---37대손---38대손
16세조—15세조---14세조---(기준)-----6세손----7세손------20세손---21세손---22세손
16대조—15대손---14대조---(기준)-----6대손----7대손------29대손---21대손---22대손
22세조—21세조---20세조---6세조-----(기준)----1세손-----14세손----15세손---16세손
22대조—21대조---20대조---6대손-----(기준)----1대손-----14대손----15대손---16대손
23세조—22세조---21세조---7세조-----1세조----(기준)-----13세손----14세손---15세손
23대조—22대조---21대손---7대조-----1대조----(기준)-----13대손----14대손---15대손
중시조---------------------익재공파-창평공파-사미정공파
*위 표에서 (기준)은 ‘중시조의’, ‘익재공의’. ‘창평공의’, ‘사미정공의’ 뜻으로 묻고 답합니다.
- 중조 39세 ‘상’항렬인 나는 중시조(중조 1세)의 38세손(=38대손). 익재공(중조 17세)의 22세손(=22대손), 창평공(중조 23세)의 16세손(=16대손). 사미정공(중조 24세)의 15세손(=15대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