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성암공파. 몇 세손? - 1

녹전 이이록 2019. 7. 12. 09:05

성암공파. 몇 세손? - 1



문의와 답변의 글은 경주이씨 중앙화수회 홈페이지와 여러 카페와 블로그에 올라 있는 경주이씨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 . ‘궁금한 것난에서 답변이나 소견. 수정 사항. 건의 등으로 올린 내용들입니다.


오늘 이 카페를 보고.. 집에 와서 족보를 봤는데요..


저는 성암공파이구요.


저희 오빠가 호()자 돌림이고요. 아버지는 재()자 이세요.


할아버지는 잘 모르겠어요..


찾아보니 아버지는 41로 되어 있고 저희는 42세 줄에 있던데.. 그럼 저는 몇 대손인가요?


(전에 18대손이라고 들은 것 같기도 한뎅.. 찾아보면 아닌 것 같기도 하고..)


족보가 있어요.


어떻게 보는 건지.. 보면 볼수록 헷갈려요..^^;


댓글 답변)


. MH


42세손이 맞습니다.


소견)


'호.건' 항렬이 중시조 42세인데 이를 '세=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어 '42세=42세손'으로 읽는 것을 답변으로 하였으나 바른 답변이 아닙니다.


아직도 이의논지인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어 중시조 42 중시조세수에 자을 붙여 ‘42세손이 맞다.’고 하는 답변입니다.


중시조 42. 항렬은 몇 세손(=대손)으로는 중시조님의 41세손(=41대손)’이라고 말을 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이때의 42세손은 한자말로 우리말로는 '42세^ 손'으로 나타내거나. '42세 후손'으로 읽어야 합니다..    


답변) 이이록


[저는 성암공파이구요.]


소견)


평리공파(성암공파)는 우리 경주이씨의 장자손파인 장파(長派)입니다.


성암공파는 처음 족보에는 파명이 평리공파라고 하였습니다.


문하평리관직명을 따서 파명으로 평리공파로 하였습니다.


중간에 중시조 16세 평리공(휘 인정)의 호가 성암임을 알고 호를 따서 성암공파라고 파명을 바꾸었는데 이로 인하여 한 대종회가 평리공파성암공파두 파로 나뉘어 운영되다가 2008년에 통합하여 평리성암공파라고 통합 파명으로 개칭하였습니다.


파명에 대한 소견)


평리공파성암공파라고 호칭해도 전 종인들이 모두 알아듣습니다.


그런데  괜히 평리성암공파라고 길게 파명을 정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평리공이나 성암공이나 같은 한 분을 가리키는데 중간에 문제가 있었다고 하여 이를 무마하고자 평리공파에서 평리(評理)의 관직을 따고 성암공파에서 성암(誠菴)의 호를 따서 이를 하나로 묶어 평리성암공파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본디 조상님들께서 정한 파명 대로 평리공파라고 하면 될 텐데 유독 관직과 호를 넣어 평리성암공파라고 하는 것은 별로 호감이 가는 파명이 아닙니다.


대체로 파명은 간단명료하여 같은 종인들이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파명을 선호하는데 이 평리성암공파를 본 따 다른 파들도 익재공파라고 하지 않고 익재문충공파라고 한다든가 백사공파백사문충공파라고 해야 한다면 상당한 문제가 따를 것입니다.


누구는 허용하고 누구는 허용하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


우리 경주이씨는 14개의 대파로 분파하고 중. 소파가 약 80여개입니다.


대종보에 게재된 대파는 15~ 21세의 본손 계통 숙질간을 파시조로 하는 8대파와 방계의 지손 계통 종조손(從祖孫- 방계의 조상과 후손) 계대 간 6대파 등 총 14개 대파입니다.


중시조 직계 계대로 15세인 중흥조 열헌공(휘 핵)의 장자 1명과 손자 7명이 8대파로 분파한 것입니다.


열헌공(중조 15세 휘 핵)의 장자


- 중조 16세 성암공 휘 인정이 파조인 평리공파


열헌공(중조 15세 휘 핵)의 손자 7


* 중조 16세 동암공 휘 진의 세 아들 계대


- 중조 17세 이암공 휘 관이 파조인 이암공파.

- 중조 17세 익재공 휘 제현이 파조인 익재공파.

- 중조 17세 호군공 휘 지정이 파조인 호군공파.


* 중조 16세 송암공 휘 세기의 네 아들 계대


- 중조 17세 국당공 휘 천이 파조인 국당공파.

- 중조 17세 부정공 휘 매가 파조인 부정공파.

- 중조 17세 상서공 휘 과가 파조인 상서공파.

- 중조 17세 사인공 휘 조가 파조인 사인공파 등으로 8대파로 분파하고


중시조 방계 계대에서 중조 15~21세에서 6대파로 분파하였으니 아래와 같습니다.


-중조 15세 판전공 휘 강이 파조인 판전공파.

-중조 21세 월성군 휘 지수가 파조인 월성군파.


*중조 18세 사재감승 휘 길상의 계대 네 아들


-중조 19세 직장공 휘 양오가 파조인 직장공파.

-중조 19세 석탄공 휘 존오가 파조인 석탄공파.

-중조 19세 진사공 휘 존중이 파조인 진사공파.

-중조 19세 교감공 휘 존사가 파조인 교감공파 등으로 총 14개 대파로 분파하였습니다.


[저희 오빠가 호()자 돌림이고요. 아버지는 재()자 이세요.]


소견)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에 따르면 항렬자에 따른 세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항렬....... ........() ()

중시조세수.......41.........42


() 항렬은 중조 41세이고 호() 항렬은 중조 42세입니다.


[아버지는 41로 되어 있고 저희는 42세 줄에 있던데.. 그럼 저는 몇 대손인가요?]


소견)


아래와 같이 표를 만들어 동의논지로 몇 대손인가?’를 헤아려 보겠습니다.


1- - 2---16---41- 42

중시조.....병부령공.......성암공.........()......()

거명........금현..............인정.....................

(기준)......1세손............15세손.........40세손.....41세손

 15세조....14세조...........(기준).........25세손......26세손 이상 동의논지로 읽음.

1세손.......2세손............16세손.........41세손......42세손 - ‘이의논지로 읽음.


*대손은 세손과 같은 뜻으로 대손=세손’. ‘세손(대손)’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대손(=세손)으로 헤아려 읽는 방법을 이의논지로 말해 보면 중조 42세는 =세손으로 읽어 ‘42=42세손으로 읽고 [2세는 1]-1=이니 42-1=41대이며 =대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으니 41=41대손으로 ‘42세손이나 41대손으로 읽는 것입니다.


반면에 동의논지로는 세손=대손같은 뜻으로 읽으며 항상 누구의 몇 세손(대손)?”으로 읽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이 때 누구는 기준이 되며 기준은 항상 윗대조상(인물. 사람)을 말합니다.


42항렬은 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인가?


42항렬은 성암공의 몇 세손(대손)인가? 로 물을 때 누구의 몇 세손(대손)이다.’ 로 답합니다.


위의 표에서는 42항렬은 중시조님의 41세손(=41대손)’이고 성암공의 26세손(=26대손)입니다.


*‘이의논지에서 중조 42항렬이 42세손으로 읽기 위해서는 중조 1세인 중시조님은 ‘1세손으로 읽어야 셈법상 이치가 맞는데 중시조 1세를 1세손으로 읽으면 누구의 1세손일까?


주어진 계대는 1세 중시조부터 42항렬까지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