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몇 대손’과 ‘몇 세손’의 차이점 – 1

녹전 이이록 2019. 12. 11. 09:22

몇 대손몇 세손의 차이점 1



아래와 같은 글이 인터넷에 올라 있습니다.


세와 대는 뜻이 다른 즉 ‘2=1로 읽는 이의론으로 쓴 글입니다.


필자와 이견(異見)이 있거나 잘못된 내용에는 원문에 * 표시를 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뒤 수정. 소견)으로 올립니다.


* ()는 셈할 때 시조를 제외하고 계산하며 세()는 시조를 포함하여 계산합니다.


* 始祖(시조)    = 一世(일세)

一代孫(일대손)= 二世孫(이세손)= (아들 자)

二代孫(이대손)= 三世孫(삼세손)= (손자 손)

三代孫(삼대손)= 四世孫(사세손)= 曾孫(증손)

四代孫(사대손)= 五世孫(오세손)= 玄孫(현손). 증손의 아들.

五代孫(오대손)= 六世孫(육세손)= 來孫(내손). 현손의 아들.

六代孫(육대손)= 七世孫(칠세손)= 昆孫(곤손). 내손의 아들.

....

十代孫(십대손)= 十一世孫(십일세손)

 

*본인의 위로 조상은 ()라고만 합니다.

十代祖(십대조)

...

五代祖(오대조)

四代祖(사대조)= 高祖父(고조부)

三代祖(삼대조)= 曾祖父(증조부)

二代祖(이대조)= 祖父(조부)

一代祖(일대조)= ()

本人(본인)


지적과 소견)


[* ()는 셈할 때 시조를 제외하고 계산하며 세()는 시조를 포함하여 계산합니다.]


소견)


위 글은 세와 대는 다른 뜻으로 읽는 이의론으로 설명된 글입니다.


[()는 셈할 때 시조를 제외하고 계산하며 세()는 시조를 포함하여 계산합니다.] 라는 주장은 잘못된 주장입니다.


아래와 같이 세와 대는 같은 뜻인 즉 ‘1=1로 읽는 동의론으로 고쳐 읽어야 합니다.


[()와 세()는 같은 뜻으로 조상과 후손 간에 조상기준 1세로 하여 아랫대를 차례대로 2. 3...등으로 읽고 후손 기준 1세로 하여 윗대로 차례대로 2. 3..... 등으로 읽습니다.]


1=1.....10=10......35=35대로 쓰고 읽습니다.


[始祖(시조) = 一世(일세)

一代孫(일대손)= 二世孫(이세손)= (아들 자)

二代孫(이대손)= 三世孫(삼세손)= (손자 손)

三代孫(삼대손)= 四世孫(사세손)= 曾孫(증손)

四代孫(사대손)= 五世孫(오세손)= 玄孫(현손). 증손의 아들.

五代孫(오대손)= 六世孫(육세손)= 來孫(내손). 현손의 아들.

六代孫(육대손)= 七世孫(칠세손)= 昆孫(곤손). 내손의 아들.

....

十代孫(십대손)= 十一世孫(십일세손) ]


소견)

 

위 표는 이의론논리로 나타낸 표로 몇 대손은 시조에서 대불급신하여 아래로 1대손. 2대손. 증손은 3대손. 현손은 4대손....등으로 바르게 읽었으나 몇 세손으로는 시조 1. (시조의 자)2세손. 3세손. 曾孫4세손. 玄孫5세손....등으로 세=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었습니다.


본디 이의론에서는 상대하세의 원칙 중 上代를 적용하면 몇 대손으로는 읽지 못하는데 위 표에서는 몇 대손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上代이니 는 위로 헤아려 읽어야 하는데 代孫은 아랫대 후손을 말하니 아래로 읽는 모양이 되니 대손이라는 용어의 뜻과 원칙 上代는 서로 상반되어 몇 대손으로는 읽지 못합니다.


이를 동의론으로 대손=세손을 같은 뜻으로 아래와 같이 고쳐 읽어야 합니다.


始祖(시조)      = 기준(시조의)

一代孫(1대손) = 一世孫(1세손) - ()

二代孫(2대손) = 二世孫(2세손) - ()

三代孫(3대손) = 三世孫(3세손) - 曾孫(증손)

四代孫(4대손) = 四世孫(4세손) - 玄孫(현손)

五代孫(5대손) = 五世孫(5세손) - 來孫(내손)

六代孫(6대손) = 六世孫(6세손) - 昆孫(곤손)

....

九代孫(9대손) = 九世孫(9세손)

十代孫(10대손) = 十世孫(10세손)


[*본인의 위로 조상은 ()라고만 합니다.


十代祖(십대조)

...

五代祖(오대조)

四代祖(사대조)= 高祖父(고조부)

三代祖(삼대조)= 曾祖父(증조부)

二代祖(이대조)= 祖父(조부)

一代祖(일대조)= ()

本人(본인) ]


소견과 수정)


나 위의 조상은 ()로만 읽어야 한다.‘ 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이의론으로만 읽기 때문에 이렇게 말하는 것입니다.


동의론으로는 위 아래로 를 같은 뜻으로 읽고 아래로 세손. 대손으로 읽고, 위로 세조. 대조로 읽고 말합니다.


十代祖(10대조)

대손(9대손)

...

五代祖(5대조)

四代祖(4대조) = 四世祖(4세조) - 高祖父(고조부)

三代祖(3대조) = 三世祖(3세조) - 曾祖父(증조부 )

二代祖(2대조) = 二世祖(2세조) - 祖父(조부)

一代祖(1대조) = 一世祖(1세조) - ()

(기준. 나의).......(기준. 나의) - - ()


(차회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