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제목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오류 지적 및 소견

녹전 이이록 2020. 8. 12. 09:29

■ 제목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오류 지적 및 소견

 

경주이씨(慶州李氏)‘ 제목으로 naver 두산백과에 아래와 같은 글이 게재되어 있습니다.

 

잘못된 내용은 원문..............*로 표시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뒤 로 수정한 뒤 소견)을 올립니다.

 

시조는 초기 신라의 6촌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及梁部)의 촌장으로 전해지는 표암공(瓢巖公) 알평(謁平)이다.

표암공이라는 호칭은 알평이 애초에 *경주 박바위에 강림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경주이씨는 스스로 정통파 대종임을 내세우는데, 이씨 중에는 표암공에 연원을 두고 있는 본관이 많아 *합천· 가평· 평창· 원주· 아산· 재령· 우봉이씨 등이 이에 속하며, *이밖에도 우계이씨와 성주이씨의 일부도 알평에 연원을 두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이들 분적종까지 합치면 경주이씨가 이씨의 대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주 박바위] ⇒ 경주(慶州) 표암(瓢巖- 박바위. 밝바위)

 

*표암(瓢巖) - (표주박) (). 바위 (). 밝다라는 의미도 있다고 함.

 

[합천· *가평· *평창· 원주· 아산· 재령· 우봉이씨 등] ⇒ 합천. 차성. 우계. 아산. 재령. 원주. 진주. 장수

 

* 경주이씨 분적종은 총 8개 분적종으로 시조후손에서 분적한 분적종이 합천이씨. 차성이씨 우계이씨 등 3개이고

중시조후손에서 분적한 분적종이 아산이씨. 재령이씨. 원주이씨. 진주이씨. 장수이씨 등 5개 분적종이다.

 

[*이밖에도 우계이씨와 성주이씨의 일부도 알평에 연원을 두고 있다고 한다.]

⇒ 이밖에도 영천이씨와 울산이씨도 알평에 연원을 두고 있다고 한다.

 

*우계이씨는 본디부터 경주이씨 분적종이고 성주이씨는 경주이씨 분적종이 아닙니다.

 

*경주이씨의 실질적인 시조라고 할 수 있는 중시조는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거명은 신라 때의 인물로 진골(眞骨) 출신이다.

*그는 시조 알평의 36세손이며 *시조로부터 현재(熙字돌림)까지는 대략 75(2,000)가 된다.

 

*경주이씨의 세계는 중시조 거명의 16대손(고려 말기)에서 크게 8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대소 70여 파로 분파된다.

*8대파는 성암공파(誠菴公派이암공파(怡庵公派익재공파(益齋公派호군공파(護軍公派

국당공파(菊堂公派부정공파(副正公派상서공파(尙書公派사인공파(舍人公派) 등이다.

*이밖에 지손(支孫)계통으로 판전공파(判典公派시랑공파(侍郞公派석탄공파(石灘公派) 등이 있다.

 

[*경주이씨의 실질적인 시조라고 할 수 있는 중시조는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거명은 신라 때의 인물로 진골(眞骨) 출신이다.]

 

소견)

김모 교수의 성씨 연구 논문에서 보면 신라는 성씨를 사용한 시기를 진흥왕 때부터라고 하였으니 박. . 김 왕가 3성씨와 6촌을 6부로 개칭한 뒤 6부에 사성된 6성씨는 조작이다.

 

경주이씨 시조도 진흥왕 이전이니 알평 시조님은 경주이씨 시조에서 형식적인 인물로 치부되고 보다 계대가 바른 중시조(휘 거명)께서 실질적인 시조라고 일부 학자가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고의 사서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신라6(사로6, 진한6)6촌장에 대한 기록이 있고 촌이 부로 개칭될 때 6성 중 양산촌이 급량부로 개칭(서가 32년 유리왕 9)할 때 李氏 姓(이씨 성)이 주어진 것입니다.

 

알평을 경주이씨 시조로 이거명을 중시조님으로 후손들이 받들고 있는데 일부 몰지각한 학자가 남의 성씨에 대한 글을 쓰면서 중시조님을 중시조라 하지 않고 실질적인 시조라고 하니 혼란스럽습니다.

 

경주이씨는 시조는 표암공 알평. 중시조님은 소판공 이거명. 중흥조는 열헌공 이핵입니다.

 

[*그는 시조 알평의 36세손이며...]

 

소견)

중시조 소판공 휘 거명은 시조 알평의 36세손이 아니고 시조 알평의 遠代孫(원대손)‘이라 합니다.

1904년 이후로 세상에 나온 35대로 된 실전세계의 게대 35대와 중시조 1세를 더하여 시조 의 36이고 시조의 35세손인데 시조의 36세손으로 이것도 잘못 읽었습니다.

