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공파 39세손’과 ‘38대손’ - 3
■ ‘석탄공파 39세손’과 ‘38대손’ - 3
문의와 답변의 글은 경주이씨 중앙화수회 홈페이지와 여러 카페와 블로그에 올라 있는 경주이씨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 . ‘궁금한 것’ 난에서 답변이나 소견. 수정 사항. 건의 등으로 올린 내용들입니다.
【*35세손(34대) 영(榮). 36세손(35대) 규(圭). 37세손(36대) 종(鍾). 38세손(37대) 우(雨). 39세손(38대) 상(相). 40세손(39대) 희(熙),형(炯)으로 나와 있던데, *할아버지가 鍾자 돌림이고, 아버지가 雨자 돌림이면 제가 39세손(38대)인가요?
어른들이 물어보면 *석탄공파 39세손, 석탄공파 38대손 中 어느 것이 바른 표현인가요?
두 개다 맞는 표현인지...
*경주이씨는 파 관계없이 위 돌림자를 공용으로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집사람은 전주이가인데.. 돌림자가 우리랑 비슷하던데.. 경주이씨 하고는 항렬이 틀린 거죠.
아버지가 가끔 알려주셨는데 너무 관심 없이 들어서 많이 모릅니다.】
▲[할아버지가 鍾자 돌림이고, 아버지가 雨자 돌림이면 제가 39세손(38대)인가요?]
소견)
○ 1세 중시조 ~ 39세 ‘상’항렬의 계대
1세 →---→ 19세 →---→ 37세 - → 38세 - → 39세
소판공........석탄공...........鍾(종).......雨(우)......相(상)
거명............존오.............종○..........◇우........상△
(기준).........18세손..........36세손.......37세손.....38세손
(기준).........18대손..........36대손.......37대손.....38대손
18세조........(기준)...........18세손.......19세손.....20세손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에 따르면 종친님은 ‘상’ 항렬로 중조 39세(=39대)이며 ‘중시조님의 38세손(=38대손)’으로 말을 해야 바릅니다.
중조 39세라고 하여 ‘이의’ 논지 ‘세=세손’을 같은 뜻으로 읽어 '39세=‘39세손’으로 읽으면 안 됩니다.
▲[석탄공파 39세손, 석탄공파 38대손 中 어느 것이 바른 표현인가요? 두 개다 맞는 표현인지...]
소견)
'석탄공파'는 경주이씨 14개 대파 중의 하나로 파시조는 중시조 19세 석탄공(휘 존오)입니다.
위 ‘석탄공파 39세손’ , ‘석탄공파 38대손’은 둘 다 바른 표현이 아닙니다.
파명 뒤에는 ‘몇 세손’으로 나타내지 않고 ‘중시조세수’로만 나타냅니다.
몇 세손은 '중시조님의 몇 세손?' . '석탄공의 몇 세손?'으로 묻는 것과 같으니 '조직인 파명의 몇 세손'이 아니고 '인물(사람)의 몇 세손'으로 말하여야 어법이 바릅니다.
그러니까 ‘석탄공파 39세손’이 아닌 '중시조 39세' . '중시조 39대' . ‘석탄공파 39세'. '석탄공파 39대’로 말하거나 '중시조님의 38세손(=38대손)'. '석탄공의 20세손(=20대손)'으로 말을 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이의’ 논지에서는 ‘39세손에 38대손’으로 읽는다고 하나 본디 ‘38세손은 38대손’으로 ‘세손=대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는 것이 바르기 때문입니다.
‘석탄공파 39세손’만 가지고 다시 살펴봅시다.
석탄공파인 중조 39세 ‘상’ 항렬이 ‘이의’논지로 ‘몇 세손’과 '몇 대손'으로 말한다면 아래와 같이 세 가지로 읽고 말하고 있습니다.
① ‘중시조 39세손' . '중시조 38대(손)'
(중시조부터 ’상‘ 항렬까지 읽은 세수 39세에 ’손‘자를 붙여 39세손.
대=세수-1이니 39세-1=38대(손)).
② 석탄공파 39세손
(‘석탄공파’ 파명 뒤에 중시조 세수 39세에 ‘손’자를 붙여, 39세손).
③ 석탄공파 21세손(중시조 19세 석탄공부터 중시조 39세 '상'항렬까지 읽은 세수 21세에 ‘손’자를 붙여 21세손)
위 ① ② ③항 모두 잘못 표기한 말입니다.
