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백사공파’가 있나요?

녹전 이이록 2019. 6. 28. 09:52

백사공파가 있나요?



문의와 답변의 글은 경주이씨 중앙화수회 홈페이지와 여러 카페와 블로그에 올라 있는 경주이씨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 . ‘궁금한 것난에서 답변이나 소견. 수정 사항. 건의 등으로 올린 내용들입니다.


백사공파? 라고 하시던데... 백사공파가 있나요?


답변) △ 이이록


[백사공파가 있나요?]


소견)


'백사공파'는 경주이씨 집안에서도 이름이 난 집안입니다.


백사공(중시조 25세 휘 항복. 영의정) 이후 후손에서 에 영의정 세 분. 좌의정 두 분을 낳은 자랑스러운 집안입니다.


파시조(대파시조. 파조)는 조선 선조 때 임진왜란으로 큰 공을 세운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이고 그를 파조로한  그 후손들이 '백사공파'입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대. 중. 소파로 분파하였습니다.


◆ 1세 중시조 ~ 25세 백사공 계대


1---15세 - 16세 - 17---24-.-.- 25

소판공.........열헌공.....송암공......상서공..........정헌공..........백사공

거명.......................세기..........................몽량.............항복

중시조.........중흥조.....................상서공파......정헌공파.......백사공파

.....................................................대파.............중파..............소파


대파 상서공파에서 중파 정헌공파는 중시조 24세 정헌공(휘 몽량)에서 분파되고 백사공파는 중조 25세 백사공(휘 항복)에 분파되어 있습니다.(대종보 총편 참조)


아버지 정헌공을 파조로 한 중파 정헌공파와 바로 아랫대 아들인 백사공을 파조로 한 소파 백사공파를 분파 명으로 한 것입니다.


이와 같은 예는 중시조 16세 성암공(휘 인정)께서 대파로 분파하여 평리공파로 하고 1세 아래의 종질들인 중시조 174촌간 7형제가 분파하여 7대파가 되어 1세 차이가 나도 모두 대파로 분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족보에 보면 대파 익재공파에서 중파 명으로 분파한 파명에 창평공파(중시조 23세 창평공 휘 공린)가 있고 아래에 중시조 24세인 8명의 아들이 모두 분파하여 소파명을 가졌습니다.


() ━━━ () ━━ ━ (黿)━━━━ () ━━

좌랑공파.......사미정공파......재사당공파.......생원공파

(佐郞公派).....(四美亭公派)....(再思堂公派)....(生員公派)

 

() ━ ━ ━ () ━ ━ () ()

장육당공파......참판공파.......진사공파.......한당공파

(藏六堂公派)....(參判公派)....(進士公派)....(閑堂公派)


대파인 중시조 16세인 성암공(휘 인정)을 파시조로 하여 '평리공파'로 하고 중시조 17세인 이암공(이암공파 파조)외 7명의 종질이 모두 대파로 분파하여 중시조 본손 계통에서 총 8대파로 분파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창평공파' 파조이신 창평공(휘 공인)은 중조 23세이고 창평공의 여덟 아들은 중조 24세로 각기 현달하여 분파되었는데 익재공파가 대파이면 창평공파팔별파가 같은 중파로 할 것인가? 중파와 소파로 나눌 것인가가 애매하나 대종보의 기록대로 중파와 소파로 나누어 기술하였습니다.      


경주이씨 대파 분파


경주이씨 대파 분파는 중시조(中始祖. 휘 거명居明)15-21세에서 총 14개 대파로 분파하였습니다.


중조 15세 열헌공(悅軒公. 휘 핵)의 본손 계대에서 열헌공 장자인 16세 성암공(誠菴公. 휘 인정仁挺)이 장파(長派)인 평리공파(評理公派)의 파시조로 분파하고 성암공 동생인 동암공(東菴公. 휘 진)과 송암공(松巖公. 휘 세기世基)의 아들들인 중조 174촌간 7형제가 7대파로 분파하여 총 8대파로 나뉘고 지손 계통(중시조 이후 방계 후손 계대)6대파 등 총 14개 대파로 분파되었으며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대소 80여 개 파로 분파됨을 볼 수 있습니다.(1987년도 간행 대종보 참조)


14개 대파는 본손 계통으로 8대파


평리공파(評理公派)(16이인정

이암공파(怡庵公派)(17이관

익재공파(益齋公派)(17이제현

호군공파(護軍公派)(17이지정

국당공파(菊堂公派)(17이천

부정공파(副正公派)(17이매

상서공파(尙書公派)(17이과

사인공파(舍人公派)(17이조


지손계통으로 6대파


판전공파(判典公派)(15이강

월성군파(月城君派)(21이지수

직장공파(直長公派)(19이양오

석탄공파((石灘公派)(19이존오

진사공파(進士公派)(19세 이존중

교감공파(校勘公派)(19이존사) 입니다.


*( )안은 중시조 세수와 대파 파시조명입니다.


백사 이항복


백사는 조선 중기 문신(文臣정치가· 시인· 작가인 이항복(李恒福, 1556~1618음력 513)의 호()입니다.


는 자상(子常), 는 백사(白沙필운(弼雲청화진인(淸化眞人동강(東岡소운(素雲) 이며 시호는 문충(文忠)입니다.


고려 말 익재공(휘 제현) 이후 경주이씨 집안에서 제일 훌륭한 조상님입니다.


우참찬(右參贊)을 지낸 이몽량(李夢亮)의 아들이며, 도원수 권율(權慄)의 사위입니다.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 1등으로 오성부원군(鰲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600년 영의정에 올랐다.


1617년 인목대비의 폐위에 적극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명하다가 1617음력 1124 관직을 삭탈당하고 북청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1617음력 1216 이항복의 유배지를 다른 곳으로 옮기라는 위리안치의 명이 떨어진 이후 계속 유배지를 옮겨 다니며 17 용강, 18 흥해, 21 창성, 24 경원, 28 삼수로 다니다가 1618년음력 16북청으로 유배되어 그 곳에서 죽게 된다.

상신록(相臣錄)에 실렸으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