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대동 항렬 제차의 제정시기

녹전 이이록 2020. 2. 14. 09:58

● 대동 항렬 제차의 제정시기



중앙화수회 홈페이지 문답)에  올라 있는 글입니다.

 

대동항렬인 항렬제차가 언제 제정되었는지 알 수 없을까요?


경주이씨 항렬제차가 제정 전에는 4집안에서 각기 별도로 항렬을 제정하여 쓴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뒤 중조 35세부터는 대동항렬을 사용하였는데 고종임금 때 영의정 귤산공(휘 유원)께서 지은 금석록에 중조 38항렬부터 5대 항렬(42 . )까지 제정하였다는 내용이 나오니 그 앞 3대 항렬인 35- . 36- . 37- 종 항렬까지는 제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 뒤 세수부터 70세 항렬까지는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제정한 것인지 알 수 없을까요?


[ 대동항렬인 [경주이씨 항렬제차]는 언제 제정된 것인지요?


중조 35세부터 70세까지 제정한 [경주이씨 항렬제차]는 언제 제정한 것인지 알 수 없을까요?]


소견)


대동항렬(항렬제차) 제정 전의 인터넷에 올라 있는 여러 자료를 취합하여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이 항렬자를 정하여 사용된 것으로 조사됩니다.


1) 중조 35세 이전에는 아래와 같이 4집안에서 각기 항렬자를 정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인용)

第一派(1)- 익재공후 창평공후 재사당공파


[行列字自黿表至集(항렬자자원표지집)]


- 익재공파에서는 8별집 중조 24세 재사당공(黿)에서부터 항렬자를 쓰기 시작하여 34集字(집자)까지 표시했다.


第二派(2)- 국당공후 문정공파


[自廷馨始至顯(자정형시지현)]


- 국당공파에서는 8정집 중조 26세 지퇴당(知退堂. 廷馨)부터 시작하여 34顯字(현자)항렬까지 표시했다.


第三派(3)- 국당공후 정순공파


[自塢始至容(자오시지용)]


- 국당공파 정순공(靖順公派. 誠中)계대는 중조 21()에서 시작하여 34()까지 표시했다.


第四派(4)- 상서공파


[自成茂始至裕(자성무시지유)]


- 상서공파(尙書公派)에서는 중조 22세 성무(成茂)에서 시작하여 34세 유()까지 표시했다.


(*위의 익재공후 재사당공파의 경우 항렬자 사용 시기를 다시 재고해 보아야 합니다.)


2)  35세 '영'. 36세 '규'. 37세 '종'항렬은 익재공파 '진천' 문중에서 사용하던 항렬자를 그대로 쓰기로 의정하였고  1868년 귤산공(휘 유원)께서 지은 금석록 권24 추록 27에 고종 때 영의정이었던 귤산공(橘山公- 유원裕元)  37()’항렬까지 제정된 항렬에 당시 미정(未定)이었던 ()’자 항렬 이하의 5대 항렬자를 새로 정하였다고 하였습니다.


항렬이하 5대 항렬자 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353637[3839404142]

...............[.......................]


중조 38()항렬부터 42()항렬까지 5(=5)를 항렬자를 새로 정하였다는 것입니다..


그러고 보면 중조 35(). 36(). 37()항렬은 1868년 이전에 정한 항렬로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1868년 귤산공(휘 유원. 조선 고종 때 영의정)께서 찬한 금석록에 미정(未定)이었던 ()’자 항렬 이하의 5대 항렬자를 새로 정하였다고 하는 기록 때문입니다.


3) 1904년 광무8년 갑진(甲辰)에 경산(慶山)에서 간행한 갑진보에 경산군수 계필(啓弼) 선생의 행제자(行第字- 항렬 제자)에 아래와 같이 항렬자가 제정되어 있습니다.


(대종보 총편 익재공파보 P299)


3536373839404142[4344454647]48

.........................[............]..

----------------1868년 제정-------------------1904년 이후--------------

.................................................(..............................................)


* (.......)안의 항렬자는 1904년까지는 정해지지 않은 항렬자입니다.


현재 2개의 항렬자로 나타나 있는 40. 42. 43. 45. 46. 47세의 항렬자 중 아래쪽 (......)안의 항렬자는 1904년 이전에는 정해지지 않은 항렬자입니다.


중조 48세 구() 항렬 이후에 항렬자로 쓴 것 같습니다.(지나 간 세수에 항렬자로 정한 것은 대 문중 집안에서 이미 항렬자로 사용하였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현재의 중시조세수에 따른 대동항렬자와 비교하면 1904년 이전의 항렬자는(1904) 1자로만 쓰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40세 형 42세 건. 43세 준. 45세 병. 46세 교 항렬자는 처음 경주이씨 항렬제차표가 제정된 이후부터 사용된 항렬자인 것 같습니다.


이런 점에서 대동항렬자인 경주이씨 항렬제차표의 48~70세까지의 항렬제차는 언제 제정한 것인지만 밝히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