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파 몇 대손
■ 무슨 파 몇 대손?
문의와 답변의 글은 경주이씨 중앙화수회 홈페이지와 여러 카페와 블로그에 올라 있는 경주이씨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 . ‘궁금한 것’ 난에서 답변이나 소견. 수정 사항. 건의 등으로 올린 내용들입니다.
【 제가 알고 있는 것은 *아빠의 돌림자가 '왕'자 라는 것밖에 모르는데 파가 어디인지 알 수 있나요?
파는 익재공파 같은데 (*시조가 이제현님이라서) 몇 세손인지 모르겠어요. 】
답변) 이이록
▲[아빠의 돌림자가 '왕' 자 라는 것밖에 모르는데...]
-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에 따르면 항렬자에 ‘왕’자는 없습니다.
그래서 아버지의 항렬자 '왕'자는 항렬자가 아닙니다.
종친님께서 항렬자로 생각하는 ‘왕’자가 항렬자가 아니고 그 옆의 글자가 항렬자일 수도 있습니다.
아버지께 자세히 다시 물어 보세요.
▲[시조가 이제현님이라서...]
- 이제현은 ‘시조’가 아니고 익재공파의 파시조(파조)라고 합니다.
우리 경주이씨의 시조는 표암공(휘 알평)이시고 이제현공은 대파 익재공파 파시조입니다.
경주이씨 시조는 신라 건국 전 사로 6촌 중 하나인 알천양산촌장이시고 신라 건국 시(BC 57년) 좌명공신으로 아찬 관직을 가지셨고 3대 유리왕 9년(AD32년)에 알천 양산촌을 급량부(양부. 달부)로 개칭하고 이씨 성을 사성 받은 표암공(휘 알평) 입니다.
익재공(휘 제현)은 중조 17세로 고려 말 학자이며 정치가. 문장가. 시인으로 경주이씨 시조가 아니고 대파 익재공파의 대파조입니다.
경주이씨 시조와 14개 대파조(대파시조)는 ‘시조’자가 붙어도 그 뜻과 성격이 다릅니다.
중시조님 직계 계대에서 15세~21세에서 14개로 분파한 대파의 시조는 ‘대파조’라고도 하고 줄여서 ‘파조’라고 하는데 경주이씨 전 종인들의 ‘경주이씨 시조’와는 구분하여 말합니다.
한 가지 덧붙여 말씀드립니다.
후손이 윗대 조상님 이름 뒤에 함부로 ‘님’자를 붙여 호칭할 수 없습니다.
즉 ‘이제현님’이라고 하면 안 되겠지요?
아버지 존함 뒤에 ‘○○님’이라고 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익재공. 휘 제현. 휘 제현 할아버지. 휘 제현 조상님’ 등으로 호칭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그리고 ‘몇 세, 몇 세’ 라고 말하는 것은 중시조이신 소판공(휘 거명) 할아버지를 1세로 하여 아래 후손 차례를 헤아려 읽은 수에 ‘세’를 붙여 읽습니다.
‘상’항렬은 중조 39세이고 ‘희. 형’항렬은 중조 40세, ‘재’항렬은 중조 41세로 읽어 차서(次序)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무슨 파?]
- 파조(대파시조)가 익재공(휘 제현)이시라면 ‘익재공파’입니다.
▲[몇 세손?]
- ‘아빠의 항렬자가 '왕' 자 라는 것밖에 모르는데...’
아버지의 항렬자가 ‘왕’자라고 하나 경주이씨 항렬자에는 ‘왕’자가 없습니다.
항렬을 모르기 때문에 ‘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을 셈할 수가 없고 ‘익재공의 몇 세손(=대손)’으로도 헤아려 읽을 수가 없습니다.
다만 종친님을 중조 39세 ‘상’항렬이라 보고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중시조 ~ ‘상’항렬의 계대
1세 - - → 2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39세
중시조.....아들..........익재공.....아들.........손자........증손자..........‘상’항렬
(기준)......1세손........16세손.....17세손......18세손.....19세손..........38세손
16세조.....15세조.......(기준)......1세손.......2세손.......3세손............22세손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
◈ “중조 39세 ‘상’항렬은 중시조님의 몇 세손이냐?”
“중조(중시조) 39세 ‘상’항렬은 중시조님의 몇 세손이냐?” 고 물었으니 중시조님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아랫대인 2세 아들을 1세손(=1대손). 손자를 2세손(대손). 증손자를 3세손(=3대손). 현손자를 4세손(=4대손)....등으로 헤아려 내려와 중조 39세에 이르면 중시조님의 38세손(=38대손)으로 읽게 됩니다.
즉 중조 39세 ‘상’ 항렬은 중시조님의 38세손(=38대손)입니다.
○ 중시조 ~ ‘상’항렬의 계대
1세 - → 2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 → 39세
중시조...아들..........익재공....아들......손자........증손자..........‘상’항렬
(기준)....1세손........16세손...17세손....18세손....19세손...........38세손
(기준)....1대손........16대손...17대손....18대손....19대손...........38대손
◈ “중조 39세 ‘상’항렬은 익재공의 몇 세손이냐?”라고 묻습니다.
“중조 39세 ‘상’ 항렬은 익재공의 몇 세손이냐?” 라고 묻는 것도 익재공을 기준으로 하되 익재공은 헤아리지 않고 익재공의 아들인 중조 18세를 1세손. 19세인 손자를 2세손....등으로 헤아려 내려가 39세에 이르면 22세손으로 읽게 됩니다.
즉 ‘상’ 항렬은 익재공의 22세손(=22대손)입니다.
○ 익재공 ~ ‘상’항렬의 계대
17세 -→ 18세 → 19세 → 20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중시조세수
익재공....아들......손자.....증손자.........규○.......종○........○우.......상○
1세.........2세........3세.......4세.............20세.......21세........22세.......23세 – 익재공세수
(기준).....1세손....2세손....3세손..........19세손....20세손.....21세손....22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19대손....20대손.....21대손....22대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