①항은 ‘중시조 39세’ . '중시조 39대' . '중시조님의 38세손'. '중시조님의 38대손'으로 읽어야 합니다.
②항과 ③항이 더 문제입니다.
파명이 같은 ‘석탄공파’에 하나는 ‘39세손’으로 읽고 하나는 ‘21세손’으로 읽는 것이 더 혼란을 가져옵니다.
②항은 파명뒤에 중시조세수를 넣어 '석탄공파 39세' . '석탄공파 39대'로 말하거나 '누구의 몇 세손'으로는 '석탄공의 20세손' . '석탄공의 20대손'으로 읽거나 말하여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③항의 '석탄공파 21세손'은 바르지 못한 어법입니다.
단체명인 대파명 석탄공파 뒤에 '몇 세손'은 말이 안되는 말입니다.
'인물(조상. 사람)의 몇 세손'으로 말을 해야지 '단체명(파명)의 몇 세손'으로 말하는 것은 바르지 못한 어법이라는 말입니다.
이도 '석탄공의 20세손' . '석탄공의 20대손'으로 말을 해야 합니다.
‘석탄공파’인 중조 39세 ‘상’ 항렬을 ‘이의’ 논지로 위와 같이 ①항 ②항 ③항과 같이 표기하여 읽는다면 혼란이 옵니다.
그래서 이를 막기 위하여 [석탄공파 39세손, 석탄공파 38대손- 이 표기도 물론 잘못된 표기입니다]으로 파명 뒤에 ‘몇 세손과 몇 대손’으로 나타내지 않고 [석탄공파 39세, 석탄공파 39대]로 대파명 뒤에 ‘중시조세수’로만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대. 중. 소파명 뒤에는 ‘몇 세손’이 아닌 ‘중시조세수’로만 나타내야 하는 것입니다.
‘석탄공파’인 중조 39세 ‘상’ 항렬이 ‘동의’논지로 ‘몇 세손’으로 헤아려 읽는다면 ‘중시조님의 38세손’ . ‘석탄공의 20세손’으로 말을 해야 바릅니다.
* ‘동의’와 ‘이의’논지로 읽는 몇 세(=대)와 몇 세손(=대손)이 달라 이해가 어려울 것입니다.
‘동의’로 읽은 수인가? ‘이의’로 읽은 수인가?를 잘 구분하여 읽어야 이해가 될 것입니다.
지난번에도 이러한 글을 올리니 ‘빙빙돈다. 헷갈린다.’라고 하였습니다.
▲[경주이씨는 파 관계없이 위 돌림자를 공용으로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소견)
대. 중. 소파에 관계없이 대동항렬(大同行列- 경주이씨이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항렬)을 미리 정해두고 경주이씨이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시조 35세 ‘영(榮)’항렬부터 중조 70세 ‘훈(熏). 엽(燁)’항렬자까지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를 정해두고 앞으로 후손들이 1000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해 두었습니다.
▲[집사람은 전주이가인데 돌림자가 우리랑 비슷하던데 경주이씨하고는 항렬이 틀린 거죠?]
소견)
경주이씨와 전주이씨는 본관이 다르니 당연히 항렬자가 다릅니다.
같은 항렬자가 있다하여도 세수가 다를 것이고 혹 세수와 항렬자가 같다고 해도 우연일 뿐입니다.
대종보 총편의 분파도와 세계(世系) 일람표를 살펴보면 시랑공파(侍郞公派)는 대파명이 아닙니다.
대파 석탄공파의 윗대 직계 조상님 즉 중시조 계대에서 방계로 갈라져 나간 윗대 조상님이 중시조 10세 시랑공(휘 춘림. 문하시랑)입니다.
경주이씨 14개 대파의 하나가 ‘석탄공파’인데 그 윗대에 ‘시랑공파’가 있다면 대파(代派)위에 또 대파가 있는 것이니 시랑공파는 태파(太派)라고 불러야 합니다..
경주이씨 뿌리의 근간이 되는 자료는 경주이씨 대종보인 정묘보입니다.
이 족보의 '경주이씨 분파도'에는 '시랑공파'는 대파로 나와 있지 않습니다.
시랑공(휘 춘림. 중시조 10세)의 9대손인 중조 19세인 석탄공(휘 존오)의 형제 4형제가 모두 대파로 분파하니 석탄공은 ‘석탄공파’로 분파한 대파시조(대파조. 파시조. 파조)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