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차례 지내는 순서
■ 추석 차례 지내는 순서
인터넷 검색으로 차례 지내는 순서를 10여종 찾아보았습니다.
아래의 글이 순서적으로 가장 무리 없이 차례(茶禮)를 지내는 순서로 생각되어 소개합니다.
1. 강신
* 제주가 향을 피웁니다.
* 제주가 잔에 술을 부어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빈잔을 상에 올리고 제주만 두 번을 절합니다.
- 뇌주잔 별도 준비
2. 참신. 헌주
* 제주가 술잔에 술을 채워 신위(기제사 대상자 수만큼) 전마다 올립니다.
* 기제사에는 삼헌을 올리지만 차례는 단잔 무축입니다.
* 제주가 직접 상 위의 술잔에 술을 채워도 좋습니다.
* 신위마다 술잔을 올린 후 남녀 공히 두 번 절합니다.(남자는 2번 여자는 4번이나 2번으로 )
3. 삽시정저
제주가 송편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옮겨 가지런히 올려놓습니다.(다른 음식에 올려놓아도 좋습니다.)
4. 시립
일동이 잠시 동안 두 눈을 감고 두 손을 모아 쥐고 공손히 서 있습니다.
5. 사신
제주는 몸을 세우고 수저를 본디 있던 위치에 거둡니다.
뚜껑이 있다면 덮습니다.
일동 2번 신위께 보내는 절을 합니다.
지방을 불사르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십니다.
6. 철상, 음복 :
철상이란 상을 걷는 것을 말하는데, 모든 제수(祭需)는 뒤에서 물립니다.
음복이란 조상께서 주신 복된 음식이란 뜻으로 제사가 끝나면 참사자와 가족들이 모여서 시식을 합니다.
* 차례 모시는 순서는 지방마다 순서나 방식이 조금씩 다릅니다.
* 차례(茶禮)는 기제사보다 약식의 제사입니다.
* 차례(茶禮)는 기제사의 삼헌(三獻)을 단잔(單盞)으로 올리고 초헌에서 축문이 없고 그 외 기제사의 순서에서 몇 가지를 뺀 순서입니다. - 단잔무축(單盞無祝)
* 깨끗한 종이에 기제사 대상자 신위를 개별로 지방을 써서 신위 자리에 모십니다.
(신주일 때는 별도의 의자가 있어 거기에 모십니다. 없으면 병풍에 지방의 윗부분에 풀을 발라 붙입니다.)
* 문을 열어두고 상을 차립니다.
각 신위께서 개인적으로 먹어야할 음식(메. 탕)과 사용할 기구(시저. 잔)는 기제사 대상자 수만큼 준비합니다.
* 강신 뇌주잔은 별도로 준비 합니다.
* 모사기(모래와 띠풀) 준비
– 기제사 때는 모사기(모래와 띠풀)를 준비하기도 하나 대신에 빈 그릇을 준비하였다가 제사상에 올린 잔의 술을 빈 그릇에 모아 음복 때 나누어 마시기도 한다.
* (인용)
神位(신위)란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로 位牌(위패)인 紙榜(지방)이나 사진, 神主(신주)를 모시는 자리를 말하며 숭봉하는 분의 표상이다.
위패를 임시로 종이에 모심을 ‘지방’이라 하며 영구히 대물림하는 것을 神主(신주)라 하고 나무로 제작하였기에 木主(목주)라고도 한다.
지방은 종이 지(紙)에 매방(榜)으로 ‘종이를 붙인다.’는 뜻으로 임시자리이기 때문에 神位(신위)라고 써야 되고, 신주는 그 자체가 영구한 자리이기 때문에 신위를 약한다는 것으로 ○○李先生이라 쓰면 되는 것이라 한다.
신주는 교의(交椅)에 올려놓는데 櫝座(독좌)라 하기도 하는데 즉, 의자인 것이며 櫝(독)을 만들어 신주를 덮어놓는데 즉, 함인 것으로 검은색으로 칠하여 ○○李先生櫝이라 題主(제주)하는데 글 씀을 제주라 한다. (益齋李先生櫝 - 익재 이 선생 독)
‘지방’은 허위로 신주를 옮겨 모시지 못할 경우 그 조상이 강림하시어 좌정할 자리를 정하여 드림이 ‘지방’이 지닌 참뜻으로 그 조상을 의미 하는 것이 아닌 까닭에 예를 마친 후 불태워 버릴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지방은 신주나 묘소가 아닌 고로 先降後參(선강후참- 강신을 먼저하고 참신을 뒤에 함)으로 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지방’은 신주의 분면식(粉面式)에 主(주)를 位(위)로 고쳐 써 주인으로부터 어느 조상의 좌정할 자리란 뜻 외의 다른 의미는 없는 것이므로 신주와 형태가 같을 까닭이 없다는 것이다.
忌祭(기제)에서 考妣(고비)를 합설하여 행사함이 본성(情)에 있다하나 지방은 各書(각서)로 작성해야만 하니
이는 한 의자에 두 분을 앉으시게 할 수는 없는 것과 같다.
사당이 없는 가정에선 기제사에서 ‘지방’을 써서 신위를 모시는 것이다.
[ 추석 차례 잘 모시고 한가위 명절 즐겁게 보내세요.]
- 녹전 이이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