 

[*시조로부터 현재(熙字돌림)까지는 대략 75(2,000)가 된다. ]

⇒ 시조로부터 현재 熙(희)자 돌림(항렬)까지는 대략 2,000년이 된다.

 

소견)

 

시조부터 중시조 40세 '희.형' 항렬까지를 대강 어림잡아 75대이니 하는데 이는 바르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우리 경주이씨는 신라 전 기간인 약 900년간의 계대는 실전되어 전연 알 수 없어 몇 대(=)‘가 지났는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위 대략 75대는 1904년에 발견된 ’35대로 된 실전세계1세 시조부터 중시조 소판공(휘 거명) 앞대까지로 약 900년간을 35대로 하여 꾸며 만든 세계이고 ,항렬을 40대로하여 75대로 말한 것입니다.

년수 2000년은 신라 건국이 기원전 57. 6부 개칭 후 이씨 성 사성이 서기 32년 등을 고려하면 올해가 2020년이니 대략 2000년으로 보는 것은 맞습니다.

 

[*경주이씨의 세계는 중시조 거명의 16대손(고려 말기)에서 크게 8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대소 70여 파로 분파된다. ]

⇒ 경주이씨의 세계는 중시조 거명의 15세 ~ 21세(14대손~20대손, 14세손~21세손)에서 크게 14대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중소 80여 파로 분파된다.

 

[*8대파는 성암공파(誠菴公派)· ] ⇒ 8대파는 평리공파(評理公派). 성암평리공파

 

소견)

중시조 본손 계통 8대파 중 성암공파(誠菴公派)는 본디 경주이씨 장파(14개 대파 중 맏파)로 평리공파(評理公派)라고 하였는데 중간에 평리공파 파시조인 휘 인정의 호가 誠菴(성암)임이 밝혀져 일부 종인들이 평리공파에서 성암공파로 분리하여 별도로 운영되어오던 것을 중앙화수회의 중재로 평리성암공파로 단일화한 것입니다.

 

[*이밖에 지손(支孫)계통으로 판전공파(判典公派시랑공파(侍郞公派석탄공파(石灘公派) 등이 있다.]

⇒ 지손(支孫)계통으로 판전공파(判典公派)· 월성군파(月城君派)· 직장공파(直長公派)· 석탄공파(石灘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교감공파(校勘公派) 등이 있다.

 

*한편 경주이씨 분파도(分派圖)에는 *전술한 10본의 분적종 중 성주이씨와 우계이씨는 거명의 윗대에서 분파되었으며 나머지는 그 아랫대에서 분파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경주이씨는 고려 말에 크게 세력을 떨쳤고 조선에 들어와서도 문과 급제자 178, 상신 8, 대제학 3명을 비롯하여 10여 명의 공신과 많은 학자·명신을 배출하였다.

 

[*한편 경주이씨 분파도(分派圖)에는...]

⇒ 한편 경주이씨 분적도(分籍圖)에는

 

[*전술한 10본의 분적종 중 성주이씨와 우계이씨는 거명의 윗대에서 분파되었으며 나머지는 그 아랫대에서 분파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 전술한 8본의 분적종 중 합천이씨와 차성이씨와 우계이씨는 거명의 윗대인 시조 후손에서 분적 되었으며 나머지 아산이씨. 재령이씨. 원주이씨. 진주이씨. 장수이씨는 중시조 지손 계통으로 분적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8대파 중 상서공파의 백사(白沙:李恒福)집이 가장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고, 익재공파의 세칭 8() 집과 완() 대장을 낳은 국당공파가 그에 버금간다.

 

경주이씨가 조선에 배출한 상신·문형 가운데 백사 집에서 영의정 4, 좌의정 2, 대제학 2명이 나왔고, 8별 집에서 좌의정과 대제학 각 1, 국당공파 중의 정순공(靖順公:誠中) 후손에서 좌의정 1명이 나와 이들 3파가 사실상 경주이씨의 주축을 이루었다.

 

소견)

[*8대파 중 상서공파의 백사(白沙:李恒福)집이 가장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고, 익재공파의 세칭 8() 집과 완() 대장을 낳은 국당공파가 그에 버금간다.]

⇒ 14개 대파 중 상서공파의 ’오신(五臣)집‘ 중 ’백사(白沙 : 李恒福이항복)집‘이 가장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고, 익재공파는 세칭 ’8별(鼈)집‘ 중 ’화곡(華谷 : 李慶億이경억)집‘이 국당공파는 완(浣)대장을 낳은 ’매죽헌(梅竹軒 : 李浣이완)집‘이 그에 버금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