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손과 세손의 차이
■ 대손과 세손의 차이
【대손과 세손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 라고 묻는 질문에 아래와 같은 내용의 답변이 올라왔습니다.
‘2세=1대. 세=세손. 상대하세. 대불급신’으로 읽는 ‘이의’논지로 설명된 글입니다
원문 【..........】에 잘못된 내용은 *표시를 하고 그 아래에 ▲[..........]표시를 하고 소견)을 올립니다.
【*시조를 포함하는 경우 세손이라 하며, (시조부터 1, 2, 3, ...) 시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대손이라 합니다. (시조 아래대부터 1, 2, 3 ...)
*대손은 세손보다 숫자 1이 낮습니다. 예) 71세순 = 70대손
*보통 '몇 대손입니까?' 라고 물어 보십니다.
하지만, 여러분들이 알고 계시는 것은 대부분이 세손입니다.
대손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따라서 대손인지 세손인지 필히 아래 항렬 표를 보시고 알아 두셔야 됩니다.
*저도 김해김씨 ○○파 72대손으로 알고 있었지만, 72세손인 것을 이 항렬 표를 보고 알았습니다.
72세손은 71대손입니다.】
▲[*시조를 포함하는 경우 세손이라 하며, (시조부터 1, 2, 3, ...) 시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대손이라 합니다. (시조 아래대부터 1, 2, 3 ...)]
소견)
위에 쓴 글대로 나타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시조를 포함하는 경우는 ‘세손’이라 하며 (시조부터 1세손, 2세손, 3세손,...)으로 헤아리고 시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대손’이라 하며 (시조 아래대부터 1대손, 2대손, 3대손...)으로 헤아립니다.]라고 고쳐 말하여야 하고 아래와 같이 몇 세손과 몇 대손으로 나타내어야 합니다.
1세 - → 2세 - → 3세 - → 4세 - → 5세 - → 6세 - → 7세
1세.......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7세손.
............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6대손
이는 잘못된 기술입니다.
◈ 아래와 같이 ‘세=대’.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 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나타내어야 바릅니다.
(1세) -→ 2세 - → 3세 - → 4세 - → 5세 - → 6세 - → 7세
(1대)......2대........3대........4대.......5대........6대.......7대
4대.......3대........2대.......(1대)......2대........3대.......4대
4세.......3세........2세.......(1세)......2세........3세.......4세
7대.......6대........5대.......4대........3대........2대.......(1대)
7세.......6세........5세.......4세........3세........2세.......(1세)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6대손
* ’세=대‘. ’세손=대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습니다.
◈ 세(=대)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기준을 정하여 1로 읽은 뒤 기준의 아래를 2부터 순번대로 헤아려 읽고 기준의 위를 2로 하여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 세손(=대손)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윗대 조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들을 1로 읽은 뒤 순번대로 아래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대손은 세손보다 숫자 1이 낮습니다. 예) 71세순 = 70대손]
소견)
시조 71세를 ’71세손‘이라 말하지 않습니다.
시조 71세는 ’71세=71대‘이고 몇 대손은 몇 세손과 같은 뜻으로 ’시조의 70대손‘ . ’시조의 70세손‘으로 ’70대손=70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고 말합니다.
▲[*보통 '몇 대손입니까?' 라고 물어 보십니다.
하지만 여러분들이 알고 계시는 것은 대부분이 세손입니다.
대손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소견)
시조 71세에 ’손‘자를 붙여 ’71세손‘으로 읽는 것이 ’이의‘논지입니다.
’세‘와 ’세손‘은 엄연히 그 뜻과 쓰임이 다른데 같은 뜻으로 읽는 것이 ’이의‘논지입니다.
'시조 세수'에다 ’손‘자를 붙여 ’시조 71세‘를 ’71세손‘이라고 같은 뜻으로 읽습니다.
즉 ’세=세손‘으로 읽는 ’이의‘논지의 기본 원칙을 적용하여 ’71세=17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잘못 읽는 것입니다.
’몇 세손‘으로는 시조 1세부터 헤아려 시조 71세를 71세손으로 읽고 ’몇 대손‘은 시조의 아들부터 1대손으로 읽으니 시조 71세는 ’몇 세손‘으로는 71세손으로 읽고 ’몇 대손‘으로는 70대손으로 읽는다는 논지가 ’이의‘논지입니다.
’동의‘논지는 ’세=대‘로 1세=1대....5세=5대....15세=15대로 같은 뜻으로 읽고 ’세손과 대손‘도 같은 뜻으로 5세손=5대손....10세손=10대손....20세손=20대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고 말합니다.
▲[*따라서 대손인지 세손인지 필히 아래 항렬 표를 보시고 알아 두셔야 됩니다.]
소견)
항렬 표를 보고 ’몇 대손‘인지 ’몇 세손‘인지를 알아야 한다는 말도 잘못된 말입니다.
항렬 표를 보고 세수에 –1를 하여 ’몇 세손(=대손)‘으로 말하기도 하지만 이런 식으로 말하는 것은 잘못된 말입니다.
원칙적으로는 ’몇 세손‘은 ’몇 대손‘과 같은 뜻으로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윗대조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랫대인 아들을 1세손(=1대손)으로 하고 손자를 2세손(=2대손), 증손자를 3세손(=3대손). 현손자를 4세손(=4대손)....등으로 아랫대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습니다.
’대손=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으니 나는 고조의 4대손이고 고조의 4세손이라 합니다.
고조 - → 증조 - → 조 - - → 부 - - → 기(나)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저도 김해김씨 ○○파 72대손으로 알고 있었지만, 72세손인 것을 이 항렬 표를 보고 알았습니다.
72세손은 71대손입니다.]
소견)
72세손은 71대손이 아닙니다.
김해김씨 ○○파 72대는 ’72대손‘도 아니고 ’72세손‘도 아닙니다.
○○파 72대는 ’세=대‘와 같은 뜻이니 ’72대=72세‘이고 이는 ’시조의 71대손‘이고 ’시조의 71세손‘입니다.