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론(異義論)' 논지의 세(世)와 대(代) - b
■ '이의론(異義論)' 논지의 세(世)와 대(代) - b
세(世)와 대(代)는 같은 뜻으로 ‘동의론’ 논지에서는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는 같은 뜻으로 사용합니다.
이 1세=1대의 ‘동의론’ 논리가 해방이후 몇몇 학자들에 의해 ‘2세=1대’로 읽는 세와 대는 다른 뜻인 ‘이의론’이 대두된 것으로 ‘동의론’과 오랫동안 갑론을박이 벌어진 것입니다.
이 ‘이의론’논지가 해방이후에 60~70년간 대세를 이루어 사회 전반에 일반화되어 ‘동의론’과 맞서 논란이 일고 혼란스러워진 것입니다.
아직도 잘못된 ‘이의론’으로 쓴 글이 인터넷에 많이 올라 있어 잘못된 내용은 【..............】로 나타내고 아래에 소견)을 올립니다.
【*시조를 1세로 하여 차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을 세라 하고, 자기를 뺀 나머지를 차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을 대라 한다.
*예를 들어 시조로부터 11세손이 되는 사람은 시조가 10대조이며 시조에게는 10대손이 된다. *가까운 선조에는 세를 쓰지 않으므로 5세조는 4대조라 한다.】
소견)
위 기술과 같은 논리가 ‘2세=1대론’인 ‘이의론’입니다.
▲[*시조를 1세로 하여 차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을 世라 하고 자기를 뺀 나머지를 차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을 代라 한다.]
소견)
경주이씨 계대에서 중시조를 1세로 하여 중시조 11세까지 계대를 나타내고 ‘이의론’으로 표를 만들어 ‘세. 대’와 ‘세손, 대손’과 ‘세조, 대조’를 읽어 보겠습니다.
○ ‘1세 소판공 ~ 11세 생원공’의 계대
1세 - - → 2세 -→ 3세 - → 4세 -→ 5세 - → 6세 - → 7세 -- → 8세 --→ 9세 → 10세 - → 11세
소판공—-병부령--태수공—병정공-시랑공—좌사간—사록공—치련공—시중공—부사공—생원공
거명------금현----금서-----윤홍----승훈----주복-----칭--------치련-----총섬----춘정-----현복
기(나)----자-------손-------증손----현손----내손-----곤손------잉손----운손-----9대손---10대손
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9세손—-10세손—11세손
(기준)----1대------2대-----3대-----4대-----5대-------6대-------7대-----8대------9대------10대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6대손-----7대손---8대손—-9대손---10대손
10대조—9대조---8대조—-7대조—6대조—5대조----고조------증조-----조-------부-------기(나)
10대조—9대조---8대조—-7대조—6대조—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위와 같이 ‘이의론’으로 읽고 말하는 것이 아니고 아래와 같이 ‘동의론’으로 읽고 말하여야 바릅니다.
○ ‘1세 중시조 ~ 11세 생원공’의 계대
1세 -- → 2세 -→ 3세 -- → 4세 - → 5세 - → 6세 --→ 7세 - → 8세 -- → 9세 -→ 10세 → 11세
소판공—병부령—태수공—병정공—시랑공—좌사간—사록공—치련공—시중공—부사공—생원공
거명-----금현----금서-----윤홍-----승훈-----주복------칭-------치련-----총섬-----춘정----현복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9세손—10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6대손---7대손----8대손—-9대손—10대손
나--------자------손-------증손-----현손-----내손-----곤손-----잉손-----운손------9대손--10대손
10세조—9세조---8세조—7세조—-6세조----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10대조—9대조---8대조—7대조—-6대조----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10대조—9대조---8대조—7대조—-6대조----5대조----고조------증조----조--------부------기(나)
○ ‘나 1세 ~ 9세 운손자’의 계대를 ‘동의론’으로 아래와 같이 읽고 말합니다.
(1세)→ 2세 → 3세 -→ 4세 - → 5세 -→ 6세 -→ 7세 -→ 8세 -→ 9세
(1대)→ 2대 → 3대 -→ 4대 -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나------자------손------증손----현손----내손----곤손----잉손----운손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6대손—7대손—8대손
5세-----4세----3세-----2세-----(1세)----2세-----3세-----4세-----5세
5대-----4대----3대-----2대-----(1대)----2대-----3대-----4대-----5대
고조----증조----조------부------기(나)----자------손------증손----현손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예를 들어 시조로부터 11세손이 되는 사람은 시조가 10대조이며 시조에게는 10대손이 된다.]
