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대 실전세계‘의 오류 수정 – 2
■ ’35대 실전세계‘의 오류 수정 – 2
경주이씨 뿌리에 대한 모든 자료는 1987년도에 간행한 ’경주이씨 대종보‘ 총편에 게재된 내용으로 합니다.
그 중에서 ’대종보 총편‘에 참고용으로 올린 올린 '35대로 된 실전세계'인지 1902년부터 거론되고 1932년 분적종 합천이씨 '임신대보'에 처음으로 발굴되어 게재하였다는 ’35대로 된 실전세계‘인지는 확인하지 않았으나 모 종친님이 어느 쪽 '실전세계'를 참고로 하여 인물 행적 란에서 관직명만 따로 발췌하여 글을 올려 주었습니다.
이 ’35대로 된 실전세계‘는 중앙화수회의 조사연구결과 사실적이지 않은 계대로 밝혀져 이 계대 35세를 적용하여 ’시조세수‘로는 헤아려 말하지 않습니다,
사실적이지 않은 ’35대로 된 실전세계‘에서 시조이하 35세까지 조상님들의 관직만을 정리하여 올림으로써 집안을 조금이라도 자랑하려는 것 같습니다.
올린 내용 중 '대종보 총편'에 참고용으로 게재한 ’35대로 된 실전세계‘의 내용과 다른 ’실전세계‘ 자료이거나 한자의 훈음을 바르게 읽지 못하고 잘못 읽어 올린 것으로 판단됩니다.
잘못된 곳은 원문에 * 로 표시하고 아래에 ⇒ 뒤에 붉은 글자로 수정하되 ’경주이씨 대종보(1987년 간행) 총편‘에 참고용으로 게재한 ’35대로 된 실전세계‘를 기본 자료로 하여 수정합니다.
'대종보 총편'에 참고용으로 올린 ’35대로 된 실전세계와 아래의 인물명은 같으나 관직명을 달리 올린 것
은 무엇 때문인가?
앞회에 이어서 시조 17세 基瞻(기첨)부터 올립니다.
▲【 17世 基瞻(기첨)
侍大農承令(시대농승령) 】
수정)
*侍大農承令(시대농승령) ⇒ 寺大農承令(시대농승령)
- 글자 寺(시)를 侍(시)로 바꾸었습니다.
寺(사) - 관직일 때는‘시’로 읽습니다.
▲【 18世 仁興(인흥)
攝津都尉(섭진도위) 平林使(평림사) 】
수정)
*攝津都尉(섭진도위) ⇒ 攝律都尉(섭률도위).
*平林使(평림사) ⇒ 平林侯(평림후)
- 攝律都尉(섭률도위)를 攝津都尉(섭진도위)로 平林侯(평림후)를 平林使(평림사)로 글자를 바꾸어 읽었습니다.
▲【 22世 泰暉(태휘)
課議大夫(과의대부) ]
수정)
*課議大夫(과의대부) ⇒ 諫議大夫(간의대부)
-諫議大夫(간의대부)를 課議大夫(과의대부)로 글자를 바꾸어 읽었습니다.
▲【 23世 友榮(우영)
太衛(태위) 】
소견)
*太衛(태위) ⇒ 大衛(대위)
-大衛(대위)를 太衛(태위)로 고쳐 읽었습니다.
▲【 24世 駿(준)
字尙氏(자 상씨) 配承昌夫人(배 승창부인) 】
소견)
*字尙氏(자 상씨) ⇒ 字尙民(자 상민).
- 字尙民(자 상민)을 字尙氏(자 상씨)로 잘못 읽었습니다.
*配承昌夫人(배 승창부인) ⇒ 配永昌夫人(배 영창부인)
- 配永昌夫人(배 영창부인)을 配承昌夫人(배 승창부인)으로 잘못 읽고 있습니다.
* 같은 ‘35대로 된 실전세계’ 자료인데 왜 이렇게 비슷한 글자로 바꾸어 읽었을까?
▲【 25世 紹(소)
大傳光祿大夫(대전 광록대부) 】
소견)
*大傳光祿大夫(대전 광록대부) ⇒ 太傅光祿大夫(태부 광록대부)
- 太傅(태부)를 大傳(대전)으로 고쳐 읽었습니다.
▲【 27世 頊(욱)
翰林侍中(한림시중) 信忠功臣(신충공신) 】
소견)
*翰林侍中(한림시중) ⇒ 翰林侍郞(한림시랑)
*信忠功臣(신충공신) ⇒ 忠信功臣(충신공신)
- 翰林侍郞(한림시랑)을 관직으로는 없는 翰林侍中(한림시중)으로 고쳐 읽고 忠信功臣(충신공신)을 信忠功臣(신충공신)으로 ‘충신’ 글자를 앞뒤 바꾸어 고쳐 읽었습니다.
▲【 31世 祹(도)
號第溪先生(호 제계선생) 諡號文爾(시호 문미) 】
소견)
*號第溪先生(호 제계선생) ⇒ 號茅溪先生(호 모계선생).
*諡號文爾(시호 문미) ⇒ 諡號文肅(시호 문숙).
-號茅溪先生(호 모계선생)을 號第溪先生(호 제계선생)으로 고쳐 읽고 諡號文肅(시호 문숙)을 號第溪先生(호 제계선생)으로 고쳐 읽었습니다.
▲【 32世 嗣彦(사언)
左課議大夫(좌과의대부) 樂預政事(낙예정사) 】
수정)
*左課議大夫(좌과의대부) ⇒ 左諫議大夫(좌간의대부).
*樂預政事(낙예정사) ⇒ 叅預政事(참예정사)
- 左諫議大夫(좌간의대부)를 左課議大夫(좌과의대부)로 叅預政事(참예정사)를 樂預政事(낙예정사)로 고쳐 올렸습니다.
▲【 34世 禧斗(희두)
中靑尙書事(중청상서사) 】
수정)
*中靑尙書事(중청상서사) ⇒ 中書尙史(중서상사)
- 中書尙史(중서상사)에 중청(中靑)을 넣어 中靑尙書事(중청상서사)로 만들어 올렸습니다.
▲【 35世 誡(계)
諱誠(휘 성) 中書課議大夫(중서과의대부) 】
수정)
*諱誠(휘 성) ⇒ 諱誡(휘 계).
*中書課議大夫(중서과의대부) ⇒ 中書諫議大夫(중서 간의대부).
- 35세 諱誡(휘 계)를 諱誠(휘 성)으로 잘못 읽어 올리고 中書諫議大夫(중서 간의대부)를 中書課議大夫(중서 과의대부)로 글자를 바꾸어 읽어 올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