소견)
윗말은 아래와 같이 고쳐 읽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시조로부터 11세(11세^ 손. 11세 후손)가 되는 사람은 시조가 10대조이며 시조에게는 11세가 10대손이 된다.’라고 해야 합니다.
시조 11세에 ‘손’자를 붙여 ‘11세손’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十一世孫’은 중국 한자말이고 이를 우리말로는 ‘11世^ 孫’. ‘11世 後孫’이라고 나타내어야 바른 뜻으로 이해가 됩니다.
○ ‘1세 중시조 ~ 11세 생원공’의 계대를 위 설명대로 나타낸 글입니다.
1세 -→ 2세 --→ 3세 - → 4세 -→ 5세 -→ 6세 -→ 7세 → 8세 -→ 9세 → 10세 → 11세
거명---금현------금서----윤홍----승훈----주복----칭------치련----총섬---춘정-----현복
1세?---2세?------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9세손--10세손--11세손
10대조-9대조----8대조---7대조—6대조---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대불급신)
(2세=1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6대손—7대손—8대손--9대손---10대손
*위 글에서 검고 굵은 글자인 ‘1세?---2세?’ . ‘11세손’은 잘못 읽었습니다.
* 世와 世孫은 그 뜻과 쓰임이 다른데 위 설명에서는 ‘世=世孫’으로 같은 뜻으로 읽었습니다.
중시조 11세 휘 현복을 11세손으로 나타내었으니 ‘세=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어 잘못 말한 것입니다.
* 중시조 휘 현복은 중시조 11세로 읽거나 말하고 중시조님의 10세손(=10대손)이고 중시조님은 중시조 11세 생원공 휘 현복의 10세조(=10대조)입니다.
○ ‘1세 중시조 ~ 11세 생원공’의 계대를 ‘동의론’ 논지로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를 표로 나타내어 보겠습니다.
1세 - → 2세 → 3세 → 4세--→ 5세 - → 6세 → 7세 -→ 8세 -→ 9세 → 10세 → 11세
거명----금현----금서---윤홍----승훈----주복---칭------치련----총섬----춘정-----현복
1대-----2대-----3대-----4대-----5대-----6대----7대-----8대-----9대-----10대----11대
기(나)--자------손------증손----현손----내손—-곤손----잉손----운손----9대손---10대손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8세손—9세손---10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6대손—7대손—8대손—9대손---10대손
10대조-9대조—8대조—7대조—6대조—5대조—고조—-증조----조------부-------기(나)
10세조-9세조—8세조—7세조—6세조—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10대조-9대조—8대조—7대조—6대조—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 ‘세=대’로 같은 뜻으로. 아래 후손은 ‘세손=대손’. 조상은 위로 ‘세조=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고 씁니다.
▲[*가까운 선조에는 세를 쓰지 않으므로 5세조는 4대조라 한다.]
소견)
○ ‘고조 ~ 기(나)’의 계대를 ‘이의론’으로 읽은 표입니다.
고조 -→ 증조 → 조 --→ 부 -- → 기(나)
1세------2세-----3세-----4세------5세 – ‘계대세수’ 고조대신 중시조를 넣으면 중조세수
(2세=1대)..1대---2대----3대-------4대 – ‘代不及身- 代를 읽을 때는 나는 뺀다.’ 적용
4대------3대-----2대-----1대------(대불급신, 2세=1대)
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 – 이의론(세=세손) 적용. ‘세=세손’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 - ‘몇 세조’로는 읽지 않는다.(이의론)
4대조---3대조---2대조---1대조----(2세=1대. 대불급신) 적용
* ‘이의론’ 논지에서는 四代祖인 고조부 기제사 축문에 ‘五世孫 아무개’라 하여 어처구니없는 짓을 하는 것이다.
고조부의 4대손(=4세손)은 제사를 모시는 제주인 나인데 축문에 지칭하는 것은 5세손이니 나의 아들을 제주로 읽어 잘못 말하는 것이다.
* 고조부는 나의 4대조(=4세조)이고 나는 고조부의 4세손(=4대손)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